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7:12:29

메탈슬러그 어택 리로디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msmark.pngMETAL SLUG
메탈슬러그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메탈슬러그 1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2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X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3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4 로고.png
메탈​슬러그
(1996)
메탈​슬러그 2
(1998)
메탈​슬러그 X
(1999)
메탈​슬러그 3
(2000)
메탈​슬러그 4
(2002)
파일:메탈슬러그 5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6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7 로고.png 파일:메탈슬러그 XX 로고.png
메탈​슬러그 5
(2003)
메탈​슬러그 6
(2006)
메탈​슬러그 7
(2008)
메탈​슬러그 XX
(2009)
<colbgcolor=#fff,#191919> 플레이 관련 스토리 | 등장인물 | 무기 | 보스 | 상태변화 | 슬러그 | 시스템 | 아이템 | 용어 | | 테크닉 | OST
휴대용 게임기 퍼스트 미션(1999) | 세컨드 미션(2000) | 어드밴스(2004)
모바일 서바이버즈(2008) | 디펜스(2014)종료 | 레볼루션(2015)종료 | 어택(2016)종료 | XX 온라인(2017)종료 | 인피니티(2019)종료
커맨더(2021)종료 | 각성(2023) | 기타
PS2 3D(2006)
PC 제로 온라인(2011)종료
멀티 플랫폼 택틱스(2024) | 어택 리로디드(2024)
종료 : 서비스 종료된 타이틀 }}}}}}}}}
메탈슬러그 어택 리로디드
METAL SLUG ATTACK RELOADED
파일:메슬택리 스팀헤더.jp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dddddd> 개발 SNK CORPORATION
유통 SNK CORPORATION
플랫폼 PS5, PS4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Microsoft Windows
ESD PSN | MS Store | 닌텐도 e숍 | Steam
장르 타워 디펜스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6월 19일
엔진 언리얼 엔진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평가용.svg 평가용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
심의 예정(한국)
심의 없음(한국)
##
파일:ESRB Everyone.svg ESRB E
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ESRB Adults Only.svg ESRB AO
파일:ESRB Rating Pending.svg ESRB RP
##
파일:CERO A.svg CERO A
파일:CERO B.svg CERO B
파일:CERO C.svg CERO C
파일:CERO D.svg CERO D
파일:CERO Z.svg CERO Z
##
파일:EOCS 전연령.gif EOCS 전연령
파일:EOCS E12.gif EOCS E12
파일:EOCS E15.gif EOCS E15
파일:EOCS 18금.gif EOCS 18금
##
파일:PEGI 3.svg PEGI 3
파일:PEGI 7.svg PEGI 7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PEGI 16.svg PEGI 16
파일:PEGI 18.svg PEGI 18
##
파일:USK 0 로고.svg USK 0
파일:USK 6 로고.svg USK 6
파일:USK 12 로고.svg USK 12
파일:USK 16 로고.svg USK 16
파일:USK 18 로고.svg USK 18
##
파일:ACB General.svg ACB G
파일:ACB Parental Guidance.svg ACB PG
파일:ACB Mature.svg ACB M
파일:ACB Mature Accompanied.svg ACB MA15+
파일:ACB Restricted(R18+).svg ACB R18+
파일:ACB Refused Classification.svg ACB RC
##
파일:GSRR G 로고.svg GSRR G
파일:GSRR P 로고.svg GSRR P
파일:GSRR PG 12 로고.svg GSRR PG 12
파일:GSRR PG 15 로고.svg GSRR PG 15
파일:GSRR R 로고.svg GSRR R
##
파일:CADPA-8+.png CADPA 8+
파일:CADPA-12+.png CADPA 12+
파일:CADPA-16+.svg CADPA 16+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오리지널과의 차이점
2.1. CALL TO ARMS
3. 평가

[clearfix]

1. 개요

2024년 출시된 메탈슬러그 시리즈메탈슬러그 디펜스(2014), 메탈슬러그 어택(2016)의 후속작.

각성이 출시되고 택틱스의 출시일이 공개된 2024년 6월경, 에픽게임즈 스토어의 데이터베이스가 유출되면서 여러 미공개작들이 세상에 들어났는데 그중에서 메탈슬러그 어택 리로리드도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의 정체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2024년 6월 18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출시를 발표했으며 다이렉트가 끝나고 6월 19일에 판매를 실시했다.

2. 오리지널과의 차이점

2.1. CALL TO ARMS

유닛을 획득하고 진화를 위한 조각을 획득하는 기능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달을 필요로 한다. 가챠 시스템 인것은 기존 크랭크와 동일하다 세부적으로 보면 많이 다르다. 우선 뽑기 종류 부터가 다음과 같이 분화되었다.

