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1:41:33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

마도드라에서 넘어옴

파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로고.svg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외전 시리즈 ]
{{{#!wiki style="margin:-4px -1px -11px;word-break:keep-all"
<rowcolor=#fff>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010101>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ruby(Magia Exedra, ruby=마기아 엑세드라)]
魔法少女まどか☆マギカ [ruby(Magia Exedra, ruby=マギアエクセドラ)]
}}}
<nopad> 파일:magia_exedra.jpg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de4ab,#bca476> 기획/배급 애니플렉스
개발 포케라보WFS, f4사무라이
운영 포케라보WFS
출시 Mobile
파일:일본 국기.svg파일:세계 지도.svg[1] 2025년 3월 27일[2]
PC
미정
상점 페이지 파일:스팀 아이콘.svg[지역제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음악
4.1. OP
5. 특징
5.1. 전투5.2. 기억5.3. 포트레이트
6. 스토리7. 이벤트8. 등장인물9. 평가10. 흥행11. 미디어믹스
11.1. 라디오
12. 사건 사고13. 기타14. 관련 문서

1. 개요

Promotion Film
Release Promotion Video
Final PV

포케라보f4사무라이가 공동으로 개발을 시작하고 포케라보를 합병한 WFS[4]가 운영하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를 원작으로 한 게임. 공식 약칭은 마도드라(まどドラ).

2. 발매 전 정보

파일:exedra_reveal.png
* 2024년 4월 21일 X를 통해 신작 모바일 게임 발표가 예고되었다. #
파일:exedra_news.jpg
* 2024년 4월 22일 제목과 홈페이지가 공개되었다. #

3. 시스템 요구 사항

4. 음악

4.1. OP

Opening Animation 주제가 「lighthouse」
작사/작곡/편곡 카지우라 유키
노래 feat.LINO LEIA
KAORI
YURIKO KAIDA
EMIKO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es thi a di a mi i a li a

名前を呼んで綺麗な声で
나마에오 욘데 키레이나 코에데
이름을 불러줘 아름다운 목소리로

西へ沈む星が一つ
니시에 시즈무 호시가 히토츠
서쪽으로 저무는 별이 하나

思い出の海 呼び会うエコーが
오모이데노 우미 요비아우 에코-가
추억의 바다에서 서로 부르는 메아리가

頼りなく漂ってる
타요리나쿠 타다욧테루
미덥잖게 떠돌고 있어

光の色と瞬きだけで
히카리노 이로토 마타타키다케데
빛의 색과 반짝임만으로

船を導く星になりたい
후네오 미치비쿠 호시니 나리타이
배를 이끄는 별이 되고 싶어

波を貫き
나미오 츠라누키
파도를 꿰뚫어

遠くを目指した心が歌う海原
토오쿠오 메자시타 코코로가 우타우 우나바라
머나먼 곳을 향한 마음이 노래하는 넓은 바다

新しい世界を呼び寄せて
아타라시이 세카이오 요비요세테
새로운 세계를 불러들여

その手を伸ばした哀しみさえも あなたが
소노 테오 노바시타 카나시미사에모 아나타가
그 손을 뻗은 슬븜조차 당신이

未来へ進む 空を照らす灯り
미라이에 스스무 소라오 테라스 아카리
미래로 나아가는 하늘을 비추는 등불

es thi ya mi a fi li to

as thi a
}}}}}}

5. 특징

7월 2일 공식 생방송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마마마 본편과 모든 외전을 망라하며, 풀 3D 턴제 게임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이후 추가적인 공식 방송에서 밝혀진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상세히 공개가 되었는데, 전반적으로 같은 개발사인 WFS에서 제작한 헤븐 번즈 레드와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5.1. 전투

기본적으로 턴제 배틀 시스템으로, 최근의 여타 턴제 게임들과 유사하게 캐릭터마다 로테이션을 도는 형태이다. 파티 공용의 SP가 존재하며, 여기에 따라 매 턴 SP를 회복하는 통상 공격 혹은 SP를 소모하는 전투 스킬을 택할 수 있다. 전투 스킬을 사용하는 경우 캐릭터가 소유한 고유 스킬을 시전하게 된다. 또한 전투가 진행됨에 따라 캐릭터 별로 축적되는 필살기 게이지를 사용하여 필살기를 시전할 수 있다. 필살기는 자기 순서가 오지 않은 캐릭터라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특징.

