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3:14:35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A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161>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경기 일정
}}}
그룹
(9/18~9/28)
A조 B조 C조 D조
녹아웃 8강 (10/3~10/6)
4강 (10/11~10/12)
결승 (10/19)
논란 및 사건 사고

1. 개요2. 사전 예상3. 경기 진행
3.1. 1라운드
3.1.1. 1경기: EDG vs SSW
3.1.1.1. 경기 내용
3.1.2. 2경기: DP vs ahq
3.1.2.1. 경기 내용
3.1.3. 3경기: SSW vs ahq
3.1.3.1. 경기 내용
3.1.4. 4경기: EDG vs DP
3.1.4.1. 경기 내용
3.1.5. 5경기: DP vs SSW
3.1.5.1. 경기 내용
3.1.6. 6경기: EDG vs ahq
3.1.6.1. 경기 내용
3.2. 2라운드
3.2.1. 7경기: SSW vs DP
3.2.1.1. 경기 내용
3.2.2. 8경기: ahq vs SSW
3.2.2.1. 경기 내용
3.2.3. 9경기: DP vs EDG
3.2.3.1. 경기 내용
3.2.4. 10경기: ahq vs DP
3.2.4.1. 경기 내용
3.2.5. 11경기: ahq vs EDG
3.2.5.1. 경기 내용
3.2.6. 12경기: SSW vs EDG
3.2.6.1. 경기 내용
3.2.7. 순위 결정전: EDG vs ahq
3.2.7.1. 경기 내용
4. 최종 결과5. 총평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의 그룹 스테이지 A조에 관한 문서이다. 단판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펼쳐지며 조 1, 2위 팀은 8강에 진출한다.

2. 사전 예상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G-OLD-darkmode-logo.png 파일:Samsung white.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파일:Dark_Passagelogo_old.webp
EDG SSW AHQ DP

EDG와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1위 싸움+2위를 노리는 AHQ로 압축된다. 북미 팀을 디스한 두 팀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만난 것도 관전 포인트. 그리고 국내엔 아유미사쿠라캣으로 유명했던 웨스트도어의 첫 국제 대회다.

3. 경기 진행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파일:Samsung white.png
SSW 6 0 전승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G-OLD-darkmode-logo.png
EDG 4 3 TB
3
파일:Ahq_only_logo.png
AHQ 3 4 TB
4
파일:Dark_Passagelogo_old.webp
DP 0 6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3.1. 1라운드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1라운드
경기
블루팀
결과
레드팀
1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EDG SSW 파일:Samsung white.png
2경기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DP ahq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3경기 파일:Samsung white.png SSW ahq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4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EDG DP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5경기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DP SSW 파일:Samsung white.png
6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EDG ahq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3.1.1. 1경기: EDG vs SSW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1경기
Edward Gaming Samsung Galaxy
White
1패 결과 1승
3.1.1.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Edward Gaming, redteam=Samsung Galaxy White
, d_blueban1=야스오, d_blueban2=카사딘, d_blueban3=알리스타
, p_blueban1=yasuo, p_blueban2=kassadin, p_blueban3=alistar
, d_redban1=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ban3=잔나
, p_redban1=twitch, p_redban2=ryze, p_redban3=janna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자르반 4세,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쓰레쉬
, p_bluepic1=maokai, p_bluepic2=jarvanIV, p_bluepic3=orianna, p_bluepic4=lucian, p_bluepic5=thresh
, d_redpic1=럼블,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트리스타나, d_redpic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umble, p_redpic2=khazix, p_redpic3=zilean, p_redpic4=tristana, p_redpic5=nami)]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It didn't Mata.[1]
크레포
EDG는 LPL 팀들의 트레이드 마크라 할 수 있는 한타형 조합, 화이트는 전체적으로 밸런스가 잡힌 조합을 구성했다.

초반에는 EDG가 전반적으로 CS에서 앞서가고 드래곤까지 가져가는 등 유리한 고지를 잡아가나 싶었으나, 댄디가 계속해서 탑을 찔러대며 마오카이를 말려놓고 바텀에서는 임프-마타 듀오가 상대를 압도했다. 하지만 미드에서 폰이 U에게 밀리며 포탑을 먼저 밀리고 맵 주도권을 내주게 된다.

거의 대등한 상황에서 양 팀이 드래곤 한타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이 과정에서 U의 오리아나가 끊어먹기에 걸리고 죽지는 않았으나 본진으로 귀환하면서 드래곤은 무난히 화이트가 먹었다. 한타 타이밍을 날려먹은 EDG는 바론 지역 매복으로 상대를 유인해 보는데, 이게 완전히 패착으로 작용한다. 긴 시간을 매복하고 있는 와중에 라인 손해를 보고, 여기에 매복까지 걸리면서 졸지에 쫓기는 신세가 되어 임프의 트리스타나가 트리플 킬을 먹었고 화이트가 바론 버프까지 먹으면서 경기가 확 기울어 버린다.

미드 2차 포탑까지 밀려버린 상황에서 다소 답답한 모습이었던 화이트는 이후로 완전히 주도권을 잡으며 EDG를 밀어붙이기 시작한다. 폰이 월즈 울렁증인지 작년의 다데와 같은 모습을 보이며 여러차례 끊겨먹히는 모습을 보였지만, 경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 수준이었다.[2] 다만 화이트의 2차 바론 트라이에서 굉장히 성장을 잘한 임프가 앞점프로 패기를 부리다가 순삭당한 탓에 글로벌 골드가 1만 앞서있던 화이트가 한타에서 대패를 하고 만다. 그래도 바론 버프는 이미 화이트가 먹어놓은 상황이었고, 라인 상황도 애매했던 탓에 EDG는 드래곤을 가져가는 정도의 이득밖에 보지 못하며 경기 분위기를 뒤집는 데는 실패. 결국 이후 화이트가 침착하게 운영을 굴려나가면서 승리를 가져간다.

평이 많이 떨어진 LPL의 수준을 감안하면 EDG가 생각보다는 선전했다는 평가다. U가 미드에서 폰을 상대로 사실상 라인전을 승리한데다 클리어러브의 자르반이 시야석[3]까지 올려가며 화이트와 동등한 시야장악을 보여줬다.