각 뽑기는 최소 3명에서 5명까지(혹은 조각) 한번에 나올 수 있는 유닛 수가 달라지며 일정 횟수를 돌리다보면 일정 확률로 메달 소모 없이 추가로 1회 뽑기가 진행된다. 플래티넘까지 진화를 마칠 수준의 조각이 나온 유닛은 컴플리트 처리되면서 뽑기에서 나오지 않게 되며[3] 라인업의 모든 유닛이 진화를 마칠 수준으로 나왔다면 그 즉시 해당 뽑기도 컴플리트 처리되어 더이상 이용할 수 없게 된다.

3. 평가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4-06-24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22440/#app_reviews_hash| 대체로 긍정적 (7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322440/#app_reviews_hash| 최근 평가 (퍼센티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기존의 메슬택을 추억하고 있던 소수의 기존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오프라인으로나마 부활했다는 것에 기뻐하기도 했지만 객관적인 평가는 좋지 못한 상태이다.

스테이지의 난이도 상승 곡선이 지나치게 가파르다. 거기다가 테스트는 했는지 의심될 정도로 핵과 유사한 수준으로 물량을 쏟아내고,[4] 서포트 시스템을 핵마냥 엄청난 속도로 사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물량을 뚫을려면 플레이어 레벨을 올리고 유닛들의 스킬을 뚫어서 스펙으로 찍어눌러야한다.

유닛 성장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재료 아이템을 파밍하게 되는데 아이템 종류가 꽤 많은데다가 여러 곳에 흩어져있어서 모으기도 힘든 편이고, 비록 아이템을 1개씩 요구한다 하더라도 유닛 개수가 많아 결국 많은 개수를 요구한다. 특히 일부 유닛은 스킬 해금을 전제로 사용해야하는 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노가다가 강제라서 플레이 피로도를 높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5] 더 큰 문제는 이런 재료 모으는 게임에서 흔히 있는 자동 재도전 시스템 조차 없다는 것. 이런 특징 때문에 팬덤 사이에선 손으로 직접 하기 매우 힘들다는 평을 내리고 있다. 때문에 버튼을 자동으로 누르는 장치나 기능이 있는 컨트롤러#, 아니면 매크로가 자주 언급된다.

유닛들이 필요 이상으로 잘렸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특무와 같은 단순 색놀이 유닛들을 전부를 잘라낸 것도 아니고 원작 기반인데도 경우에도 잘린 경우가 있는등[6] 사실상 마이너 카피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7] 스테이지 보스들의 연출도 일부 구려진 부분이 있다.[8]

PVP 밸런스는 생각보다는 잘 잡았다. 다만 문제점이 없는건 아닌데, 우선 정규군의 경우 초반에 지를만한 유닛이 리타말곤 없을 정도로 초반 라인업이 부실하기 때문에 리타가 나오고 회피가 잘 터지길 빌어야하며, 모덴군의 경우 주요 탱커들이 회피 확률이 나빠진 리로디드의 상황상 한번 스턴이 걸리면 눕기 쉬운 맵집을 지니고 있다는게 문제다. 물론 이를 경험해야할 온라인은 PC판의 경우 핵이 넘쳐나고 있다는게 아이러니.
[1] 정규군 3개, 모덴군 1개, 프로테마이크군 2개, 외계인 1개, 무소속 3개[2] 엉뚱하게 R · SR에서 나오는 그라구노프도 여기서 나온다. 물론 RSR에서 컴플했다면 나오지 않는다. 때문에 실질적인 목록은 23명.[3] 때문에 최소 3명의 유닛이 나온다고 서술했지만 만일 뽑기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가 2명 이하면 그 두명분까지만 나온다.[4] 디펜스와 어택 시절과 같은 시스템으로, 쉽게 말하면 냥코 대전쟁의 게임 시스템을 따른다고 생각하면 쉽다. 즉 기지를 공격하거나 적 기지의 체력이 일정 수치 이하라면 적들이 트리거로 우르르 몰려나오는 방식이다.[5] 아이러니한 점은 이러나 노가다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플레이어 레벨이 상승하기 때문에 스펙 문제는 어느정도 해결된다.[6] 대표적으로 플라잉 타라의 경우 프토레마이크 측만 있고 모덴군에는 없다.[7] 실제로 유출된 바 있는 초기 스크린샷의 경우 현재 리로디드에는 없는 유닛이 존재한다. 즉, 원래는 지금보다는 더 많은 유닛수를 기획했을 가능성이 있다.#[8] 대표적으로 월드 스테이지 휴즈 허미트의 경우 오리지널에서는 원작 처럼 다리를 부수며 전진해와서 근접 유닛이 추락사했는데 리로디드에서는 그냥 플레이어블 버전을 배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