마녀 뿐 아니라 마기레코에 등장한 소문 또한 나오며 마녀나 소문 같은 적 캐릭터에게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존재한다. 약점 공격 혹은 브레이커 캐릭터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한 뒤 효율적으로 브레이크 보너스를 쌓아나가는 형태의 전투로, 헤븐 번즈 레드의 DP/파괴율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브레이크 게이지는 일종의 쉴드이며, 이 방어막이 깨지면 상대에게 입히게 되는 보너스 데미지 계수를 점차 축적시킬 수 있게 되며 이 계수에 따라 입히는 피해가 증가한다. 이 중 브레이커는 방어막 파괴와 보너스 데미지 계수 누적에 특화된 캐릭터인 셈.

캐릭터 타입 역시 헤븐 번즈 레드와 유사하게 역할 기반으로 일신되었다. 기존 마기레코의 캐릭터 타입은 어택, 마기아, 밸런스, 서포트, 디펜스, 힐로 나누어졌으나 모든 캐릭터들이 커넥트로 버프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역할군의 구분이 흐릿하고 또 게임이 후반부로 갈수록 캐릭터 타입 사이의 구분이 무색하게 무지성으로 마기아만 난사를 하는 게임이 되어버려서[5] 보다 더 역할을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 보다 브레이크 시스템과 더불어 스킬 기반으로 캐릭터 역할을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게 마기아 타입이 사라지면서, 과거 마기아 타입인 마미, 츠루노 등도 다른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마기레코의 타입 중 마기아와 서포트, 밸런스 타입이 없어지고 브레이커, 버퍼, 디버퍼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비슷한 시스템을 지닌 헤븐 번즈 레드와 비교하자면 블래스터와 브레이커를 브레이커 하나로 합친 것과 비슷한데, 헤븐 번즈 레드에서도 브레이커/블래스터의 역할이 애매했던 것을 반영한 변화로 보인다. 다만 2025년 초 시점까지 공개된 정보만으로는 각 역할군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스킬을 지니고 어떻게 시너지가 발생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진 않았다.

캐릭터들의 속성은 전작과 동일하게 라이트(빛), 다크(암흑), 포레스트(초목), 플레임(화염), 아쿠아(물), 무속성으로 나오며 기존 마기레코의 메모리아는 포트레이트가 계승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메모리아와는 다르게 UI를 볼 때 포트레이트는 캐릭터마다 하나씩만 장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볼 때 기존 메모리아 장착 숫자 증가가 전부였던 마기레코의 마력해방과 다르게 캐릭터 돌파를 통한 추가적인 보너스는 다른 형태로 주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5.2. 기억

마기아 엑세드라에서는 마법소녀를 기억으로 불리고 있으며 특이하게도 이름 앞에는 마법소녀를 칭하는 호칭 같은 것이 붙어있다.

이러한 이유인지 유저들은 전작과 달리 모든 마법소녀의 이격폼이 활발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들이 있다. 실제로 개발사의 작품 중에 헤븐 번즈 레드가 이런 식으로 다양한 스타일을 내놓으면서 운영을 하는 것도 있기도 했으면 실제로 선행 플레이 유저들 중에서는 아야노 리카의 3성과 4성 기억이 별도로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단순히 마기레코 때처럼 레어도를 올린 것이 아니라 3성과 4성 리카 모두 타입이 별도로 이루어지면서 동일 캐릭터가 여러 이격들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이 확정되었다.

