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top2 != null
, [[]][[]]}}}{{{#!if top3 != null
, [[]][[]]}}}{{{#!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증류식 소주]]{{{#!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한국의 전통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탁주(濁酒) | <colbgcolor=#fff,#191919>막걸리 · 이화주 · 모주 · 감향주 · 감주 · 사절주 · 하절주 | ||
청주(淸酒) | <colcolor=#C77D26> 순곡 | 순곡청주 | ||
첨가 | 약주 (약용약주 · 가향주 · 과실주) | |||
기타 | 동동주 · 신도주 | |||
소주(燒酒) | 순곡 | 순곡소주 (쌀소주 · 보리소주 · 수수소주 · 밀소주 · 옥수수소주 · 좁쌀소주 · 고구마소주 · 메밀소주) | ||
첨가 | 약소주 (담금주) | |||
혼양주(混釀酒) | 과하주 · 합주 · 혼돈주 | |||
지역별 | 강원도 · 경기도 · 경상도 · 전라도 · 제주도 · 충청도 · 평안도 · 함경도 · 황해도 | |||
관련용어 | 누룩 · 고두밥 · 곡차 | |||
같이 보기: 한국의 술 | }}}}}}}}} |
|
蕎麥燒酒, 제주산 메밀을 사용하는 메밀소주 |
1. 개요
메밀과 누룩을 재료로 사용해 빚은 술을 증류하여 만드는 증류식 소주의 한 종류.2. 특징
메밀은 보통 흉년이 들었을 때의 구황작물로 쓰이거나 화전 및 개간지에서 주로 재배하는 등 열악한 환경에 특화된 작물이었다. 때문에 척박한 지역에서 많이 이용되었는데 전분이 풍부한 메밀의 특성상 소주의 재료로도 쓰였다.다만 메밀만을 원재료로 삼아 술을 만드는 경우는 드물었고, 일반적으로는 가을보리[1]를 죽의 형태로 만들어서 발효 도중에 첨가해 소주의 밑술을 만들었다.
현재는 몇 종류의 메밀소주가 시중에 나와있는데 각각 국내 메밀 생산량 1, 2위 지역인 제주도와 강원도에서 생산된다. 다만 인지도가 낮은지라 아직 대중에게 친숙한 종류는 아니다.
3. 맛
메밀 특유의 그윽하고 구수한 향이 나며 고도주의 강렬하고 묵직한 맛과 잘 조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입에 감길 정도로 감칠맛이 뛰어나고 뒷맛도 향긋해서 일반적인 증류식 소주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4. 종류
- 메밀이슬(제주시) - 술도가제주바당에서 제조.
- 메밀로(홍천군) - 두루양조에서 홍천쌀과 홍천메밀을 원료로 제조.[2]
- 번트메밀40(인제군) - 브리즈앤스트림에서 제조. 한국최초로 메밀을 볶아서 사용했다. 2023년 샌프란시스코 세계 증류주 품평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