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1:30:37

뮈르토 우주니

파일:ec693f87-699b-4b80-8e92-8efca60757f9.png
<colbgcolor=#00ba4f> 오스틴 FC No. #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colcolor=#000> 출생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알바니아 베라트
국적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신장 178cm
포지션 공격수
유소년 클럽 KF 토모리
소속 클럽 KF 토모리 (2013~2014)
KF 아폴로니아 (2014~2017)
KF 라치 (2017~2018)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2018~2020)
페렌츠바로시 TC (2020~2022)

그라나다 CF (2022~2025)
오스틴 FC (2025~ )
국가대표 파일: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6경기 5골(알바니아 / 2018~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알바니아의 축구선수. 포지션은 공격수이며, 현재 오스틴 FC 소속이다. 2018년부터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페렌츠바로시 TC

2020년 겨울 이적했다. 이미 주전급 공격수가 네 명이나 있는 팀에 신입생으로 들어왔음에도 선발 자원으로 자리잡았다. 중요한 경기에서 득점을 했는데, 2020-2021 UEFA 챔피언스리그 3차 예선에서 디나모 자그레브를 상대로 결승골을 넣으며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끌었다.

파일:뮈르토우주니유베골.gif

이후 본선 조별리그 유벤투스 FC와의 경기에서 선제골을 터뜨렸고, 호우 세리머니를 시전했다. 이 경기 선발출전한 호날두 본인은 35분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경기 종료 후 둘은 유니폼을 교환했다.

2.2. 그라나다 CF

파일:2122-myrto-uzuni-gcf.jpg

2022년 2월 1일, 그라나다로 이적했다. 계약기간은 2025년 6월까지.

2022년 10월 23일, 구단과 2026년까지 재계약을 체결했다.#

2025년 1월 18일 기준, 리그 18경기 14골 1도움을 기록하며 맹활약하고있다.

2.3. 오스틴 FC

2025년 1월 25일, MLS의 오스틴 FC로의 이적이 확정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

2018년에 알바니아 대표팀에 데뷔하였다. 그리고 카타르 월드컵 예선 3차전 산마리노와의 경기때 후반 40분에 골로 알바니아의 2:0 승리에 기여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스트라이커와 윙어 둘 다 소화 가능한 멀티플레이어 공격수이다. 골문 앞에서 망설이지 않으며, 매우 침착한 모습을 보인다. 패스를 받으면 즉시 슛으로 연결하거나, 발만 갖다대어 득점한다. 위치 선정 및 필드 위 움직임이 준수하다.

5. 같이 보기

오스틴 FC 2024 시즌 스쿼드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미국 국기.svg GK 브래드 스튜버 Brad Stuver
2 파일:세네갈 국기.svg FW 무사 지테 Moussa Djitté
3 파일:덴마크 국기.svg DF 미켈 데슬레르 Mikkel Desler
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DF 루벤 가브리엘센 Ruben Gabrielsen
5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MF 요한 발렌시아 Jhohan Valencia
6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MF 다니엘 페레이라 Daniel Pereira
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세바스티안 드리우시 Sebastian Driussi
8 파일:핀란드 국기.svg MF 알렉산데르 링 Alexander Ring
9 파일:미국 국기.svg FW 기야시 자르데스 Gyasi Zardes
1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FW 세실리오 도밍게즈 Cecilio Domínguez 지정선수
11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FW 로드니 레데스 Rodney Redes
12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MF 울리세스 세구라 Ulises Segura
13 파일:미국 국기.svg FW 애런 셴필드 Aaron Schoenfeld
14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MF 디에고 파군데스 Diego Fagúndez
15 파일:핀란드 국기.svg DF 레오 베이세넨 Leo Väisänen
16 파일:미국 국기.svg DF 헥터 히메네스 Hector Jiménez
1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FW 존 갤러거 Jon Gallagher
18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DF 훌리오 카스칸테 Julio Cascante
19 파일:미국 국기.svg DF 프레디 클리먼 Freddy Kleemann
20 파일:미국 국기.svg GK 맷 베르사노 Matt Bersano
21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DF 잔 콜마니치 Žan Kolmanič [c]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소피안 제팔 Sofiane Djeffal
23 파일:감비아 국기.svg FW 케쿠타 마네 Kekuta Manneh
24 파일:미국 국기.svg DF 닉 리마 Nick Lima
31 파일:미국 국기.svg GK 앤드류 타르벨 Andrew Tarbell
33 파일:미국 국기.svg MF 오언 울프 Owen Wolff
34 파일:미국 국기.svg GK 윌 퓰리식 Will Pulisic
3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W 막시밀리아노 우루티 Maximiliano Urruti
# 파일:가나 국기.svg FW 오스만 부카리 Osman Bukari 지정선수
구단 정보
감독: 니코 에스테베스 / 홈 구장: Q2 스타디움
출처: 공식 홈페이지

[c] NK 마리보르에서 임대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222222>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 에트리트 베리샤
(Etrit Berisha)
1989년 3월 10일 ([age(1989-03-10)]세) 8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12 엘한 카스트라티
(Elhan Kastrati)
1997년 2월 2일 ([age(1997-02-02)]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치타델라
23 토마스 스트라코샤
(Thomas Strakosha)
1995년 3월 19일 ([age(1995-03-19)]세) 25 0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DF 2 이반 바이우
(Iván Balliu)
1992년 1월 1일 ([age(1992-01-01)]세) 1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요 바예카노
3 마리오 미타이
(Mario Mitaj)
2003년 8월 6일 ([age(2003-08-06)]세) 10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4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1994년 2월 20일 ([age(1994-02-20)]세) 8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5 프레데리크 베셀리
(Frédéric Veseli)
1992년 11월 20일 ([age(1992-11-20)]세) 4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티흐 카라귐뤼크 SK
6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1993년 2월 19일 ([age(1993-02-19)]세) 55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3 존 메르시나이
(Jon Mersinaj)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18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Ardian Ismajli)
1995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3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MF 7 케이디 바레
(Keidi Bare)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28 2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사라고사
8 클라우스 자술라
(Klaus Gjasula)
1989년 12월 14일 ([age(1989-12-14)]세) 27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다름슈타트 98
10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19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레인저스 FC
14 카짐 라치
(Qazim Laçi)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23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20 윌베르 라마다니
(Ylber Ramadani)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3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레체
21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1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4 아르브노르 무콜리
(Arbnor Muçolli)
1999년 9월 15일 ([age(1999-09-15)]세) 4 0 파일:스웨덴 국기.svg IFK 예테보리
FW 9 야시르 아사니
(Jasir Asani)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9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11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35 5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라나다 CF
15 타울란트 세페리
(Taulant Seferi)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17 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바니야스 SC
16 소콜 치칼레시
(Sokol Cikalleshi)
1990년 7월 27일 ([age(1990-07-27)]세) 59 1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콘야스포르
17 어니스트 무치
(Ernest Muçi)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7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19 미를린드 다쿠
(Mirlind Daku)
1998년 1월 1일 ([age(1998-01-01)]세) 5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루빈 카잔
22 아르브노르 무자
(Arbnor Muja)
1998년 11월 29일 ([age(1998-11-29)]세) 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삼순스포르
아르버르 호자
(Arbër Hoxha)
1998년 10월 6일 ([age(1998-10-06)]세) 10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GNK 디나모 자그레브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7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