나메이는 본인의 모스트 픽인 루시안을 픽하고, 임프가 후반 캐리형 챔피언인 트리스타나를 잡았는데도 바텀이 완전히 파괴당해서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사실상 초반은 정글-서포터의 역량 차이가 극명했던데다, 1만 골드가 차이나던 상황에서 바론 버프를 먹고 연 한타에서 하필 임프가 앞점프를 뛰어 시간 역행도 못 받고 자신이 순삭당하며 한타를 졌다. 해설들이 좀 과하게 EDG의 희망을 말한 감이 없지 않다. 게임은 진작에 터진 상황이었고, EDG는 사실 버티는 것 말고는 어떤 것도 할 수 없었다. 오리아나의 충격파가 대박으로 들어간다면이라는 가정을 계속해서 반복하지만 충격파가 대박난다는 것은 그야말로 가정에 불과했다. 화이트의 조합 자체가 충격파를 쉽게 맞아주기도 힘든 조합이었다.

3.1.2. 2경기: DP vs ahq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2경기
Dark Passage ahq e-Sports Club
1패 결과 1승
3.1.2.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Dark Passage, redteam=ahq e-Sports Club
, d_blueban1=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ban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twitch, p_blueban2=twistedFate, p_blueban3=zed
, d_redban1=알리스타, d_redban2=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ban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alistar, p_redban2=ryze, p_redban3=zilean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신드라, d_bluepic4=트리스타나, d_bluepic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maokai, p_bluepic2=leeSin, p_bluepic3=syndra, p_bluepic4=tristana, p_bluepic5=nami
, d_redpic1=니달리, d_redpic2=카직스, d_redpic3=피즈,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nidalee, p_redpic2=khazix, p_redpic3=fizz, p_redpic4=lucian, p_redpic5=thresh)]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가레나 리그 내내 밴을 당하던 웨스트도어의 피즈가 풀린 경기. 초반에는 탑과 바텀에서 서로 1킬씩을 주고받으며 비등한 양상으로 흘러갔지만, 미드에서 나루가 너무 허무하게 킬을 내주고 이후 연쇄 작용처럼 미드 부근에서 계속해서 킬이 나오면서 AHQ가 스노우볼을 마구마구 굴리기 시작한다. 이후 그린티의 로밍과 웨스트도어가 활약하며 쉽게 끝날 것처럼 보이던 경기지만, 묘하게 경기가 루즈해지고 결국 AHQ가 후반 운영에 대한 미숙함을 드러내며 어찌저찌 승리했다.

3.1.3. 3경기: SSW vs ahq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3경기
Samsung Galaxy
White
ahq e-Sports Club
2승 결과 1승 1패
3.1.3.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Samsung Galaxy White, redteam=ahq e-Sports Club
, d_blueban1=피즈, d_blue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fizz, p_blueban2=lucian, p_blueban3=zed
, d_redban1=알리스타, d_redban2=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ban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alistar, p_redban2=ryze, p_redban3=zilean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야스오, d_bluepic4=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쓰레쉬
, p_bluepic1=maokai, p_bluepic2=leeSin, p_bluepic3=yasuo, p_bluepic4=twitch, p_bluepic5=thresh
, d_redpic1=니달리, d_redpic2=카직스, d_redpic3=트위스티드 페이트, d_red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nidalee, p_redpic2=khazix, p_redpic3=twistedFate, p_redpic4=jinx, p_redpic5=blitzcrank)]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패기 있게 5픽 블리츠크랭크를 픽한 AHQ는 블리츠크랭크의 숙명(?)답게 5인 인베이드를 시도하지만, 미리 와드를 심은 화이트는 금방 사태를 파악하고 와드가 없는 레드 뒷쪽 부시에 잠복하여 마타의 3인 사슬 채찍으로 이니시를 건다. 이에 AHQ는 전원이 이탈하지 않고 끝까지 남아 1레벨 마무리를 당한다.

그렇게 초장부터 게임이 터지자 화이트가 코어템 하나 반 정도 만드는 동안 AHQ는 하위 아이템도 제대로 못 갖추는 상황에서 프로간의 경기에서는 쉽게 나오지 않을 학살의 현장이 벌어졌다. 딸피만 보면 냅다 던지면서 1킬 2데스씩 내는 마오카이, 리 신, 야스오, 그 와중에 혼자 열심히 랜턴으로 수습하고 다니는 마타가 보는 이들의 웃음을 자아냈다.[4] 그렇다고 마냥 던져댄 것은 아닌 게, 마구 던져도 상관없을 정도로 격차가 벌어져서 댄디의 리 신은 탐망과 BF를 차고 엄청난 딜량을 보여주고 폰은 니달리를 상대로 최후의 숨결도 안 쓰고 솔로킬을 내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결국 20분 조금 넘어 넥서스가 깨지면서 이번 월즈 최단 경기가 될지도 모르는 게임이 끝났다.

3.1.4. 4경기: EDG vs DP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4경기
Edward Gaming Dark Passage
1승 1패 결과 2패
3.1.4.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Edward Gaming, redteam=Dark Passage
, d_blueban1=니달리, d_blueban2=알리스타, d_blueban3=신드라
, p_blueban1=nidalee, p_blueban2=alistar, p_blueban3=syndra
, d_redban1=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 p_redban1=twitch, p_redban2=zilean, p_redban3=ryze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렝가,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그모, d_bluepic5=잔나
, p_bluepic1=maokai, p_bluepic2=rengar, p_bluepic3=orianna, p_bluepic4=kogmaw, p_bluepic5=janna
, d_redpic1=카직스, d_redpic2=누누/8.17 업데이트 전, d_redpic3=제라스,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khazix, p_redpic2=nunu, p_redpic3=xerath, p_redpic4=lucian, p_redpic5=thresh)]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EDG는 탑에 마오카이, 미드에 오리아나, 바텀에 코그모-잔나를 보내면서 다소 안정적인 조합을 구성했고, DP는 탑에서는 탱커를 상대로 공격적인 운영이 가능한 카직스와 정글에는 누누, 미드에는 제라스와 바텀에는 루시안-쓰레쉬라는 라인전에 좀 더 힘을 실은 조합을 구성했다. 그 탓인지 초반에는 팹패뷸러스가 마오카이를 솔로킬각을 내는 시도를 여러 번 보였고 마오카이가 아슬아슬하게 살아돌아가는 상황이 나오기도 했다. 그 외에는 초반은 무난한 분위기였으나 15분에 가까워지면서 승부처가 보이기 시작했다.

