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12:58:39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navy> 파일:럭비유럽.png럭비 유럽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olbgcolor=#fff>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colbgcolor=#fff>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colbgcolor=#fff>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colbgcolor=#fff>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제명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제명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6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파일:루마니아럭비국가대표팀.png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Romania national rugby union team
Echipa națională de rugby a României
별칭 스테자리 (Stejarii)[1]
소속단체 루마니아 럭비 연맹 (FRR)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비드 제라르 (David Gérard)
주장 마리우스 시미오네스쿠 (Marius Simionescu)
최다 출전 플로린 블라이쿠 (Florin Vlaicu) 129회
최다 득점 플로린 블라이쿠 (Florin Vlaicu)1,030점
최다 트라이 커털린 페르쿠 (Cătălin Fercu)33회
홈 경기장 스타디오눌 아르쿨 데 트리움프 (Stadionul Arcul de Triumf)
첫 국제경기 vs 미국 (0:23)1919년 6월 26일
최대 승리 vs 불가리아 (100:0)1976년 9월 21일
최대 패배 vs 잉글랜드 (0:134)2001년 11월 17일
럭비 월드컵 10회 진출
최고 조별리그
세계 랭킹 최고 13위(2006) / 최저 21위(현재)
역대 전적 501전 280승 12무 209패(55.9%)

1. 개요2. 역대 감독3. 역대 전적
3.1. 주요 대회 성적3.2. 국가별 상대전적
4. 개인 기록5. 선수단6. 둘러보기

1. 개요

루마니아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아마추어 시대엔 한가닥 하는 강팀이었고, 프로 시대에서도 유럽에서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참가국을 제외하고 조지아 다음 가는 위치를 오랫동안 유지해왔다. 그래서 1987 럭비 월드컵에 초청받음은 물론 2023 럭비 월드컵까지 모두 예선을 통과할 수 있었다.[2]

하지만 2023 럭비 유럽 챔피언십에서 포르투갈에 대패하여 2인자 자리도 밀렸음을 인증했다. 2024년엔 그나마 우위에 있던 스페인에게도 3인자 자리까지 내어준 모습까지, 조금씩 조금씩 전력이 후퇴하는 느낌을 주고 있다.

2. 역대 감독

과거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rowcolor=#ce1126> 아마추어 시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rowcolor=#fcd116> 이름 기간
<colbgcolor=#fff>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페트레 코스머네스쿠 1961~196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비오렐 모라리우 1965~196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페트레 코스머네스쿠 1968~197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발레리우 이리메스쿠 1973~1974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페트레 코스머네스쿠 1974~1981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테오도르 러둘레스쿠 1985~198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하이 나카 1987~1989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테오도르 러둘레스쿠 1989~199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페테르 야누세비치 1991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테오도르 러둘레스쿠 1992~1994 }}}
<rowcolor=#ce1126> 프로 시대
<rowcolor=#fcd116> 이름 기간
<colbgcolor=#fff><colcolor=#000>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미르챠 파라스키브 1994~1999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에두아르드 수츄 1999~2001
파일:프랑스 국기.svg 베르나르 샤레이르 2002~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필리프 소통 2004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베르 앙토냉 2004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니엘 상타망스 2005~200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린 모트 2007~2008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엘리스 미첸 2008~2009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린 모츠 2009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르주 레어르 2009~201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로메오 곤티냑 2010~2011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하랄람비에 두미트라슈 2012
파일:웨일스 국기.svg 린 하웰스 2013~2018
파일:프랑스 국기.svg 토마 리에브르몽 201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마리우스 친쿠임시 201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앤디 로빈슨 2019~202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에우젠 압조크 2022~2023
||<table bordercolor=#fcd116><rowbgcolor=#fcd116><rowcolor=#ce1126>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

