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1:13:22

리치마작/역

<rowcolor=#FFF> 🀐마작
관련 문서
<keepall>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90><colcolor=#FFF> 국표마작 국표마작 (/진행 · /역 · /점수)
리치마작 리치마작 (/진행 · /역 · /점수)
기타 마작 광동마작 · 사천마작 · 구 홍콩마작 · 홍콩대만마작 · 대만마작 · 싱가포르마작 · 말레이시아마작 · 한국마작 · 이십이마작 · 미국마작
마작 요소 마작패 · 점수봉 · 작탁 · 마장(한국 내 마장) · 용어 · 변형 규칙 · 커뮤니티 }}}}}}}}}

1. 개요2. 역의 명칭에 대해서3. 판()수에 따른 역 설명
3.1. 초보자용 설명3.2. 1판역
3.2.1. 역패3.2.2. 도라
3.3. 2판역3.4. 3판역3.5. 6판역3.6. 만관역3.7. 역만
3.7.1. 특수 형태

1. 개요

이 문서에서는 리치마작의 역()에 대해 설명한다. 마작에 있어서 역이란 카드게임의 족보와 같은 것으로, 역이 없으면 화료를 선언할 수 없기에 승리를 쟁취할 수 없다.[1]

본 문서에서 소개하지 않은 로컬룰도 다수 있으며, 룰에 따라 같은 역이라도 점수나 형식이 다른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일일이 다 소개하지는 않는다. 항목 외의 로컬룰은 로컬 역 문서 참고.

역만 외의 역은 서로 중첩되어 판수에 가산되기 때문에 점수계산을 위해서도 손패가 어떤 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아는 것은 필수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리치마작/점수 참조.

2. 역의 명칭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게임이기 때문에 중국어 발음을 음차해서 읽는 경우가 많지만(일배구;이페코, 천화;텐호 등), 일부 역의 이름은 일본어 발음으로 바뀐 경우도 있고(소삼원;쇼산겐, 삼색동순;산쇼쿠도쥰), 중국어 발음과 일본어 발음이 혼재된 경우도 있으며(삼색동각;산쇼쿠도/코, 소사희;쇼/스시) 아예 국표마작과는 이름이 딴판이 된 이름이 있는가 하면(일기통관, 국사무쌍) 심지어 영어에서 가져온 이름도 있다.(도라) 특정 기업이나 단체가 규칙을 정해서 배급한 게임이 아니라 룰과 이름이 구전되고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서도 읽는 법이나 이름이 달라지는 것이다. 그나마 현대에는 프로 경기가 개최되기 때문에 읽는 법이 점차 통일되는 추세에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리치마작의 역을 읽는 방법에 딱히 기준은 없는 편이다. 한자의 한국어 독음대로 읽기(사암각), 일본에서 읽는 대로 읽기(스앙코), 원래 발음을 재구해 읽기(스안커) 등 일본보다도 훨씬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한국에서는 프로경기가 열리지 않는 대신 온라인 리치마작 서비스를 통해서 용어가 통일될 가능성이 있다.

3. 판()[2]수에 따른 역 설명

해당 문서는 일본프로마작연맹공식 룰을 기준으로 한다.
리치마작
1판 2판 3판 이상·만관
역만 로컬역
요약
일본프로마작연맹 공식 룰 기준 ※

===# 역 출현 확률 #===
순번 역 이름 판수 (후로 시[3]) 확률
<colbgcolor=#f5f5f5,#2d2f34> 1 리치 1판 (성립하지 않음) 45.1%
2 역패 1판 40%
3 탕야오 1판 21.4%
4 핑후 1판 (성립하지 않음) 19.9%
5 멘젠쯔모 1판 (성립하지 않음) 17.6%
6 일발 1판 (성립하지 않음) 10.2%
7 혼일색 3판 (2판) 6.31%
8 이페코 1판 (0판)[4] 4.75%
9 또이또이 2판 3.92%
10 삼색동순 2판 (1판) 3.46%
11 치또이쯔 2판 (성립하지 않음) 2.52%
12 일기통관 2판 (1판) 1.75%
13 찬타 2판 (1판) 1.24%
14 청일색 6판 (5판) 0.94%
15 산안커 2판 0.76%
16 하저로어 1판 0.63%
17 준찬타 3판 (2판) 0.38%
18 해저로월 1판 0.31%
19 영상개화 1판 0.28%
20 더블 리치 2판 (성립하지 않음) 0.19%
21 소삼원 2판 0.15%
22 혼노두 2판 0.08 %
23 삼색동각 2판 0.05%
24 량페코 3판 (0판) 0.05%
25 창깡 1판 0.05%
26 스안커 역만 (성립하지 않음) 0.049%
27 국사무쌍 역만 (성립하지 않음) 0.043%
28 대삼원 역만 0.039%
29 사희화 (소사희, 대사희) 역만 0.012%
30 자일색 역만 0.008%
31 산깡쯔 2판 0.005%
32 청노두 역만 0.00181%
33 지화 역만 (성립하지 않음) 0.00158%
34 녹일색 역만 0.0011%
35 구련보등 역만 (성립하지 않음) 0.00045%
36 천화 역만 (성립하지 않음) 0.000302%
37 스깡쯔 역만 0.000234%
출처 : #