DP는 15분 즈음에 바텀을 푸쉬하는 타이밍을 찌른 클리어러브의 갱을 미리부터 대기하고 있던 크리스탈과 탑에서 앞서가던 팹패뷸러스의 빠른 합류로 받아치면서 렝가와 잔나를 잘라버렸다. 비록 순간이동으로 내려온 코로 때문에 누누를 잃기는 했지만 DP는 그렇게 약간의 이득을 챙기는 듯 했다. 그러나 잠시 후 EDG는 죽었던 잔나와 렝가가 부활하고 나서 곧바로 드래곤 싸움을 걸었고, 거기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DP에게 찬물을 끼얹어 버렸다.

그 뒤부터 DP는 기세를 잃고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고, 조합에서도 안정적인 EDG는 U가 삼거리에서 와드를 체크하던 나루의 제라스를 솔로킬내 버리는가 하면 무럭무럭 성장한 마오카이와 코그모, 그리고 아슬아슬한 모습을 보였지만 누누에 비해 훨씬 공격적으로 이득을 챙겨갈 수 있는 렝가를 앞세워 DP의 포탑을 하나하나 철거해 나가기 시작했다. 결국에는 조합의 안정성과 성장에서 완전히 밀려버린 DP가 그대로 무너지면서 EDG의 승리.

3.1.5. 5경기: DP vs SSW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5경기
Dark Passage Samsung Galaxy
White
3패 결과 3승
3.1.5.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Dark Passage, redteam=Samsung Galaxy White
, d_blueban1=야스오, d_blueban2=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트리스타나
, p_blueban1=yasuo, p_blueban2=zilean, p_blueban3=tristana
, d_redban1=니달리, d_redban2=마오카이, d_redban3=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nidalee, p_redban2=maokai, p_redban3=lucian
, d_bluepic1=알리스타, d_bluepic2=카직스,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쓰레쉬
, p_bluepic1=alistar, p_bluepic2=khazix, p_bluepic3=orianna, p_bluepic4=jinx, p_bluepic5=thresh
, d_redpic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pic2=리 신, d_redpic3=탈론(리그 오브 레전드)/6.22 업데이트 전, d_redpic4=베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잔나
, p_redpic1=ryze, p_redpic2=leeSin, p_redpic3=talon, p_redpic4=vayne, p_redpic5=janna)]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화이트가 당연한 클래스 차이를 보여주며 승리했다. 초반 3버프 컨트롤, 시야 장악, 오브젝트 컨트롤에서 정말 운영의 정석을 보여주면서 리스크를 동반하는 최소한의 교전도 하지 않으면서도 적의 영혼을 빼먹는, 그야말로 최고의 운영이 무엇인지 보여주었다.

DP는 게임 내내 블루 1번, 레드 2번을 제외한 버프 몹을 모조리 빼았겼다. LPL 최강팀 EDG를 상대로 순간이동을 이용해 퍼블도 따내는 등 나름대로 분전했던 DP였지만, 화이트의 운영에 녹아내렸고 결국 마지막에 임프에게 펜타 킬을 주면서[5] 질질 끌지 않고 서렌으로 게임을 끝냈다. 상대에게 데스는 물론 드래곤과 포탑까지 내주지 않은 그야말로 일방적인 승리였다. 외국 해설진은 DP가 화이트에게 조금씩 조금씩 양보하면서 한타를 바라보았다가 어느새 너무 불리해졌다고 평했다.

초반 라인전에서도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임프-마타는 베인-잔나로 징크스-쓰레쉬를 든 홀리피닉스-터치에게 전혀 밀리지 않으며 우수한 딜교환을 하고 CS를 앞서나갔으며 폰도 오리아나를 무리하게 킬하려하지 않고 그림자 공격의 쿨이 돌 때마다 딜교를 해주어 CS를 자유롭게 먹고 오리아나를 주춤하게 만드는 상당히 신선한 라인전 운영을 보여주었다.

3.1.6. 6경기: EDG vs ahq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6경기
Edward Gaming ahq e-Sports Club
2승 1패 결과 1승 2패
3.1.6.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Edward Gaming, redteam=ahq e-Sports Club
, d_blueban1=피즈, d_blueban2=리 신, d_blueban3=트위스티드 페이트
, p_blueban1=fizz, p_blueban2=leeSin, p_blueban3=twistedFate
, d_redban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ban2=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알리스타
, p_redban1=ryze, p_redban2=zilean, p_redban3=alistar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렝가, d_bluepic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쓰레쉬
, p_bluepic1=maokai, p_bluepic2=rengar, p_bluepic3=zed, p_bluepic4=twitch, p_bluepic5=thresh
, d_redpic1=니달리, d_redpic2=카직스, d_redpic3=탈론(리그 오브 레전드)/6.22 업데이트 전,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블리츠크랭크
, p_redpic1=nidalee, p_redpic2=khazix, p_redpic3=talon, p_redpic4=lucian, p_redpic5=blitzcrank)]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제드-탈론, 그리고 쓰레쉬-블리츠크랭크라는 칼과 칼의 대결이었다. 결과는 제드와 쓰레쉬를 제대로 활용한 EDG의 승리. AHQ는 초반에 잠깐 이뤄졌던 라인 스왑에서 맞라인으로의 전환 이후 니달리와 그린티가 킬각을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그리고 진작부터 미드에서는 라인전이 상대적으로 약한 웨스트도어의 탈론이 U의 제드에게 CS를 말리는 등 불안한 조짐이 보였다.