3.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함. 출처

3.1.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fcd116>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3위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3위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3위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조별리그 조 4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4위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조별리그 조 4위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예선 탈락 실격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적당한 실력으로 첫 대회에 초청받은 이후 2023년 대회까지 모든 예선을 통과할 수 있었다. 단, 2019년 대회는 예선을 통과한 뒤 예선 과정에서 선수 기용 관련 부정이 스페인과 함께 적발되어 승점이 크게 깎였고, 결국 3위였던 러시아가 4승 4패의 성적에도 불구하고 유럽 1로 본선에 진출하고, 독일은 2승 6패로 2위를 하여 대륙간 최종전에 진출할 수 있었다.[3]

2023 럭비 월드컵 프랑스/B조라는 사상 최악의 죽음의 조에 배정받는 바람에 조별리그 역사상 최다 실점을 기록했다(287점).
럭비 유럽 챔피언십 (2000 ~ )
<rowcolor=#fcd116> 주요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17회 130전 112승 5무 13패 86.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5회 130전 88승 2무 40패 67.7%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회 115전 52승 4무 59패 45.2%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08전 54승 3무 51패 5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20전 49승 4무 67패 40.8%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45전 12승 1무 32패 26.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40전 10승 30패 2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50전 6승 1무 43패 12%
조지아가 지금만큼 잘 하지 못하던 21세기 초반인 2000, 2001-02, 2004-06, 2010년까지 최다 우승이었으나 조지아와 함께 스페인까지 치고 올라오며 2,3에서 엎치락뒤치락 하는 신세가 되었다. 마지막 우승은 2016-17시즌이며 이제는 포르투갈까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며 앞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이 예전처럼 낙관적이지 않게 되었다.

3.2.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ce1126>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10전 10패 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9전 9패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5전 5패 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전 3패 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전 2패 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전 2패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14전 2승 12패 14.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0전 8승 2무 40패 16%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9전 2승 7패 22.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8전 2승 6패 2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1전 3승 8패 27.3%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30전 9승 1무 20패 30%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전 1승 2패 33.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44전 16승 3패 25패 36.4%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6전 3승 3패 50%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3전 2승 1패 <colcolor=green> 66.7%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3전 2승 1패 66.7%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4전 16승 1무 7패 66.7%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5전 10승 1무 4패 66.7%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0전 7승 3패 7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2전 16승 6패 72.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5전 12승 3패 8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5전 4승 1패 8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31전 25승 6패 80.6%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6전 5승 1패 83.3%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8전 7승 1패 87.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40전 35승 5패 87.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8전 16승 2패 88.9%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13전 12승 1무 92.3%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18전 17승 1무 94.4%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전 2승 100%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2전 2승 10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4전 4승 100%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6전 6승 10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7전 7승 1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9전 9승 100%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10전 10승 100%

4. 개인 기록

현역은 볼드체로 표시
<rowcolor=#ce1126>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플로린 블라이쿠 센터 129회 2006~2022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미하이 마코베이 플랭커 72회 2012~2023
최다 트라이 커털린 페르쿠 풀백 33회 2005~2020 경기당 0.30회
최다 득점 플로린 블라이쿠 센터 1,030점[4] 2006~2022 경기당 8.0점
한 경기 최다 득점 이오누츠 토판 플라이하프 32점 2002.10.5 vs 스페인
한 경기 최다 트라이 게오르지에 라스카누 플랭커 5회 1972.5.2 vs 모로코
코르넬 포페스쿠 1986.10.18 vs 포르투갈
이오넬 로타루 1996.4.13 vs 포르투갈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루마니아럭비국가대표팀.png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e112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cd116> 포지션 소속팀 이름 출전 출전 비고
후커
(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슈테판 부루이아너
Ștefan Buruiană
22세 10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럭비 티미쇼아라 투도르 부트나리우
Tudor Butnariu
30세 21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슈틴차 바이아마레 이비디우 코조카루
Ovidiu Cojocaru
28세 38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웨스트하버 RFC 로버트 이리메스쿠
Robert Irimescu
29세 12회 미국 출신
프롭
(7)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테아우아럭비.png 바실레 발란
Vasile Balan
33세 26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US 닥스.png 토마 크레추
Thomas Crețu
23세 10회 프랑스 출신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몽투아 로고.png 게오르게 가지온
Gheorghe Gajion
32세 18회 몰도바 출신 부모/조부모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율리안 하르치그
Iulian Harțig
27세 27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코스민 마놀레
Cosmin Manole
30세 10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 래피드 부쿠레슈티 알렉산드루 사빈
Alexandru Savin
30세 44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럭비 티미쇼아라 조지 시코테
Joji Sikote
30세 -

