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고려대학교/응원가|고려대학교/응원가]]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응원가를 부르면서 치루는 고려대학교 행사}}}에 대한 내용은 [[고려대학교/사발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려대학교/사발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고려대학교/사발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응원가를 부르면서 치루는 고려대학교 행사: }}}[[고려대학교/사발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려대학교/사발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고려대학교/사발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M과 함께 막걸리 찬가를 부르며 진행하는 사발식 |
1. 개요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부르는 노래.유난히 막걸리를 좋아하는 고대생들의 취향이 반영된 노래다. 기원이 언제인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거슬러 올라가면 80학번대는 물론, 60학번대까지도 이 노래를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훨씬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2. 유래
실은 고려대학교 공식 응원가를 개사하여 구전된 곡이다. 참고로 이 응원가는 고려대 국문과 교수이자 시인인 조지훈 선생이 작사했으며, '어머님의 마음', '섬집 아기' 등의 가곡으로 유명한 이흥렬[1] 선생이 작곡한 곡이다. 당대의 쟁쟁한 인사가 제작한 곡임에도 불구하고, 원곡을 정확히 부를 줄 아는 고대 학생은 거의 없다.원곡 응원가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
<colbgcolor=#fff><colcolor=#872434>강산에 빼난 정기 온누리에 떨쳐라 고대건아 가는 곳에 대적할 자 누구냐 천지를 흔들어라 젊은 피 솟구치는 날래고 용감한 이 기세를 보아라 |
2절 |
이겨도 당당히 싸워서만 이긴다 맹호는 굶주려도 풀을 먹지 않나니 풍운을 몰아쳐라 산천이 울리도록 비룡의 조화다 이 재주를 보아라 |
후렴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승전고를 울려라 꽃다발을 받아라 영광은 모교에 그 훈공은 너의 것이다 |
3. 시대별 변천사
가장 노래가 열창되던 1980년 기준으로 원본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마실까 말까 (×4) 에라 (아무런 욕설)[2]질펀한 욕설이 나온다.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며 가장 원조(?)인 것은 씨ㅂ 니ㅁ 조ㄸ. 고대생들도 외부인이 보는 곳에서는 삐~~로 자체 검열을 한다.][3]그 정도는 애교로 귀엽게 봐주는 거(...)라고 한다][4] 마셔도 사내답게 (챙) 막걸리를 마시자 (챙×3) 맥주는 싱거우니 신촌골로 돌려라 (돌려×3) 부어라 마셔라 막걸리 토하도록 너도 먹고 나도 먹고 다 같이 마시자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아~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막걸리를 마셔도 사내답게 마시자 만주땅은 우리 것 태평양도 양보 못 한다. |
보다시피 마초스러운 성격을 띤 가사였으나, 학교의 여학생 비율이 높아져 다소의 개사를 거쳤다.
그나마도 위의 가사는 어느 정도 정상적인 가사이고, 옛날 버전에서는 후반부의 "만주땅은 우리 땅 태평양도 양보 못 한다"가 "이대생은 우리 것 숙대생도 양보 못 한다"로 말같지도 않은 가사로 불린 적이 있었다.
더 한심할 때에는 "여자는 우리 것, 남자도 양보 못 한다"의 바리에이션도 있었다(...)
현재 위 가사는 너무 많은 욕설과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는 가사를 포함하고 있기에, 저 시절에 학교 다녔던 선배들도 거의 대부분 아래에 서술된 현재의 가사로 부른다.
4. 현재
현재 가장 보편적이며 정석으로 알려진 막걸리 찬가 가사이다.마실까 말까 (×4) 하나 둘 셋 넷 마셔도 고대답게 막걸리를 마셔라 맥주는 싱거우니 신촌골로 돌려라[]돌려 돌려 돌려라는 추임새를 넣기도 한다.] 부어라 마셔라 막걸리 취하도록 너도 먹고 나도 먹고 다 같이 마시자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아~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막걸리를 마셔도 고대답게 마셔라[6] 만주땅은 우리 것 태평양도 양보 못 한다. |
최강야구[7]에서 나온 막걸리 찬가 영상 속 5명 모두 고려대학교 야구부 출신이다.[8] |
여전히 정신나간 내용이기는 하다만, 고대생 특유의 호쾌함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가사가 붙여진 이유에 대해서 고려대 운동권이 민족주의 성향을 띄는 NLPDR 계열이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는데,
① 우선 위 가사는 소위 NL-PD 논쟁이 있기 훨씬 전부터 구전되오는 가사라는 점과,
② 고려대 운동권이 NL일색이었던 때는 오히려 드물었다는 점이다. 정말 NL의 영향이었다면 오히려 이렇게 널리 불리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2010년대 헬조선 담론 이전에 대한민국의 디폴트였던 반일(또는 극일)민족주의 성향+ 교명이 '고려'대학교였기 때문에 붙여진 가사로 보인다.