그리고 15분 즈음에 각 정글러의 움직임이 엇갈리면서 승리의 여신이 EDG에게 웃어주기 시작했다. 탑에 올라간 나즈와 니달리가 마오카이를 잡아내는 타이밍에 바텀에서 블리츠크랭크의 로켓 손에 걸려 개피가 되어버린 트위치를 포탑에 묶어두던 가넷데빌-그린티가 Fzzf와 클리어러브에 의해 삭제되어버린 것. 그리고 그대로 살아남은 EDG의 바텀 듀오와 클리어러브, U는 드래곤을 먹으면서 이득을 챙겼다. U는 드래곤을 먹고 본격적으로 몸이 풀린 것인지 올라가자마자 탈론에게 딜교를 걸더니, 죽음의 표식으로 추적하면서 탈론을 포탑 앞에서 삭제해 버렸다. 거기서 깔끔하게 그림자로 빠져나가는 U를 보며 한국 해설진은 숨겨둔 카드였나 하면서 놀라는 반응이었다. 그 뒤부터는 Fzzf와 U가 중요한 순간마다 한몫씩 해주며 스노우볼링을 굴려나갔고, 거기에 AHQ는 탈탈 털리면서 GG.

3.2. 2라운드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2라운드
경기
블루팀
결과
레드팀
7경기 파일:Samsung white.png SSW DP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8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ahq SSW 파일:Samsung white.png
9경기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DP ED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10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ahq DP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
11경기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ahq ED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12경기 파일:Samsung white.png SSW ED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순위 결정전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 EDG ahq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Ahq_logo_new.png

3.2.1. 7경기: SSW vs DP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7경기
Samsung Galaxy
White
Dark Passage
4승 결과 4패
3.2.1.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Samsung Galaxy White, redteam=Dark Passage
, d_blueban1=니달리, d_blueban2=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쓰레쉬
, p_blueban1=nidalee, p_blueban2=lucian, p_blueban3=thresh
, d_redban1=트리스타나, d_redban2=야스오, d_redban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tristana, p_redban2=yasuo, p_redban3=zilean
, d_bluepic1=알리스타, d_bluepic2=카직스, d_bluepic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잔나
, p_bluepic1=alistar, p_bluepic2=khazix, p_bluepic3=zed, p_bluepic4=corki, p_bluepic5=janna
, d_redpic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6.14 업데이트 전, d_redpic2=리 신, d_redpic3=피즈,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ryze, p_redpic2=leeSin, p_redpic3=fizz, p_redpic4=ezreal, p_redpic5=braum)]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화이트가 별다른 이변 없이 DP를 우주관광 보내며 이겼다. 충분히 여유가 있었지만 픽에서부터 알리스타, 제드, 코르키 등 진지하게 픽했고, 라인전과 한타 내내 최선을 다해 DP를 상대했다. DP는 카직스와 코르키를 잡아 겨우 2킬을 내고 서렌을 쳤다.

3.2.2. 8경기: ahq vs SSW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8경기
ahq e-Sports Club Samsung Galaxy
White
1승 3패 결과 5승
3.2.2.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ahq e-Sports Club, redteam=Samsung Galaxy White
, d_blueban1=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알리스타, d_blueban3=야스오
, p_blueban1=zilean, p_blueban2=alistar, p_blueban3=yasuo
, d_redban1=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니달리, d_redban3=마오카이
, p_redban1=zed, p_redban2=nidalee, p_redban3=maokai
, d_bluepic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리 신, d_bluepic3=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블리츠크랭크
, p_bluepic1=ryze, p_bluepic2=leeSin, p_bluepic3=twistedFate, p_bluepic4=jinx, p_bluepic5=blitzcrank
, d_redpic1=케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카타리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kayle, p_redpic2=khazix, p_redpic3=katarina, p_redpic4=lucian, p_redpic5=thresh)]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AHQ는 다시 한 번 블리츠크랭크를 픽하며 도박수를 던졌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화이트는 이 경기를 승리함에 따라 8강 진출 확정을 일찌감치 결정지었다. 다만 EDG가 2경기가 남아있고, 그 중 한 경기가 화이트전이다 보니 1위 확정은 아니다.

3.2.3. 9경기: DP vs ED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9경기
Dark Passage Edward Gaming
5패 결과 3승 1패
3.2.3.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Dark Passage, redteam=Edward Gaming
, d_blueban1=렝가, d_blueban2=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마오카이
, p_blueban1=rengar, p_blueban2=orianna, p_blueban3=maokai
, d_redban1=니달리, d_redban2=알리스타, d_redban3=신드라
, p_redban1=nidalee, p_redban2=alistar, p_redban3=syndra
, d_bluepic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브라움
, p_bluepic1=ryze, p_bluepic2=pantheon, p_bluepic3=jayce, p_bluepic4=lucian, p_bluepic5=braum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트리스타나, d_redpic5=쓰레쉬
, p_redpic1=irelia, p_redpic2=khazix, p_redpic3=zilean, p_redpic4=tristana, p_redpic5=thresh)]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3.2.4. 10경기: ahq vs DP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10경기
ahq e-Sports Club Dark Passage
2승 3패 결과 6패
3.2.4.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ahq e-Sports Club, redteam=Dark Passage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zilean, p_blueban3=ryze
, d_redban1=쓰레쉬, d_redban2=피즈, d_redban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thresh, p_redban2=fizz, p_redban3=zed
, d_bluepic1=이렐리아, d_bluepic2=리 신, d_bluepic3=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pic4=그레이브즈,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irelia, p_bluepic2=leeSin, p_bluepic3=twistedFate, p_bluepic4=graves, p_bluepic5=leona
, d_redpic1=니달리,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잔나
, p_redpic1=nidalee, p_redpic2=vi, p_redpic3=ahri, p_redpic4=lucian, p_redpic5=janna)]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초반 라인전부터 AHQ의 압살 모드였다. 경기 내용 자체는 무난하게 2~30분 내로 종료될 듯 압도적인 AHQ의 우세였으나, 지면 탈락 확정이라는 압박감이었는지, 혹은 자국 팬들을 위한 쇼맨쉽이었는지 0데스에 파괴된 포탑 0, 글로벌 골드가 2만이나 차이나는 상태에서 AHQ가 게임을 질질 끌기 시작한다. 압도적인 우세에 열광하던 대만 현지 팬들의 함성도 경기가 루즈해지며 완전히 잦아들었을 무렵 DP가 띄운 승부수로 한타가 열렸고, 그 한타에서 패배한 DP가 서렌을 치며 45분경이 되어서야 경기가 종료됐다.

