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몽골의 항공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미아트 몽골항공 | 에어로 몽골리아 | 훈누에어 |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이즈니스 항공 |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에어카고 몽골리아 |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한가드 항공 | }}}}}}}}}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8em;" | [[대한민국| 대한민국]] | [[북한| 북한]] | [[일본| 일본]] | [[몽골| 몽골]] |
[[대만| 대만]] | [[중국| 중국]] | [[홍콩| 홍콩]] | [[마카오| 마카오]] | |
[[필리핀| 필리핀]] | [[베트남| 베트남]] | [[싱가포르| 싱가포르]] | [[태국| 태국]] |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캄보디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 | |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 [[인도| 인도]] | [[미얀마| 미얀마]] | [[네팔| 네팔]] | |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 [[부탄| 부탄]] | [[스리랑카| 스리랑카]] |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 |
[[파키스탄| 파키스탄]] | [[레바논| 레바논]]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예멘]] | |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 [[오만| 오만]] | [[요르단| 요르단]] | ||
[[이란| 이란]] | [[이스라엘| 이스라엘]] | [[카타르| 카타르]] | [[쿠웨이트| 쿠웨이트]] |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 [[바레인| 바레인]] |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이라크| 이라크]] | |
[[시리아| 시리아]] | [[몰디브| 몰디브]] |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 ||
미아트 몽골항공 Монголын Иргэний Агаарын Тээвэр[1] MIAT Mongolian Airlines | |
<colbgcolor=#154194><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191919> [[몽골| ]][[틀:국기| ]][[틀:국기| ]] |
설립 연도 | 1956년 7월 7일 |
허브 공항 | 칭기즈 칸 국제공항 |
보유 항공기 수 | 7 |
취항지 수 | 21 |
부호 | 항공사 호출부호 (MONGOL AIR) IATA (OM), ICAO (MGL), BCC[2] (4G) |
항공권 식별 번호 | 289 |
항공 동맹 | 미가입[3] |
마일리지 | Blue Sky Mongolia (블루 스카이 몽골) |
링크 |
<colbgcolor=#154194> |
보잉 737-800 |
보잉 767-300ER |
보잉 787-9 |
[clearfix]
1. 개요
몽골을 대표하는 플래그 캐리어.2. 역사
몽골이 1990년대에 민주화된 후 1992년 7월 9일 대한항공에서 보잉 727-200을 인수하고 중국산 Harbin Y-12기 5기를 주문하며 성장하였다. 대한항공에서 받은 보잉 727은 몽골에 처음으로 들어온 서방제 제트기[4]로, 대한항공이 기증했다. 이는 1991년 10월 폰살마깅 오치르바트 당시 몽골 대통령의 방한 때 경제/항공교류 촉진방안에 대한 지원책의 하나로 대한항공에서 무상으로 기증하기로 합의한 것.공산 체제 시절부터 친한 러시아의 아에로플로트와, 민주화 이후부터 공항의 관제 체계를 대대적으로 손보아 주면서 밀접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대한항공과 코드셰어 협정을 맺고 있다.
현재는 보잉 737-800 3기, 보잉 737MAX8 1기와 보잉 767-300ER 1기[5],보잉 757-200PCF 1기, 보잉 787-9 2대를 운용 중이다. 그 외 보잉 737 MAX 8 3대를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3. 대한민국 취항 노선
- 대한민국 지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순화동에 있지만, 2014년 2월부터 총판(GSA)제로 전환하여 (주)세유라는 회사에서 필리핀 항공 등과 함께 이 회사의 총판을 맡고 있다. (주)세유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네거리에 있는 광화문 빌딩에 있다.
- 대한민국에는 1999년 3월 김포에 취항했고 이후 인천으로 옮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2017년 6월 22일에는 김해에도 취항했다. 2015년 무렵에는 제주국제공항에서도 자주 볼 수 있었다.
- 인천국제공항과 울란바토르 공항 노선 간 OM 301/302/307/308 주 10회 왕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몇몇 국제선을 정기 및 부정기로 운항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항 횟수를 조절하고 있어 계속적으로 확인해줘야 한다. #
대한민국 운항노선 | |||||
국가 | 도시 | 공항 | 주 일정 | 기종 | 편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서울 | 인천국제공항 | 주 13회 | B737 B767 B787-9 | OM 301/302/307/308[6] |
부산 | 김해국제공항 | 주 2회 | B737 | OM 311/312[7] |
4. 운항 노선
- 2024년 동계 운항 일정 1월-3월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시 | 공항 | 주 일정 | 기종 | 편번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서울 | 인천국제공항 | 주 13회 | B737 B767 B787-9 | OM 301/302/307/308 |
부산 | 김해국제공항 | 주 2회 | B737 | OM 311/312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도쿄 | 나리타 국제공항 | 주 5회 | B737 | OM 501/502 |
[[홍콩| ]][[틀:국기| ]][[틀:국기| ]] | 홍콩 | 홍콩 국제공항 | 주 5회 | B737 B787-9 | OM 297/298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베이징 |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 | 주 7회 | B737 B767 | OM 223/224 |
[[태국| ]][[틀:국기| ]][[틀:국기| ]] | 방콕 | 방콕 수완나품 국제공항 | 주 5회 | B737 B767 B787-9 | OM 701/702 |
푸켓 | 푸켓 국제공항 | 주 3회 | B737 B767 | OM 705/706 | |
[[튀르키예| ]][[틀:국기| ]][[틀:국기| ]] | 이스탄불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주 3회 | B787-9 | OM 161/162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공항 | 주 3회 | B787-9 | OM 137/138 |
인천에서 몽골 경유로 프랑크푸르트로 가는 노선의 비즈니스석 가격이 동일 구간 노선들 중 가장 저렴하다. 왕복 230~240만원 정도 나온다. 이코노미의 경우 중국 경유로 중국 항공사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지만 비즈니스석을 타고 싶은 사람이라면 참고할 것. 동일 구간의 아시아나항공, 루프트한자 직항편 이코노미석보다 1.9~2배 정도 비싼 편이다.
