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4 14:04:27

마스터 레벨스 포 둠 II

파일:Doom_Logo_250.png 둠 시리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클래식
파일:Doom_Logo_250.png파일:Doom2_Logo_250.png파일:Doom-64-logo-768x497-removebg-preview.png

얼티밋 둠
둠 II: 헬 온 어스
마스터 레벨스 포 둠 II
파이널 둠
둠 64
둠 64 (리마스터)
스토리 리부트/후속작25주년 리마스터30주년 완전판
파일:Doom3LogoHighdef.png파일:DOOM2019REMASTER.jpg파일:DOOM1+2LOGO.png
둠 3
둠 3: 악마의 부활
둠 3: BFG 에디션
둠(2019)
둠 II(2019)
둠 3(2019)
둠 3: VR 에디션
둠 + 둠 II
<rowcolor=#fff>리부트 시리즈
파일:Doom2016_Logo_250.png파일:DoomEternal_Logo_250.png파일:DOOMTheDarkAges_Logo.png
둠(2016)
둠 VFR
둠 이터널둠: 더 다크 에이지스}}}}}}}}}
마스터 레벨스 포 둠 II
Master Levels for Doom II
<nopad> 파일:master_levels_for_doom_ii_1996_f.png
<colbgcolor=#000000> 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
개발 이드 소프트웨어
유통 GT 인터랙티브
플랫폼
[ 펼치기 · 접기 ]
MS-DOS
Windows 95
Mac OS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게임보이 어드밴스
조디악
Xbox
Xbox 360
플레이스테이션 3
NVIDIA SHIELD
Xbox One
Xbox Series X|S
플레이스테이션 4
닌텐도 스위치
iOS
안드로이드
ESD Steam | PlayStation Store | 닌텐도 e숍 | Microsoft Store | Google Play | App Store
장르 FPS, 호러 게임
출시 1995년 12월 26일
게임 개발자 존 카멕, 존 로메로
엔진 id Tech 1 (둠 엔진)
한국어 지원 비공식 지원[1]
국내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등급분류거부.svg 등급 분류 거부[2][A]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4][A]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고등학생 이상 관람가[6][A]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ESRB M
파일:CERO Z.svg CERO Z[8][A]
파일:PEGI 18.svg PEGI 18[10][A]
파일:RSAC 폭력성 부분 3/4단계.jpg폭력성 부분 3/4단계[12]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설명2. 맵 목록

1. 설명

1995년에 나온 둠 II의 공식 미션팩으로 이름 그대로 상급자들을 위한 고난이도 레벨을 포함한다. 구성은 수준급 모더들이 제작한 21개의 레벨과 인터넷에서 긁어모은 1830개의 잡동사니 레벨. 오해하기 쉽지만 21개 레벨이 본편이고 1830개 레벨이 부록이다. 잡동사니 레벨은 인터넷에서 마구잡이로 긁어모은 것으로 지금도 idgames archive에서 대부분 무료로 구할 수 있다. 그 결과 존 앤더슨의 경우 "칸토 시리즈"로 원래 9개의 맵을 만들었지만 그 중에 5개만 미션팩에 수록되어 버려서, 나머지 4개 맵은 부록 맵에서 찾아봐야 하는 상황이다.

잡동사니 레벨의 구성은 오리지널 용 191개, 둠 II용 1629개, 그리고 헤러틱용 10개. 레벨 목록 대체로 완성도가 떨어질뿐더러, 일부 레벨은 심슨 가족, 몬티 파이선 등에서 추출한 음성을 포함해 상업적으로 배포할 수 없음에도 버젓이 CD에 들어갔다. 그래서인지 나중에 스팀 등으로 복각한 디지털 버전에는 21개의 본편 레벨만 포함되고 1830개의 부록 레벨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둠 II용 레벨 상당수는 오리지널 둠용 레벨을 둠 II로 포팅한 것이라 호환성 문제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 잡동사니 레벨을 수록 한 이유는 당시 인터넷 환경상 레벨을 다운로드 받는데 시간과 돈[13]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이런 하드카피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메리트가 있었던 시대였기 때문이다.[14]

본편이라고 할 수 있는 21개 레벨은 나름 실력을 인정받은 모더들과 계약해 수록한 것이다. 이 중에는 톰 머스테인이나 팀 윌리츠 전 이드 소프트웨어 스튜디오 디렉터처럼 후일 게임 개발자로써 어느 정도 성공하는 인물도 있다. 21개 레벨은 개별 수록되어, 매번 메뉴 인터페이스로 나갔다가 새로 피스톨 스타트를 해야 한다. 나중에 이들 레벨을 하나로 잇는 유저 패치가 등장했으나, 애초에 모든 맵이 권총 한 자루 들고 시작하는 걸 염두에 두고 제작한 탓에 밸런스 붕괴가 일어난다.