코나미마작 파이트 클럽에서 2003년까지 집계한 역 발생 횟수 집계표. 오래된 자료긴 하지만 표본이 매우 많으므로 (리치만 거의 5천만 회) 통계적 확률을 따지는데 참고할 만하다.

이 게임이 서비스를 시작한 2003년엔 구련보등을 만수패로 만든 경우만 인정했다.[5] 또한 시리즈 전체에서 인화, 대차륜, 팔연장을 역만으로 인정한다.

일반역 역만

3.1. 초보자용 설명

나무위키의 설명이 지나치게 용어 통일이 되어있지 않고[6], 판수마다 분리된 문서로 서술되어 있어서 접근성이 좋지 않기에 초보자용 설명을 추가한다. 이후 사용되는 용어의 상세설명을 본문에 일일이 서술하면 문단이 너무 길어지므로, 몇몇 용어들만, 처음 한번에 한해 각주로 서술한다. 자세한 용어 설명은 마작/용어문서 참조.

3.2. 1판역

파일:5m.svg파일:5m.svg 파일:2s.svg파일:3s.svg파일:4s.svg 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 파일:1p.svg파일:2p.svg파일:3p.svg 파일:6p.svg파일:7p.svg
대기패 파일:5p.svg 혹은 파일:8p.svg
파일:2z.svg파일:2z.svg 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 파일:9p.svg파일:9p.svg
대기패 파일:2z.svg 혹은 파일:9p.svg
파일:3m.svg파일:3m.svg 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파일:6s.svg파일:7s.svg 파일:3p.svg파일:3p.svg파일:3p.svg
대기패 파일:2s.svg 혹은 파일:5s.svg 혹은 파일:8s.svg
파일:3m.svg파일:3m.svg 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파일:6s.svg파일:7s.svg 파일:3p.svg파일:3p.svg파일:t3p.svg
대기패 파일:2s.svg 혹은 파일:5s.svg 혹은 파일:8s.svg
파일:3m.svg파일:3m.svg파일:3m.svg 파일:4z.svg파일:4z.svg파일:4z.svg 파일:4p.svg파일:5p.svg 파일:9s.svg파일:9s.svg 파일:3s.svg파일:t3s.svg파일:3s.svg파일:3s.svg
대기패 파일:3p.svg 혹은 파일:6p.svg을 영상패에서 쯔모

3.2.1. 역패

파일:7s.svg파일:7s.svg 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 파일:6z.svg파일:6z.svg파일:t6z.svg 파일:5p.svg파일:5p.svg
대기패 파일:7s.svg 혹은 파일:5p.svg
파일:7s.svg파일:7s.svg 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 파일:2z.svg파일:2z.svg파일:t2z.svg 파일:5p.svg파일:5p.svg
대기패 파일:7s.svg 혹은 파일:5p.svg
파일:7s.svg파일:7s.svg 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 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 파일:1z.svg파일:1z.svg파일:t1z.svg 파일:5p.svg파일:5p.svg
대기패 파일:7s.svg 혹은 파일:5p.svg