5. 보유 기종
자세한 내용은 미아트 몽골항공/보유 기종 문서 참고하십시오.- 몽골의 항공사답게 소속 항공기에는 역대 대칸의 이름을 붙인다. 가장 큰 B767-300ER(JU-1021)은 칭기즈 칸, 그 외 B737에 구유크 칸(JU-1015), 쿠빌라이 칸(EI-CXV, 지금은 항공사 최초의 B787인 EL-MGL에 붙어 있다.), 주치 칸(JU-1088). B737 MAX8은 툴루이 칸(EI-MNG).[8]
- 특이하게도 보유한 보잉 737-800기에 분데스리가 구단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의 도장을 하고 있다.# 등록번호 EI-CXV기가 이 도장을 하고 있는데 몽골항공과 도르트문트 구단과의 협약으로 진행한다고. 당초엔 2019년에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3년 계약을 연장하여 2022년까지 진행한다. 이 기체는 한국 인천에도 오기 때문에 타이밍이 맞으면 볼 수 있다.[9]
<rowcolor=#fff> 제조사 |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보잉 | 737-800 | 3 | 0 |
737-8 | 1 | 3 | |
757-200F | 1 | 0 | |
767-300ER | 1 | 0 | |
787-9 | 2 | 0 | |
봄바디어 | CRJ200 | 1 | 0 |
총합 | 9 | 3 |
6. 대한항공과의 관계
대한항공과 특히 상당히 친밀하다. 보잉 727을 대한항공으로부터 받기 전에 대한항공에서는 미아트의 조종사 9명을 초청하여 비행 및 정비 교육 등을 실시했다. 이후에도 대한항공에서는 자사가 보유하는 보잉 727 몇 대를 미아트에이런 협력 관계를 통해 인천 ↔ 울란바토르 항공편을 대한항공과 함께 공동운항하며, 울란바토르에 아시아나항공과 저비용 항공사가 취항하지 못하도록 몽골 정부와 상당히 협력했었다. 물론 대한민국 정부에서도 이 일을 달갑지 않게 보고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해 울란바토르행 노선의 독점 담합에 대한 시정 명령을 내리는 등 각종 규제를 가하였다.# 그렇지만 국가간 항공 노선에 대한 이슈는 항공사간의 문제가 아닌 정부간의 협정 문제로써 몽골정부에서 다른 항공사의 취항을 승인하지 않는 한 대한항공을 아무리 조진다고 해도 다른 항공사의 취항은 불가능하다. 비수기에도 수익이 짭짤한 노선이라 요금이 갑질 수준으로 비쌌다. 그러던 중 2019년 대한항공의 울란바토르 노선의 독점이 깨졌다. 이제는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 그리고 티웨이항공까지 울란바토르에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에 아시아나항공은 자회사인 에어부산이 김해 ↔ 울란바토르에 차터로 띄웠고, 에어부산은 울란바토르 노선의 운수권을 취득하여 2016년 6월 24일 김해 ↔ 울란바토르 노선을 정식으로 취항했다. 미아트는 1년 후 김해에 입성했다.
7. 사건 사고
- 1993년 4월 23일, An-26이 하강도중 Marz산에 추락해 탑승했던 32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5년 9월 21일, An-24가 너무 일찍 하강하다 산에 추락했다. 탑승했던 43명 중 42명이 사망했다.
- 1997년 6월 10일, Y-12가 접근도중 윈드시어를 만나 추락했다. 탑승했던 12명 중 7명이 사망했다.
- 1998년 5월 26일, Y-12가 최대치보다 9명을 더 태운채 비행하다가 산 정상에 추락했다. 탑승했던 28명 전원이 사망했다.
- 2022년 9월 12일, 칭기즈 칸 국제공항발 프랑크푸르트행 보잉 767 여객기가 엔진문제로 칭기즈 칸 국제공항으로 회항했다.
8. 기내 안전 비디오
보잉 767의 안전비디오이다.
[1] Mongoliin Irgenii Agaariin Teewer, 몽골 민간수송.[2]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3] 원월드 가입을 희망하고 있다.[4] 이미 Tu-154M을 아에로플로트에서 1대 임차해서 운용 중이었으나, 1994년에 반납되었다.[5] 2023년 여름 현재 옴니 에어 인터네셔널로부터 767-300을 한대 리스하여 운항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레지번호는 N496AX. 무려 귀한 A-A-A-A 도어 배열 적용 기체이다![6] KE5649/5650
KE5867/5868[7] KE5865/5866[8] 2대가 아일랜드 등록(EI-) 인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리스기에 의존하다 보니 기체 자체는 자주 바뀌는 편이다. 칭기즈 칸은 B767 이전에 도입했던 A310에 처음 명명되었다가 B767로 이어졌다.[9] 지금은 도장이 없어졌다. 만약에 다시 연장한다면 볼 수 있는데 재계약 소식이 없다.
KE5867/5868[7] KE5865/5866[8] 2대가 아일랜드 등록(EI-) 인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리스기에 의존하다 보니 기체 자체는 자주 바뀌는 편이다. 칭기즈 칸은 B767 이전에 도입했던 A310에 처음 명명되었다가 B767로 이어졌다.[9] 지금은 도장이 없어졌다. 만약에 다시 연장한다면 볼 수 있는데 재계약 소식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