레어도는 현재까지 밝혀진 구상으로는 최대가 5성 가장 낮은 것은 3성이며 3성 기억의 경우에는 필살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3월 14일에 기사와 선행 플레이 감상평 드을 통해 게임 시스템이나 캐릭터의 레어도, 역할군이 대부분 공개되었는데 속성의 경우에는 마기레코 때와 동일하게 가지만 타입의 경우가 많지만 4성 기억 토키와 나나카는 포레스트, 4성 기억 카가미 마사라의 경우에는 무속성으로 나오는 등 속성도 바뀐 경우가 보이면 타입 또한 대다수의 캐릭터들이 마기레코와 다른 타입을 들고 왔다.

게다가 레어도도 전작과 달라졌는데 대부분 저레어였던 미카즈키장 멤버의 경우에는 본작에서는 5성으로 올라간 반면 마기아 레코드에서 5성이었던 시즈미 코노하는 3성으로 내려가는 등 레어도도 상당히 달라졌다. 이는 전작에선 미카즈키장 주인공들은 스토리를 이끌어나가는 만큼 유저들도 쉽게 구할 수 있게 저레어로 나온[6] 반면, 이젠 미카즈키장 주인공들도 원작조 및 타루토 주인공 급 인기로 올랐으니 그만큼 레어도도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찌보면 당연하겠지만, 특수한 경우[7]가 아닌 이상, 마기레코 때 쓴 도플 (반마녀)은 엑세드라에선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속성의 경우에는 마기레코에서 야쿠모 미타마푸엘라 케어 등 조정상이나 파멸 계열 소원을 빈 마법소녀들이 가지는 특수한 속성으로 분류되었지만 마도드라와 와서는 하나의 캐릭터가 다양한 기억을 가진 레어리티로 나온다는 점에서 마사라에게 부여되는 등 속성의 의미 자체가 변질되었다.

또한 마기레코에서 중복 캐릭터를 얻으면 돌파를 하면서 메모리아를 열 수 있던 것과 달리 마도드라에서는 여타 다른 일반적인 게임 처럼 캐릭터 돌파로 능력치 상승으로 바뀐 것으로 보이며 최대 6돌파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게다가 모든 캐릭터가 최소 4성을 들고 온 것이 아니라 나츠메 카코, 츈 메이유이, 시즈미 코노하 3명의 경우에는 아예 4성도 없이 필살기도 없는 3성만 들고 온 경우도 있다.

5.3. 포트레이트

전작의 메모리아를 계승하는 포지션이지만 한 가지 차이점으로는 가챠에 메모리아와 마법소녀가 나온 것과 달리 포트레이는 가챠로 등장하지 않으면 오직 전투나 스토리 등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구조로 가챠에서는 오직 기억(마법소녀)만 나오면 마기레코 처럼 마법소녀 전용 포트레이 또한 마법소녀 스토리를 보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스토리

7. 이벤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이벤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이벤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이벤트#|]][[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이벤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등장인물#|]][[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Magia Exedra 등장인물
Magia Exedra
나마에
{{{#!folding 본편 [ 펼치기 · 접기 ] 카나메 마도카 미키 사야카 토모에 마미 사쿠라 쿄코 아케미 호무라
모모에 나기사
}}} ||
{{{#!folding 마기아 레코드 [ 펼치기 · 접기 ] 타마키 이로하 나나미 야치요 유이 츠루노 미츠키 펠리시아 후타바 사나
토가메 모모코 미나미 레나 아키노 카에데 미소노 카린 타츠키 아스카
애슐리 테일러 치아키 리코 아와네 코코로 카가미 마사라 마오 히미카
토키와 나나카 나츠메 카코 츈 메이유이 이스즈 렌 아야노 리카
이리나 쿠슈 사라사 한나 아이노 미토 이부키 레이라 쿠미 세이카
시즈미 코노하 유사 하즈키 미쿠리 아야메 우츠호 나츠키 야쿠모 미타마
타마키 우이 사토미 토우카 히이라기 네무 아즈사 미후유 알리나 그레이
아마네 츠쿠요 아마네 츠카사 이즈미 카나기
}}} ||
{{{#!folding 오리코 마기카 [ 펼치기 · 접기 ] 미쿠니 오리코 쿠레 키리카 치토세 유마 아사코 코마키 아사코 코이토
유우키 사사 히토미 리나 아카네 마이 사키 미야코 미오·후타바
마스미 치카
}}} ||
{{{#!folding 타루토 마기카 [ 펼치기 · 접기 ] 타루토 리즈 호크우드 멜리사 드 비뇰
}}} ||
{{{#!folding 스즈네 마기카 [ 펼치기 · 접기 ] 아마노 스즈네 히나타 마츠리 미코토 츠바키
}}} ||
{{{#!folding 카즈미 마기카 [ 펼치기 · 접기 ] 카즈미 미사키 우미카 마키 카오루
}}} ||
{{{#!folding scene0 [ 펼치기 · 접기 ] 아키 마바유
}}} ||