본문의 신촌골은
5. 기타
사발식 때도 불리며 여학우들이 다 못 마시면 "동기사랑 나라사랑"이라는 괴한 구호와 함께고대 근처 술집에서 불리는 노래들 중 가장 다양한 바리에이션을 보유한 노래이며 물론 학과마다 반마다 다르겠지만 생일, 군 입대(...), 기타 모든 행사에서 가사만 바꿔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9]
고대생이 아닌 사람들이 본다면 저게 무슨 뽕끼 가득한 노래인가 하겠지만, 고대 근처에서 이렇게 사랑 받는 노래도 드물다. 오죽하면 막걸리 찬가가 부르고 싶어서 고대 근처로 와서 술을 마신다는 졸업생도 있을까. 심지어 고대 근처가 아닌 일반 술집에서 부르다 보면 웬 아저씨[10]가 와서 "학생들 고대생인가요?"란 질문과 함께 계산서를 들고 가시는 경험을 간혹 할 수 있다.
도입부가 군가인 진짜 사나이의 가사[11]와 약간 비슷한데, 사실은 작곡가가 같은 사람이다.
1990년대, 막걸리 찬가의 영어판을 즐겨 부르던 학생도 있었다. 물론 제대로 된 영어가 아니라 콩글리시다. 구전이므로 개인, 학과, 단과대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도 했었다. 소개하면(고유명사는 한국어로 표기),
Drinking or not, drinking or not, drinking or not, era, fxxking, son of bxxxch (드링킹 오아낫, 드링킹 오아낫, 드링킹 오아낫, 드링킹 오아낫, 에라 퍼x, 썬xxx치) (마실까 말까, 마실까 말까, 마실까 말까, 에라 자진 검열 삭제) Drinking, 막걸리, 고대tical, 막걸리 (드링킹 막걸리~ 고대티칼 막걸리) (마셔도 고대답게 막걸리를 마셔라) Beer is very soft, turn to the 신촌 village (비어 이즈 베리 소프트, 턴투더 신촌 빌리지~) (맥주는 싱거우니, 신촌골로 돌려라) (푸어링, 드링킹 막걸리~ 오바이팅) Pouring, drinking 막걸리, overeating (부어라, 마셔라 막걸리, 취하도록) You drink, me drink, everybody drink~ (유드링크, 미드링크, 에블바디 드링크~) (너도 먹고, 나도 먹고, 다같이 마시자) 코리아 big school, 막걸리 big school (코리아 빅스쿨, 막걸리 빅스쿨)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Ah~! 코리아 big school, 막걸리 big school~ (아~! 코리아빅스쿨, 막걸리 빅스쿨~) (아! 고려대학교, 막걸리대학교) Drink 막걸리, 고대tical 막걸리 (드링크 막걸리, 고대티칼 막걸리) (막걸리를 마셔도, 고대답게 마셔라) 만주 land ours, Pacific ocean ours too~ (만주랜드 아우어ㅅ 퍼티픽오션 아우어스 투~) (만주땅은 우리 것, 태평양도 양보 못 한다) |
[1] 다만 친일 논란이 있다.[2] 이 부분에[3] 84학번 중 한 사람의 말에 따르면,[4] 미녀들의 수다에서 따루 살미넨이 이 버전의 막걸리 찬가를 부른 적이 있는데, 꽤나 수위가 높았는지 검열처리 되었다.[] [6] "사내답게 마셔라"라고 부르기도 한다.[7] 5분 56초부터 나온다.[8] 김선우(96), 박용택(98), 이택근(99), 정근우(01), 최수현(15)[9] 위 가사의 막걸리를 생일주, 입대주(...), 축하주 등등으로 바꿔서 부른다[10] 현재까지 아주머니는 확인이 안 되었다.[11] "사나이로 태어나서 할 일도 많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