3.2.2. 도라

화살표 좌측의 패가 도라표시패로 나오면,
그 오른쪽의 패가 실제 적용되는 도라패이다.
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파일:8m.svg파일:9m.svg파일:1m.svg
파일:1p.svg파일:2p.svg파일:3p.svg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파일:7p.svg파일:8p.svg파일:9p.svg파일:1p.svg
파일:1s.svg파일:2s.svg파일:3s.svg파일:4s.svg파일:5s.svg파일:6s.svg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파일:1s.svg
파일:1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4z.svg파일:1z.svg
파일:5z.svg파일:6z.svg파일:7z.svg파일:5z.svg
7만 || 파일:3s.svg
3삭 || 파일:9p.svg
9통 || 파일:9m.svg
9만 || 파일:1z.svg
동 || 파일:5z.svg
백 || 파일:4z.svg
북 || 파일:7z.svg
중 ||
8만 || 파일:4s.svg
4삭 || 파일:1p.svg
1통 || 파일:1m.svg
1만 || 파일:2z.svg
|| 파일:6z.svg
|| 파일:1z.svg
|| 파일:5z.svg
||
도라
파일:7m.svg파일:8s.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1x.svg
뒷도라
파일:4z.svg파일:7m.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1x.svg
적용값
파일:8m.svg 1개당 2판
(중복적용)
파일:1z.svg 1개당 1판
파일:9s.svg 1개당 1판

이 도라표시패를 적용한 구체적 예시를 들어보자.
파일:7m.svg파일:8m.svg파일:9m.svg 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 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 파일:5z.svg 파일:1x.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1x.svg[34]
영상패 쯔모 파일:5z.svg

3.3. 2판역

파일:3z.svg파일:3z.svg 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 파일:t2s.svg파일:3s.svg파일:4s.svg 파일:t2p.svg파일:3p.svg파일:4p.svg 파일:7m.svg파일:8m.svg
대기패 파일:6m.svg 혹은 파일:9m.svg
파일:1p.svg파일:1p.svg 파일:5m.svg파일:5m.svg파일:5m.svg 파일:5p.svg파일:5p.svg파일:t5p.svg 파일:5s.svg파일:5s.svg파일:5s.svg 파일:7m.svg파일:8m.svg
대기패 파일:6m.svg 혹은 파일:9m.svg
파일:5z.svg파일:t5z.svg파일:5z.svg 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 파일:t1m.svg파일:2m.svg파일:3m.svg 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 파일:1p.svg
대기패 파일:1p.svg
파일:3m.svg파일:3m.svg 파일:t1p.svg파일:2p.svg파일:3p.svg 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 파일:7p.svg파일:8p.svg파일:9p.svg 파일:1s.svg파일:1s.svg
대기패 파일:1s.svg 혹은 파일:3m.svg
파일:2p.svg파일:2p.svg 파일:8p.svg파일:8p.svg 파일:4m.svg파일:t4m.svg파일:4m.svg 파일:2z.svg파일:2z.svg파일:t2z.svg 파일:t7s.svg파일:7s.svg파일:7s.svg
대기패 파일:2p.svg 혹은 파일:8p.svg
파일:6m.svg파일:6m.svg파일:6m.svg 파일:7z.svg파일:7z.svg파일:7z.svg 파일:8s.svg파일:8s.svg파일:8s.svg 파일:9s.svg파일:9s.svg 파일:2p.svg파일:3p.svg
대기패 파일:1p.svg 혹은 파일:4p.svg
파일:1z.svg파일:1z.svg 파일:4z.svg파일:4z.svg 파일:3m.svg파일:3m.svg 파일:9p.svg파일:9p.svg 파일:1s.svg파일:1s.svg 파일:6z.svg파일:6z.svg 파일:1m.svg
대기패 파일:1m.svg
파일:6z.svg파일:6z.svg 파일:2z.svg파일:2z.svg파일:t2z.svg 파일:1m.svg파일:1m.svg파일:t1m.svg 파일:9s.svg파일:9s.svg파일:9s.svg 파일:9p.svg파일:9p.svg
대기패 파일:6z.svg 혹은 파일:9p.svg
파일:5z.svg파일:5z.svg파일:t5z.svg 파일:7z.svg파일:7z.svg파일:7z.svg 파일:6z.svg파일:6z.svg 파일:7p.svg파일:7p.svg파일:7p.svg 파일:6m.svg파일:7m.svg
대기패 파일:5m.svg 혹은 파일:8m.svg
파일:4p.svg파일:5p.svg파일:6p.svg 파일:9s.svg 파일:1x.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1x.svg 파일:1x.svg파일:4z.svg파일:4z.svg파일:1x.svg 파일:3s.svg파일:t3s.svg파일:3s.svg파일:3s.svg
대기패 파일:9s.svg