9. 평가


10. 흥행


11. 미디어믹스

11.1. 라디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Radio Exedr라는 이름으로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는 형태로 고정 멤버로는 주인공 나마에 역의 코미야마 아카리가 나오면 매 화마다 게스트가 출연해서 이야기를 푸는 공식 라디오 방송이다.
회차 날짜 게스트
#1 25.04.06 노나카 아이
(사쿠라 쿄코 役)
#2 25.04.20 이시하라 카오리
(미나미 레나 役)

12. 사건 사고


13. 기타

14. 관련 문서


[1] 글로벌 서버의 경우 미국, 캐나다, 영국 등 19개국 한정. 한국/중국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2] 공식적인 오픈 일은 27일이지만 선행 릴리즈로 3월 26일에 진행한다.[지역제한] [4] 사실상 그리계열이다. WFS나 포케라보나 그리가 100% 지분보유한 사실상 자회사이기 때문.[5] 이런 부분은 정신강화라는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심해졌다. 그 이전까지는 전반적으로는 캐릭터들이 공격을 하거나 커넥트 등으로 MP를 채워서 마기아를 날리는 방식이었는데 정신강화가 도입된 후로는 그저 대량의 MP차지가 필수적으로 성능에 존재하게 되면서 대부분의 캐릭터가 1~2턴째에 마기아를 연속으로 난사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버렸다. 인간이 아닌 초월적인 존재들이 가장 큰 원인.[6] 다만 마기레코 특성 상 저레어 소녀들도 때때로 태생 4성급의 뛰어난 유닛이 되기도 한다. 특히 나나미 야치요, 유이 츠루노는 마기레코 당시 입문자 및 고수들이 반드시 가장 먼저 육성하는 저레어 마법소녀였다.[7] 마녀 혹은 소문과 융합이 되어버린 상태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들[8] 원작에서는 2부에서부터 뒤늦게 주역으로 활약한다.[9] 다만 반대로 비슷한 개념이었던 홀리 마미의 경우에는 그대로 등장한다.[10] 다만 이에 대해서는 유저를 사이에서 불안하다는 이야기가 나오 있는데 마기아 레코드 당시 스토리로 비판 받았던 부분 중 하나는 소문 츠루노가 아니라 홀리 마미 쪽이었기에 굳이 소문 츠루노가 아닌 홀리 마미를 유지시킨 것에 대해서 의문을 갖는 유저들이 있다.[11] 마지막 매출이 30만 달러로 전월 20만 달러에서 10만 달러로 올라갔다. 전성기보다 떨어진건 분명하지만 이 정도면 선전한 편. 6월부터는 마기아 스톤 유료구입이 막히고 무료연차만 주어지기 때문에 다른 섭종 직전 게임들처럼 매출이 발표되지 않았다.[12] 심지어 섭종 직전 라스트 스토리까지 공개하는 정성을 보여주었다.[13] 애슐리는 영어로 더빙한 PV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