3.2.5. 11경기: ahq vs ED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11경기
ahq e-Sports Club Edward Gaming
2승 3패 결과 3승 2패
3.2.5.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ahq e-Sports Club, redteam=Edward Gaming
, d_blueban1=알리스타, d_blueban2=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라이즈
, p_blueban1=alistar, p_blueban2=zilean, p_blueban3=ryze
, d_redban1=피즈, d_red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d_redban3=마오카이
, p_redban1=fizz, p_redban2=twistedFate, p_redban3=maokai
, d_bluepic1=케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리 신, d_bluepic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쓰레쉬
, p_bluepic1=kayle, p_bluepic2=leeSin, p_bluepic3=zed, p_bluepic4=jinx, p_bluepic5=thresh
, d_redpic1=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잔나
, p_redpic1=lulu, p_redpic2=khazix, p_redpic3=jayce, p_redpic4=lucian, p_redpic5=janna)]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EDG는 LCK 팀들과의 잦은 스크림에서 뭔가 느낀 것이 있었는지 지금까지의 한타 일변도 조합에서 벗어나 포킹 조합을 구성했다. 반면 AHQ는 폭딜이 가능한 제드-징크스-케일을 가져가며 양측의 조합 특색이 확연히 갈린 상황.

초반에는 한국 팬들에게 까이던 클리어러브가 성급한 카정으로 퍼블을 주고, AHQ가 탑 갱을 성공시키며 AHQ의 분위기가 나름 괜찮은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미드와 바텀 라인전이 모두 상당히 밀렸고, LCK 팀과의 스크림으로 시야 장악에 굉장히 신경쓰기 시작한 EDG에 비하면 AHQ의 운영은 여러모로 많이 모자라는 상황이었다. 결국 AHQ는 잘 큰 딜러들로 스플릿 푸쉬를 해보지도 못하고 우유부단하게 EDG의 포킹 조합에게 얻어맞으며 끊임없이 모든 오브젝트를 내주었다. 중간에 웨스트도어가 룰루를 바텀 2차 포탑에서 다이브 솔로킬을 내고 바텀을 한 번 푸시하기는 했지만, U가 미드 백도어로 억제기를 미는 와중에 더 큰 이득을 보지 못하면서 차이를 좁히는 데 실패했다.

계속해서 바론을 뜯기면서 글로벌 골드 차이가 만 골드 이상 벌어지고 AHQ가 무난하게 지나 싶은 상황에서, AHQ의 탑 내각 포탑을 무리해서 밀던 나메이의 루시안이 사형 선고를 얻어맞아 순삭당했고 이후 준 에이스가 뜨며 분위기가 이상해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바론 지역 대치 중에 나메이의 루시안이 다시 한 번 사형 선고를 맞고 순삭당하며 EDG의 3딜러가 모두 사망, AHQ가 내각 포탑부터 한 번에 밀어버리고 역전승을 거둔다.[6]

웨스트도어는 포션을 사지 않아 라인전에서 끊임없이 제이스의 포킹에 시달렸고 이후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그린티 역시 이번 월즈에서 먼지나게 까이던 EDG 바텀을 상대로 라인전을 크게 밀렸으나 둘은 함께 포킹 조합을 한순간 삭제해 버리며 멋진 역전승을 만들어냈다. 가넷데빌 역시 징크스로 이들과 좋은 스킬 연계를 보여주었다.

EDG는 믿었던 나메이가 패배의 원흉이 되었다. 익숙하지 않은 포킹 조합에서 자신의 모스트 픽이자 사거리가 짧은 루시안으로 포탑을 때리다가 물려 죽었고, 멘탈이 흔들렸는지 그 좋다던 한타 포지셔닝도 망가졌다. 화이트와의 1차전에서는 포지셔닝이 괜찮았고, 라인전 폭파는 서포터와 정글 탓이라는 온건파들도 꽤 있었으나 이 경기로 싹 돌아섰다.

후에 인터뷰에서 그린티는 "삼성 짜요!"라는 말을 남겼고, 이전 경기의 3연 블츠, 인베 작전 등의 예능감 등으로 한국 팬들에게 녹차갓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3.2.6. 12경기: SSW vs EDG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12경기
Samsung Galaxy
White
Edward Gaming
6승 결과 3승 3패
3.2.6.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Samsung Galaxy White, redteam=Edward Gaming
, d_blueban1=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렝가, d_blueban3=쓰레쉬
, p_blueban1=zilean, p_blueban2=rengar, p_blueban3=thresh
, d_redban1=야스오, d_redban2=카사딘, d_redban3=알리스타
, p_redban1=yasuo, p_redban2=kassadin, p_redban3=alistar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자르반 4세, d_bluepic3=피즈, d_bluepic4=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잔나
, p_bluepic1=maokai, p_bluepic2=jarvanIV, p_bluepic3=fizz, p_bluepic4=twitch, p_bluepic5=janna
, d_redpic1=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카직스, d_redpic3=직스, d_redpic4=코그모, d_redpic5=나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yze, p_redpic2=khazix, p_redpic3=ziggs, p_redpic4=kogmaw, p_redpic5=nami)]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White are real deal! This is not even close!!
LCS NA의 캐스터 Sam "Kobe" Hartman-Kenzler
초반은 이렇다 할 갱킹이나 라인전에서의 맞다이 없이 평범하게 흘러가나 싶었지만, 마타가 상당히 빠른 시간에 상대 정글 깊숙한 곳에 와드를 박으면서부터 시야를 장악하기 시작했고 폰이 탑으로 로밍을 가서 루퍼와 함께 라이즈를 잡고 동시에 댄디와 임프-마타가 드래곤을 먹는 경이로운 운영을 보여주며 초반 글로벌 골드 차이를 벌리기 시작했다.[7] 이를 시작으로 바텀에서 코그모가 댄디의 직선 갱에 잡히고, 폰이 댄디와 함께 탑에서 라이즈를 한 번 더 잡고 그와 동시에 화이트가 드래곤까지 먹으면서 격차는 더 벌어진다. EDG는 어떻게든 만회하기 위해 3인 갱으로 피즈를 노려봤지만 댄디의 귀신같은 커버로 서로 1:1 교환이 되어버리고 만다.