(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테아우아럭비.png 이오누츠 도니치
Ionuț Donici
25세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슈틴차 바이아마레 니콜라스 이멜만
Nicolaas Immelman
32세 10회 남아공인 거주 기간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RC 마시 에손 로고.png 안드레이 마후
Andrei Mahu
34세 15회 몰도바인 부모/조부모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럭비 티미쇼아라 다비드 트러우샨
David Trăușan
23세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테아우아럭비.png 매튜 트웨들
Matthew Tweddle
33세 5회 남아공인 거주 기간
백 로우
(6)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케말 알티노크
Kemal Altinok
24세 4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테아우아럭비.png 크리스티 보보크
Cristi Boboc
30세 20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크리스티 키리커
Cristi Chirică
28세 20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소요 앙굴렘 로고.png 아드리안 미투
Adrian Mitu
21세 10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블라드 네쿨라우
Vlad Neculau
27세 26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드라고슈 세르
Dragoș Ser
26세 23회
스크럼
하프

(3)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스테아우아럭비.png 알린 코나케
Alin Conache
23세 25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가브리엘 루파누
Gabriel Rupanu
28세 38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슈틴차 바이아마레 토마 므르자크
Toma Mîrzac
25세 1회
플라이
하프

(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 래피드 부쿠레슈티 더누츠 지파
Dănuț Jipa
25세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힝클리 바오바사
Hinckley Vaovasa
27세 31회 뉴질랜드인 거주 기간
센터
(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알렉산드루 부쿠르
Alexandru Bucur
31세 19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미하이 그라우레
Mihai Graure
22세 13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 래피드 부쿠레슈티 가브리엘 포프
Gabriel Pop
27세 9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니사 럭비.png 아틸라 셉타르
Atila Septar
29세 7회 프랑스 출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슈틴차 바이아마레 제이슨 토마니
Jason Tomane
30세 25회 호주인 거주 기간

(3)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테비타 마누무아
Tevita Manumua
32세 19회 통가인 거주 기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CS부쿠레슈티.png 포노바이 탕이마나
Fonovai Tangimana
36세 35회 통가 출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일리에사 팅게
Iliesa Tiqe
24세 -
풀백
(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SCM USV 티미쇼아라 오비디우 네아구
Ovidiu Neagu
24세 7회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CSM 슈틴차 바이아마레 파울 포포아이아
Paul Popoaia
25세 19회
2025 가을 투어 선수단 (10월 29일 기준)
감독: 파일:프랑스 국기.svg 다비드 제라르 (David Gérard)
홈 경기장: 스타디오눌 아르쿨 데 트리움프 (Stadionul Arcul de Triumf)

}}}}}}}}}}}}

6. 둘러보기

파일:2025 럭비 유럽 챔피언십.png
2025 럭비 유럽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네덜란드 럭비 국가대표팀.png 파일:독일 럭비팀.png 파일:조지아 럭비 국가대표팀.png 파일:Spain_Rugby_logo.pn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루마니아럭비국가대표팀.png 파일:스위스 럭비팀.png 파일:Belgium National Rugby Union team.png 파일:포르투갈 럭비 국가대표팀.pn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

[1] The Oaks[2] 2019 럭비 월드컵은 예선 통과 후 부정이 적발되어 실격 처리[3] 당시 조지아가 2015년 대회에서 조 3위를 차지해 자동 진출해 있었기 때문에 유럽 예선 자리가 기존 2.5장에서 1.5장으로 줄었다[4] 테스트 매치 1,000점을 달성한 8명 중 한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