그리고 2010년대 후반의 기준에서 보면 이 미션팩도 사실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검증된 모더들의 작품이긴 하지만 그 디자인은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어쩔 수 없이 조악하며, 상급자들을 위해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현대의 소위 고인물들에게는 대부분 쉽다는 평. The Combine이나 Subterra 같은 일부 맵들은 둠 II의 MAP03~05 정도의 난이도를 예상해도 괜찮을 정도이다. 그러나 오리지널 둠 시절의 타일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분위기는 고전적(old-school)인 느낌을 선호하는 게이머들이라면 마음에 들어할 수도 있다. 한편 짐 플린이나 존 앤더슨의 맵들은 플루토니아 수준으로 어려워진다.

제작자에 따라서 맵핑 스타일에 차이가 있다. 크리스틴 데이비드 클라이(C.D.Klie)의 경우 맵 극초반에는 제약된 탄약만으로 힘겨운 전투를 벌이다가 후반에는 갑자기 쉬워지고, 시크릿에서 무지막지한 파워업을 아낌없이 제공하는 방식이다. 팀 윌리츠(T.Willits)는 매우 고전적인 타일셋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원작의 경험에 충실하려 노력한 특징이 있다. 존 앤더슨(J.W.Anderson)의 경우 상당히 대칭적이고 둥근 구역들의 반복이 특징.

사실 둠 2가 나왔을 무렵 둠 열풍에 편승해 전후 인터넷 등지에 공개된 레벨, 모드를 긁어다가 둠2 추가레벨이랍시고 파는 비공식 확장팩들이 많았는데[15](그중 일부는 본작처럼 자체제작 레벨이 포함된 케이스도 있겠지만), 이 판본은 일단 ID가 공인한 확장팩이라는 점이 차이가 있다. 물론 이것도 21개의 오리지널 레벨에 한정해서 아다리가 맞지, 나머지 1830개 레벨들은 (질적인 의미에서) 앞서 말한 비공식 확장팩류 컨텐츠와 차이가 없었다.

스팀에서는 무료 또는 패키지에 끼워 판매한다. 둠 + 둠 II가 출시되면서 해당 번들에 기본 구성으로 포함되었다.

스토리 배경은 토성의 위성 타이탄지옥이다.

2. 맵 목록

나열 순서는 둠 + 둠 II 레벨 순서이다. 그러나 메뉴 인터페이스에서는 ABC순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그걸 고스란히 따라가면 이 미션팩이 상정한 스토리 흐름과 무관해지게 된다.
맵 제목WAD명맵 지정 번호PSN 릴리즈 순서제작자공략 영상

둠 + 둠 II에서 추가된, 마지막 맵을 클리어했을 때 나오는 엔딩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당신은 우리 디자이너들의 망령된 정신이 고안할 수 있었던 가장 악랄한 영역을 공격하여 승리했습니다.

당신이 마스터 레벨을 돌파하면서 만들어 놓은 쑥대밭은 당신의 기량에 대한 무언의 찬사입니다.

당신은 파괴의 대가라는 칭호를 획득했습니다.
You have assaulted and triumphed over the most vicious realms that the demented minds of our designers could devise.

The havoc you left behind you as you smashed your way through the Master Levels is mute tribute to your prowess.

You have earned the title of the master of destruction.


[1] 한글패치 GZDoom 필요[2] MS-DOS 버전.[A] 둠 II 심의를 따름[4] 둠 3 리미티드 컬렉터스 에디션 번들.[A] 둠 II 심의를 따름[6] 게임보이 어드밴스, 조디악 버전.[A] 둠 II 심의를 따름[8] 둠 3 BFG 에디션 번들.[A] 둠 II 심의를 따름[10] 둠 3 BFG 에디션 번들.[A] 둠 II 심의를 따름[12] The Ultimate Doom의 오리지널 MS-DOS판.[13] 전화선과 모뎀으로 인터넷을 사용 하면 다운로드 속도는 물론이고 전화 접속료가 엄청나게 나오기 때문이다.[14] 비슷한 이유로 각종 셰어웨어 게임들을 모은 CD도 수요가 있었다. 물론 무단으로 넣었다가는 욕먹기 좋으며, 보통은 전미셰어웨어협회같은 기관의 인증이 있어야했다.[15] 대표적으로 D!ZONE 시리즈가 있다. 그외 목록은 여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