3.4. 3판역

파일:3z.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4m.svg파일:3p.svg파일:3p.svg파일:4p.svg파일:4p.svg파일:5p.svg파일:5p.svg
대기패 파일:3z.svg
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7z.svg
대기패 파일:7z.svg
파일:9m.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1s.svg파일:2s.svg파일:3s.svg파일:7s.svg파일:8s.svg파일:9s.svg파일:t9p.svg파일:9p.svg파일:9p.svg
대기패 파일:9m.svg
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5m.svg파일:5m.svg파일:7m.svg파일:8m.svg파일:4z.svg파일:4z.svg파일:t4z.svg
대기패 파일:6m.svg 혹은 파일:9m.svg

3.5. 6판역

파일:2s.svg파일:2s.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1s.svg 파일:5s.svg파일:6s.svg 파일:t4s.svg파일:4s.svg파일:4s.svg 파일:t9s.svg파일:7s.svg파일:8s.svg
대기패 파일:4s.svg 혹은 파일:7s.svg

3.6. 만관역

만관역은 로컬 룰이라 안 쓰이는 곳이 많으니 주의.

3.7. 역만

※ 가장 강한 역. 점수를 최대치로 주기 때문에 다른 역과는 복합되지 않는다.
※ 역만끼리의 복합이 되는 경우가 룰에 따라서 있는데, 이 경우 더블 역만, 트리플 역만이라고 부른다.
※ 난이도가 난이도인지라, 울어서 만들어도 인정해준다. 안되는 경우는 애초에 울어서 나는 역이 아니거나, 조건 때문이다.
파일:6z.svg파일:6z.svg파일:6z.svg파일:7m.svg파일:7m.svg파일:7m.svg파일:3p.svg파일:3p.svg파일:3p.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8s.svg파일:8s.svg
대기패 파일:2s.svg 혹은 파일:8s.svg 을 쯔모
(론이라면 삼암각 + 대대화 + 發, 5판 +a)
파일:1m.svg파일:9m.svg파일:1p.svg파일:9p.svg파일:1s.svg파일:9s.svg파일:1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4z.svg파일:5z.svg파일:6z.svg파일:6z.svg
대기패 : 파일:7z.svg
파일:5z.svg파일:5z.svg파일:t5z.svg파일:6z.svg파일:6z.svg파일:6z.svg파일:7z.svg파일:7z.svg파일:7z.svg파일:2s.svg파일:3s.svg파일:4s.svg파일:2z.svg
대기패 파일:2z.svg
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5z.svg파일:5z.svg파일:7z.svg파일:7z.svg
대기패 파일:5z.svg 혹은 파일:7z.svg
파일:2s.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2s.svg파일:3s.svg파일:4s.svg파일:6s.svg파일:6s.svg파일:6s.svg파일:6z.svg파일:t8s.svg파일:8s.svg파일:8s.svg
대기패 파일:6z.svg
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9m.svg파일:9m.svg파일:9m.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1s.svg파일:9s.svg파일:9s.svg파일:1p.svg파일:1p.svg
대기패 파일:9s.svg 혹은 파일:1p.svg
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4z.svg파일:3p.svg파일:3p.svg파일:3p.svg
대기패 파일:4z.svg
파일:1m.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파일:8m.svg파일:9m.svg파일:9m.svg파일:9m.svg
대기패 파일:1m.svg
파일:1x.svg파일:7m.svg파일:7m.svg파일:1x.svg파일:1x.svg파일:8s.svg파일:8s.svg파일:1x.svg파일:5m.svg파일:t5m.svg파일:5m.svg파일:5m.svg파일:5z.svg파일:5z.svg파일:5z.svg파일:t5z.svg파일:2z.svg
대기패 파일:2z.svg

3.7.1. 특수 형태

※몇몇 룰에서는 기존 역만의 더욱 어려운 형태를 성립시킬 경우 더블 역만으로 취급해준다. 엄밀히 따지자면 이 더블 역만도 로컬룰이므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46] 인정은 하지만 더블 역만이 아닌 1.5배 역만(대역만)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더블역만은 보통 일반 역만보다 난이도가 높지만, 의외로 쓰안커 단기 같은 것은 어려운 역만들에 비하면 난이도가 낮은 편이다. 반대로 위에 언급된 스깡즈는 더블역만을 포함해서 모든 역만을 따위로 만드는 높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파일:1s.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1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3z.svg파일:4z.svg파일:t4z.svg파일:4z.svg
대기패 파일:1s.svg
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6p.svg파일:6p.svg파일:6p.svg파일:7s.svg파일:7s.svg파일:7s.svg파일:3z.svg
대기패 파일:3z.svg
파일:1m.svg파일:9m.svg파일:1p.svg파일:9p.svg파일:1s.svg파일:9s.svg파일:1z.svg파일:2z.svg파일:3z.svg파일:4z.svg파일:5z.svg파일:6z.svg파일:7z.svg
대기패 : 위에 있는 것 중 아무거나
파일:1m.svg파일:1m.svg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파일:8m.svg파일:9m.svg파일:9m.svg파일:9m.svg
대기패 파일:1m.svg 부터 파일:9m.svg 까지 아무거나