약간의 소강 상태가 지나가고 EDG는 블루 컨트롤을 막기 위해 정글에 들어오는데, 이를 마타가 울부짖는 돌풍으로 라이즈와 직스를 같이 띄움과 동시에 피즈의 미끼 뿌리기가 둘에게 들어가고 루퍼가 뒤틀린 전진으로, 댄디가 깃창으로 같이 들어가는 입롤급 이니시가 열린다. 돌풍 이전에 트위치의 둔화까지 묻었으니 5인의 CC기가 연계로 들어간 이니시에서 Fzzf가 급히 해일로 밀어내려 해봤지만, 라이즈는 1초 만에 순삭되고 직스는 바로 전장에서 이탈했으며, 카직스는 자르반의 대격변에 갇혀 아무것도 못하고 죽었고 나메이는 정글 사이에 갇힌 상태에서 개피였던 피즈 하나라도 따기 위해 노력해 보지만 그것마저도 마타의 점멸 회오리에 막히며 황천행. 게다가 U마저 전장 이탈 후 안이하게 바텀 2차 포탑 앞에서 귀환하다 임프에게 따이면서 게임이 완벽하게 터져버린다. 한국 해설진은 그야말로 아름다운 한타라면서 극찬했고, 외국 해설진도 "라이즈는 통통 튀다가 착지도 못하고 죽었다"라면서 경악한 한타였다.

이후 삼성은 계속 버프 몹, CS, 드래곤 등등 먹을 수 있는 건 내 쪽과 상대 쪽을 가리지 않고 단비마냥 닥치는 대로 먹는 희대의 스너프 필름을 찍었고, 그 스노우볼을 눈사태급으로 굴리면서 엄청난 교전 능력, 시야 장악, 잘라먹기 등을 동원해 결국 2만 5천 골드 차이를 벌리고 게임을 끝내버렸다. 임프의 무한의 대검 일시불 구입[8], 쌍둥이 포탑 다이브 5:0 에이스[9], 폰의 피즈가 우물 다이브 후 살아나오기 등은 덤이었다.

EDG가 넥서스가 터지는 순간 트위치 중계창은 "RIP, TSM."으로 도배되었다.[10] B조 2위가 결정된 TSM이 A조 1위인 화이트와 붙게 된 것을 겨냥한 채팅.

그야말로 탈수기 운영의 가장 성공적인 시나리오가 펼쳐진 경기였다. 화이트는 초반 라인전 단계에서 살짝 압박만 넣으면서[11] 상대를 구석으로 몰고, 그 사이 빠르게 귀환해 마타가 맵 장악을 한 것부터가 운영의 시작이었다.[12] 그리고 피즈가 6레벨을 찍고 탑 2인 다이브와 바텀 3인 드래곤은 그 자체만으로 대단했지만 사실상 이 한 방부터 2만 5천 골드 차이까지의 눈덩이가 굴렀다고 봐도 무방하다. 라인전에서 워낙 순조롭게 풀리다 보니 EDG 쪽에서 탈수기 운영에 대해 느슨해진 감도 있다. 조합상 후반으로 갈수록 화이트의 조합도 좋지만, EDG의 조합도 후반에 무식하게 강해지는 조합이라 '이렇게만 가준다면 우리야 좋지'라는 생각이 들었을 법도 하다. 하지만 화이트는 그저 라인전에서의 갱킹 등으로 인한 변수를 차단하고 손쉬운 운영을 하기 위함이었을 뿐이었다.

EDG는 시야가 장악당하자 합류 속도도 늦고, 그에 따라 소규모 국지전 단계에서 계속 삼성에 수적 열세로 싸워야 했으며 당연히 그때마다 질 수밖에 없었다. 19분경 자기 블루 진영에서 정식 5:5 한타를 열 수는 있었지만 이미 글로벌 골드가 4천이나 차이나는 상황이었고, 화이트의 경이적인 한타 능력으로 3명이 죽는 참사가 터졌다. 이 시점에서 경기는 끝난 거나 마찬가지였고, 화이트는 쉬지 않고 탑-미드-바텀을 다른 팀은 쫓아올 수 없는 엄청난 스피드의 돌려깎기를 시전했고 EDG 정글 쪽은 맵핵 수준으로 와드가 깔려있어 뭐 좀 움직임이 보였다 하면 항상 더 많은 숫자로 확실하게 끊어버렸다.[13][14] 직스가 수성의 달인이라고? 그럼 그냥 직스만 따로 있을 때 우르르 몰려가서 밀어붙이거나 아예 직스가 없는 곳을 도착하기 전에 밀어버렸다.[15] 결국 벌어지고 벌어지는 글로벌 골드 차는 한타에서의 확실한 승리마저 가져와 줬으니 이날 해설진은 화이트의 한타를 그야말로 아름다운 한타라며 예술이라고 까지 표현했는데, 이 한타 뒤에는 보는 사람조차 숨막히는 운영이 있었다. 참고로 저 두 표현은 한국 해설진뿐만 아니라 북미 해설진들도 중계를 하면서 언급했을 정도였다.

종합적으로 화이트의 장점들이 그대로 나온 경기였으며, 반대로 말하자면 EDG 입장에서는 그 초반의 스노우볼링 이후 계속해서 굴려지는 눈덩이를 막지 못한 것이 실력의 격차를 여실히 증명하게 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도마뱀 장로가 3번째 리젠됐을 때부터 경기가 끝날 때까지 전부 댄디와 임프에게 뺏겼다.[16][17] 탑 2인 다이브를 당해 라이즈가 죽고 나서 삼성이 계속해서 레드 쪽을 시야 장악하고 라이즈를 괴롭혔으며, 탑 1차가 무너지자마자 정글의 반을 점령당했는데도 이에 대한 특별한 대처도 없었고 다른 라인에서 이렇다 할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도 못했다. 전성기 SKK처럼 라인전 단계에서 부숴버린 것도 아니고, 현 블루처럼 무서운 한타를 하긴 커녕 역으로 무섭게도 박살났다. 그냥 전체적으로 질 만해서 졌다고 할 만한 경기였고, 누구 한 명만을 탓하거나 누구 한 명이 고통받는다는 평가를 내릴 수가 없었다. AHQ와의 순위 결정전이 만들어지는 경기인 것을 생각했을 때 아마 EDG는 이 한 경기 동안 삼성을 가장 빛내주는 악역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여담으로 이런 화이트를 상대로 희대의 우주방어를 보여준 이지훈은 재평가를 받았다.[18]

