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6 11:22:07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3863>
파일:미국 대통령실 휘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b9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로버트 커틀러 딜런 앤더슨 로버트 커틀러 고든 그레이
<rowcolor=#ffb9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맥조지 번디 월트 휘트먼 로스토 헨리 키신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rowcolor=#ffb9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리처드 V. 앨런 윌리엄 클라크 주니어 버드 맥팔레인
<rowcolor=#ffb9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존 포인덱스터 프랭크 칼루치 콜린 파월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rowcolor=#ffb9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앤서니 레이크 샌디 버거 콘돌리자 라이스 스티븐 해들리
<rowcolor=#ffb9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임스 L. 존스 토마스 E. 도닐론 수전 라이스 마이클 플린
<rowcolor=#ffb9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H. R. 맥마스터 존 볼턴 로버트 오브라이언 제이크 설리번
<rowcolor=#ffb900> 제29대 제30대
마이클 왈츠 마르코 루비오
}}}}}}}}} ||
<colbgcolor=#003863><colcolor=#fff>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美國 國家安保輔佐官
National Security Advisor
<nopad> 파일:Marco_Rubio.jpg
현직 마르코 루비오(권한대행)
취임일 2025년 5월 1일
정당


1. 개요2. 상세3. 역사4. 주요 역임자들

1. 개요

미국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은 외교안보 정책에 관한 백악관 최고위 참모직이다. 우리나라의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 상응하는 자리이다.

2. 상세

법적으로 각료가 아닌 참모이므로 의회 인사청문회, 인준 없이도 임명이 가능하다.[1]

언론에서 흔히 외교안보의 사령탑이라고 표현하지만 국무장관 및 국방장관과 비교했을 때 원톱 수준의 지위를 가졌다고 보긴 힘들다. 한국에서는 외교부장관이나 국방부장관이 영전하여 국가안보실장에 임명되는 것이 관례인 반면, 미국은 반대로 국가안보보좌관이 미국 국무장관이나 미국 국방장관으로 영전하는 경우가 많다.[2][3]

국가안보보좌관 아래로는 국가안보 부보좌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총장이 있다.

3. 역사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대통령 취임 직후인 1953년부터 임명되기 시작했다.

4. 주요 역임자들



[1] 이는 비서실장을 비롯한 다른 백악관의 참모직도 마찬가지다.[2] 한국은 대통령과 가까운 직위가 실세이기 때문에 대통령실에 소속된 참모의 의견을 중시하고, 각료는 검토하고 실행하는 시스템이라 참모가 각료보다 영향력이 강한 편이다. 반면 미국은 각료가 백악관에 소속된 참모 못지않게 대통령과 빈번히 소통할 수 있어서 각료의 영향력이 참모보다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3] 그리고 우리나라 관점으로 볼때 안보실장과 국무위원은 같은 장관급으로 수평적 인사이동이지만 미국의 관점으로 볼때 국무장관은 국무총리에 가까우며 국방장관도 미군을 통솔하는 높은 위상을 지녀 권한을 보면 사실상 영전이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