[1] 카드게임의 족보를 예로 들었으니 이 경우도 거기에 빗대보자면, 하이 카드(탑)로는 이길 수 없는, 즉 최소 원페어는 하다못해 2 원페어라도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설령 A탑이고, 나머지가 이거보다 낮다고 해도(=2~k탑 or 폴드(다이)), 이긴게 아니란 소리다. 하지만 서로의 역을 비교하여 높은 쪽이 승리하는 게임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비유는 아니다.[2] 확장한자 중 하나인 '날 번'(과 동자) 자인데, 마작용어는 대부분 중국어 발음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중국어 발음인 판(fān, faan)으로 읽는 게 원칙이다. 일본에서도 음독으로는 '혼'이지만, 중국발음을 따라 '한'이라 읽는다. 영어권에서는 이를 음차하여 'han'이라고 한다.[3] 발성함으로써 다른 사람으로부터 패를 가져왔을 경우[4] 멘젠 한정인 것은 마찬가지라 후로 시 역이 깨지지만, '성립하지 않음' 은 아예 역의 형식조차 구현할 수 없게 되는 것이고 '0판' 은 형식상 구성이 가능하여 다른 역의 조건을 만족하면 화료할 수 있다.[5] 다른 구련보등은 2006년에 가동한 5부터 인정.[6] 사실 나무위키가 아니더라도, 사람마다 같은 용어를 다르게 말하는 경우도 많다.[7] "부로" 라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같은 뜻이며, 발음의 차이이다.[8] 한자로 하면 '문전(門前)'으로, 문을 닫았다는 뜻이다. 상대방에게 내 패가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9] 일본어론 야쿠나시(役なし). 단어 그대로 역이 없는 상태란 뜻이다. 이 상태에선 화료를 할 수 없으며, 이 상태로 화료를 선언하면, 역이 없으므로 무효이다. 패를 공개하기 전에 역이 없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화료 취소를 선언하면 해당 국 화료 불가로 끝이지만, 패를 공개한 이후라면 이미 모두가 패를 봐 버렸기 때문에 반칙으로 간주, 벌점을 내야 한다.[10] 이를 판내림이라고 한다.[11] 줄여서 쯔모라고 말하기도 한다.[12] 더 간단하게 줄여버리면, 처음부터 끝까지(=화료할때까지) 혼자서 패를 다 뽑아오면 된다는 소리다.[13] 패가 하나만 더 나오면 나는 상태[14] 즉 남은 점수가 1000점 미만이라면 선언 불가.[15] 다만 해당 패로 안깡은 가능하다. 물론 필수는 아니고 선택.[16] 왕패 중 도라표지패 왼쪽의 4장은 깡 선언 때 보충받는 패로 "영상패". 그래서 여기서 패를 가져왔는데 그걸로 화료하면 영상개화라는 역이 붙는다. 정확히 무슨 역인지는 후술.[17] 즉 리치를 선언하고 자신이 화료하면 리치 선언때 낸 1000점을 다시 회수할 수 있다. 1000점을 내는 것이 일종의 보증금 같은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18] 파일:작혼_도라표시패.jpg
화면 왼쪽 위에 있다. 일장기처럼 생긴 것이 리치봉 적립량이다.
[19] 아무도 울지 않고 한바퀴를 도는 것[20] 정확한 조건은 "어떠한 부수도 붙이지 않고 화료"이다. 본문의 내용은 이걸 풀어서 쓴 것. 부수가 뭔지는 리치마작/점수 문서에 나와있다. 심화과정에 속하니 계산은 옆에있는 고인물에게 맡기고 초보자라면 이 문서를 마저 읽자.[21] 장풍, 자풍, 객풍은 아래의 역패 문단에 서술되어 있다.[22] 가깡이라고도 하며, 퐁으로 커쯔를 만들어 놨는데 쯔모해서 1개가 더 나오면 깡을 선언하고 4개로 합치는 것[23] 다른 사람에게서 가져오지 않고 자기 손에 있는 4개로 깡을 하는 것.