3.2.7. 순위 결정전: EDG vs ahq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결정전
Edward Gaming ahq e-Sports Club
2위 결과 3위
3.2.7.1. 경기 내용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밴픽
, blueteam=Edward Gaming, redteam=ahq e-Sports Club
, d_blueban1=피즈, d_blueban2=트위스티드 페이트, d_blueban3=쓰레쉬
, p_blueban1=fizz, p_blueban2=twistedFate, p_blueban3=thresh
, d_redban1=질리언(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알리스타, d_red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zilean, p_redban2=alistar, p_redban3=ryze
, d_bluepic1=마오카이, d_bluepic2=렝가, d_bluepic3=카사딘, d_bluepic4=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브라움
, p_bluepic1=maokai, p_bluepic2=rengar, p_bluepic3=kassadin, p_bluepic4=lucian, p_bluepic5=braum
, d_redpic1=럼블, d_redpic2=리 신, d_redpic3=제드(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umble, p_redpic2=leeSin, p_redpic3=zed, p_redpic4=jinx, p_redpic5=leona)]
경기영상 링크(온게임넷)
매치히스토리 링크
경기가 시작되고 난 뒤 Prydz와 웨스트도어가 좋은 플레이를 계속 보여주며 희망을 품게 했으나, 결국 1레벨부터 무너진 바텀 라인전과 드래곤을 계속 공짜로 내주면서 벌어진 스노우볼 때문에 EDG의 깔끔한 승리로 경기가 끝났다.

AHQ는 그린티의 좁은 챔피언 폭과 바텀의 약한 라인전이 결국 발목을 잡은 느낌이었다. 특히 밴픽에서부터 많이 꼬였는데, 라인전이 강한 루시안-브라움 조합에 대해 라인전이 매우 힘든 징크스-레오나 조합을 고른 것이 패인이 되었다.[19] 개인 기량이라도 앞섰으면 문제가 적었겠지만 바텀 라인 기량 차이가 워낙 심해서 징크스-레오나 조합은 CS는 커녕 경험치도 못 먹는 상황이 발생했다. 백미는 킬을 하나도 안 줬는데 맞라인을 선 루시안-쓰레쉬가 레벨이 6-6일때 징크스-레오나는 4-4인 장면이었다.

여담으로 4일차 경기는 A조, B조 전부 블루 진영을 택한 쪽이 이겼다. 김동준 해설은 이를 바탕으로 SKG의 승리를 때려맞히기도 했다.

4. 최종 결과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rowcolor=#fff> 순위 비고
1
파일:Samsung white.png
SSW 6 0 전승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EDG_logo.png파일:EDG-OLD-darkmode-logo.png
EDG 4 3 TB
3
파일:Ahq_only_logo.png
AHQ 3 4 TB
4
파일:Dark_Passagelogo_old.webp
DP 0 6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5. 총평