[24] 그래서 하저로어의 영문 명칭 중 하나가 Last discard(마지막 버림) 이다.[25] 서가 장풍이 되는 것은 서입이라는 일종의 연장전 때문에 가끔 보게 될 수도 있으나, 북은 일장전(동남서북장전을 전부 다 함)이 아니고서야 어지간하면 장풍패가 되지 않을 것이다[26] 이렇게 중복된 방향패, 즉 연풍패는 더블동 이라고도 부른다. 남/서/북이 중복될 경우에도 동일.[27] 다만 객풍패는 게임의 진행에 따라 시시각각 바뀌므로, 이걸 써도 핑후가 되는지 헷갈린다면 버리는게 속편하다.[28] 파일:작혼_도라표시패.jpg[29] 9의 다음 숫자는 10이지만 수패는 1~9까지만 있으므로 처음으로 돌아가는 것이다.[30] 깡에 따라 공개 순서가 약간 다르다. 안깡은 패를 버리기 전에 도라를 공개하고, 명깡은 패를 버린 후 공개한다. 그래서 명깡을 하면 도라가 될 패를 버리는 안타까운 일이 종종 일어난다.[31]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게임이 끝나기도 전에 자신이 볼 수 없는 패를 보는 행위는 상식적으로 반칙이다. 당연히 이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도라표시패, 다른 사람의 패 등도 마찬가지.[32] 후술하겠지만 대부분 수패들 중 5 한개를 칠해둔다. 그리고 이 붉게 칠해진 5만 5통 5삭은 각각 적5만 적5통 적5삭 이라고 부른다.[33] 적5만에 4만 4개가 모두 도라 표시패로 공개되면서 도라 4개가 붙는 경우(도라4+적도라 1)가 유일하다. 적5통과 적5삭도 마찬가지.[34] 똑같은 패를 자신이 4개 가진 상태로 깡을 선언하면 이렇게 양 끝을 뒤집어 표시해둔다.[35] 리치를 건 상태로도 안깡(손에 있는 패 4개로 하는 깡)은 할 수 있다. 당연히 그 깡으로 영상개화를 하면 리치+멘젠쯔모+영상개화로 최소 3판이 확정된다. 단, 깡을 했을 때 대기패가 바뀐다면 반칙이다.[36] 참고로 36000점이다.[37] 이 경우 그냥 리치가 된다.[38] 1, 9, 자패를 말한다.[39] '7페어'라고 하는것은 농담이 아니라 정식 영문 명칭이다.[40] 22334455667788이 있다고 치자. 22/33/44/55/66/77/88로 하면 치또이가 되고, 22/334455/667788 or 55/223344/667788 or 88/223344/556677로 량페코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판수가 더 높은 량페코만 인정한다. 참고로 예시로 든 저 형태대로 모으면 역만으로 쳐주는 로컬역도 있다.[41] 정확히는 울어서 만든 것으로 취급한다.[42] 리치마작에서는 같은 패 4개를 깡으로 선언하지 않았다고 해서 머리 2개로 쳐주지 않는다. 따라서 자일색 치또이는 정직하게(?) 7가지 자패를 모두 2개씩 모아야 한다. 이것을 "대칠성"이라는 더블역만으로 취급해주는 로컬룰도 있다.[43] 여러명이 깡을 총 4번하면 게임이 무효판이 된다.[44] 물론 깡을 4번이나 쳤으니 자연스레 단신단기(4번 울고 패 한개만 든 채로 머리를 기다리는 단기대기)가 된다.[45] 좀 극단적인 예시로는, 리치(1)+도라12 같은 것도 된다.[46] 기존 역만의 특수 형태이므로, 인정 안해주더라도 역만인 것은 똑같다. 더블 역만만 아닐 뿐이다.[47] 줄여서 스단이라고도 한다.[48] 원하는 대기패 중 하나라도 자신이 버린 적이 있다면 론을 선언할 수 없는 룰. 그 대기와 관련된 패는 전부 론을 선언할 수 없다. 쯔모로 뽑아와서 화료하는건 가능하지만, 론으로 화료하면 반칙이다.[49] 다만 13면 대기이기 때문에 론을 하지 않아도 웬만하면 쯔모로 화료가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