[1] matter와 Mata의 말장난, 의미를 살려 의역하면 마타가 문제를 마타 마타가 문제를 마타서 해결할 능력이 됨.[2] 그동안 트리스타나가 혼자서 스플릿 푸쉬로 탑과 바텀에 고속도로를 개통했기 때문이었다.[3] 이것이 결과적으로 자르반 아이템의 부실로 인한 영향이 역으로 나타났다.[4] 그렇다고 마타만 정색빨고 진지 모드로 빡겜을 한 것은 아니고, 마타도 고대유물 방패로 시작한 시작템을 유리해지니 도중에 서리여왕의 지배로 바꾸기도 하고 딸피인 상대를 보고 상대 미드 포탑에 다이브하다가 죽는 등 즐겜 모드로 적당히 던지기도 했다.[5] 쿼드라 킬이 발생해서 홀로 남은 팹패뷸러스가 일절 저항을 하지 않은 채 임프에게 맞아줬다.[6] 여기서 사실 위험할 수 있었던 게, 마지막에 AHQ가 넥서스 일점사를 하면서 리 신을 제외하고 전멸했었으며 그 리 신도 체력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만약 리 신이 죽으면 EDG 챔피언들이 다 부활할 시간이 되면서(루시안과 카직스의 부활 시간이 약 10초 정도 남았던 상황이었다.) 역으로 AHQ의 넥서스가 터질 수도 있었다.[7] 해외 중계진은 "삼성 화이트 제발..."이라 표현했다. 리그 오브 레전드의 라인전 운영의 기본은 정글러나 미드 라이너가 탑 또는 바텀 중 한쪽에 힘을 주면 반대쪽 라인은 몸을 사려 혹시 모를 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물론 한쪽에 갱이나 정글 몹 등으로 이득을 보면서 반대쪽 라인에서 적의 갱킹을 잘 받아쳐 양쪽 다 이득을 보는 경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반대쪽에서 수비를 잘해서 잘 받아친 거지 적어도 수준이 비슷한 팀들간의 경기에서 양쪽을 동시에 주도적으로 이득을 보기 위한 행동은 잘 나오지 않는다. 그런데 국제 대회에서 자국 리그 1위로 출전한 팀을 상대로 양쪽에서 동시에 주도적으로 이득을 취하는 상황이 나온 것이다. 심지어 로밍을 하면서 비워진 미드 라인 손해도 라인이 비었을 때 간 로밍이라 1웨이브에 불과했다.[8] 임프는 그 와중에 깨알같은 재미도 선사했는데, 코그모를 1:1로 암살하고도 체력이 거의 절반이나 남아있었는데 코그모의 시체를 피한답시고 2차 포탑 쪽으로 가서 2대를 맞는 바람에 체력이 깎인 뒤 코그모의 패시브로 인해 죽어 현상금을 내줬다. 재밌는 건 임프는 예전 SKK와의 경기에서도 피글렛의 코그모를 상대로도 레드 진영 2차 포탑 앞이라는 같은 위치에서 비슷한 상황을 연출한 적이 있다는 것이다. 둘 다 경기 결과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 역시 마찬가지.[9] 심지어 이 경우 억제기 앞 포탑이 멀쩡한 상태였다. 즉 포탑 2라인을 다이브해서 들어가서 5:0 에이스를 딴 것으로 관광급 결과였다.[10] Rest in peace TSM. 고이 잠들라 TSM.[11] 그냥 하다 보니 압박을 넣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의도적으로 라인전을 압박 단계에서 그친 경향이 있다. 실제로 댄디는 적극적으로 갱을 다니기보단 최대한 정글링에 집중했고, 마타의 와드도 이후 플레이를 보면 상대 정글의 동선을 체크해 갱킹을 대비하겠다는 것이었다.[12] 화이트의 이러한 판단은 상당히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편인데, 저 상황에서 북미 중계진들마저 처음엔 귀환타서 라인 스왑을 하는 게 아닌가 했다. 양측 모두를 볼 수 있는 중계진들마저 의도를 바로 알아차리지 못한 귀환 및 시야 장악 의도를 시야마저 없던 EDG 입장에서는 제때 파악할 수 없었을 것이다.[13] 이걸 단적으로 보여준 것이 쌍둥이 포탑 다이브 직후 임프가 귀환을 타지 않고 탑 라인 클리어를 하러 가는데 그때 Fzzf-U-클리어러브가 트위치를 잡으려는 시도를 하는 장면인데, 화이트는 이미 레드 쪽 부시와 탑 2차 포탑 앞 부시 안의 제어 와드로 이 움직임을 완벽히 알고 있었고 그 상황에서 이미 화이트 선수들이 그리 가고 있다는 핑이 마구 찍히고 있었다. 임프는 그 상황에서 귀환을 타려다가 다시 파밍하는 척하는 낚시를 했고, 이 시점에서 이미 나미와 카직스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 마타를 비롯한 화이트 선수들에게 포위된 상태였고 자신들이 잡으려던 트위치에게 더블 킬을 헌납하게 된다. 시야 장악을 통하여 얻은 정보로부터 상대방의 심리까지 이용하는 소름끼치는 상황 판단 능력과 댄디의 장막으로 잘 알려진 유기적인 커버 능력을 잘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게다가 그걸로 끝난 것도 아니라 그 직후 커버를 간 화이트 선수들이 바로 추적을 시작하여 다시 내각 포탑과 억제기 앞 포탑을 가로지르는 2중 포탑 다이브를 다시 하여서 코그모와 직스를 추가로 잡아냈고, EDG는 트위치 하나 끊어보려다가 결국 무려 4킬을 내주고 라인 클리어 기회까지 잃어버려 첫 억제기, 그것도 미드 억제기 하나 밀렸을 뿐인데 넥서스 포탑 2개가 전부 나가버린다. 화이트 선수들 없이 오로지 미니언 웨이브만으로. 탑 2차 포탑도 밀린 건 덤. 저 엄청난 스노우볼을 허용하면서 EDG가 얻은 건 다이브한 댄디의 자르반과와 폰의 피즈를 코로가 막타로 잡은 2킬 뿐이다. 그리고 그게 코로가 올린 처음이자 EDG의 마지막 킬이었다.[14] 쌍둥이 포탑 앞 한타가 끝난 후 댄디는 귀환해서 바로 수호 천사를 구입했는데, 이 시점에서 이미 다이브를 어느 정도 다시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트위치 암살 시도를 하기 위해 EDG가 4명이 온 것을 화이트는 알고 있었고, EDG의 2데스 직후 포탑 뒤로 후퇴한 나머지 2명에게도 핑이 찍히고 바로 직후 EDG의 넥서스로 몰려가는 미드 라인 미니언 웨이브에도 핑이 찍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미 화이트는 EDG가 과투자를 한 것을 알아챈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원래는 라인 클리어를 하고 있었으나 후퇴하는 직스와 라이즈를 보조하기 위해 나메이까지 탑으로 올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라인 클리어 타이밍을 더욱 놓치게 만들어 쌍둥이 포탑을 손실시키기 위해 다이브를 한 것으로, 당시 국내 해설진의 언급과는 달리 다소 무리한 플레이로 이득을 적당히 본 정도가 아니라 2데스만으로 일반적으론 미드 억제기 파괴만으론 쉽사리 얻을 수 없는 쌍둥이 포탑+탑 2차 포탑+4킬이라는 EDG 입장에선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이득을 취한 셈이다.[15] 이것이 LCK에서 직스가 사라진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 프로 선수들은 이미 직스에게 호되게 당했었고, 이에 대한 대처법도 한참 전에 마련한 이후였다. 즉 이런 상황이 일어난 건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16] 아예 언제 컨트롤당했는지 시점 파악도 안 되는 바람에 클리어러브가 망령에게 강타를 썼는데, 그때 바로 위에서 젠된 도마뱀 장로를 화이트가 유유히 서리를 시작하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숨막히는 시야 장악에 의해 도저히 버프 컨트롤을 막을 방도가 없었기에 일어난 해프닝으로, 저 장면 직전 북미 해설진들은 모든 EDG의 기지가 화이트에게 속해있다는 드립까지 쳤다.[17] 클리어러브는 버프 컨트롤을 당하는 것은 물론 망령 등의 다른 정글 몹도 수없이 스틸당한데다, 아예 경기 후반부에 가서는 탑 라인을 클리어하는 상황에서 나미와 함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트위치 한 명에게 암살당할 정도로 철저하게 고통받았다.[18] LCK 팀들은 그래도 화이트를 상대로 같은 전략을 1년 이상 계속 겪어와서 그런지 외국 팀보단 잘 대응하는 편이다. 근데 화이트의 이러한 탈수기 운영 역시 그 1년 넘게 지나오면서 점점 더 강력해졌다는 게 함정.[19] 사실상 브라움을 보고 레오나를 막픽으로 가져가 셀프 카운터를 맞은 밴픽이 패배의 최대 원인이었다. 후술하겠지만 이것 말고 다른 차이는 심각하지 않았기에 그린티가 잔나와 나미 중 하나만 다룰 수 있었다면 정말로 또 한 번 대어를 낚았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