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7:42:40

스핀 대시

롤링 콤보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in_Dash_Generations.png

1. 개요2. 상세
2.1. 횡스크롤 게임에서2.2. 3D 액션 게임에서2.3. 미디어 믹스에서
3. 유사한 기술
3.1. 롤링 콤보3.2. 드리프트3.3. 버스트 대시3.4. 드롭 대시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에 등장하는 급가속 기술.

2. 상세

지면에 서있을 때 제자리에서 스핀하여 가속도를 붙인 다음[1] 엄청난 속도로 튀어나가는 기술이다. 소닉이 자력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급가속 기술이며, 스핀을 동반하는 만큼 공격 판정도 있어 어지간한 장애물은 시원하게 돌파가 가능하다. 참고로 제자리에서 스핀하는 것만으로도 접근해오는 적에게 카운터를 날릴 수 있다.

이 기술이 처음 등장한 작품은 소닉 더 헤지혹 2이다. 시리즈 첫작인 소닉 1에서는 본래 사용할 수 없는 기술이었지만, 세가 새턴용 합본 타이틀인 소닉 잼이나 소닉 더 헤지혹 제네시스를 포함한 각종 이식판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소닉 잼을 포함한 일부 이식작은 게임 시작 전에 스핀 대시의 ON/OFF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시리즈가 장기화되면서 플레이어블 캐릭터의 폭이 좁아지고 부스트까지 도입되면서 한동안 묻히나 싶었지만, 외전작과 이식작 등으로 시야를 넓혀보면 시기를 가리지 않고 상당히 보편적으로 사용된 기술이다. 당장 클래식 소닉 시리즈와 소닉 어드밴스 시리즈, 소닉 러너즈만 해도 대부분의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스핀 대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닉 대시에서는 아예 전 캐릭터의 공용 기술로 쓰였다.

2.1. 횡스크롤 게임에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Sonic_Generations_Spin_Dash.png

주로 쓰이는 발동 커맨드는 '제자리에 선 후 ↓버튼 홀드 + 점프 버튼 연타'로 충전 후 '↓버튼 떼기'. 제자리에 서서 웅크려야 쓸 수 있었기 때문에 연속 사용이 거의 불가능했고, 발동 후 내리막길을 타지 않는 한 점점 속력이 줄어 속력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문제는 후술할 '퀵 스핀 대시'의 도입으로 해결된다.

클래식 소닉 시리즈에서는 제자리에서 점프 버튼을 6회 입력하면 출력이 최대치가 되며, 입력 직후부터 출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최대 속도로 이동하고 싶으면 6회[2] 입력 직후 발진해야 한다. 메가드라이브 컨트롤러의 경우 점프 버튼 3개를 2번씩, 현대의 컨트롤러는 2개의 버튼을 3번씩 눌러서 빠르게 충전할 수 있다.[3]

소닉 제너레이션즈의 클래식 소닉은 모던 소닉의 부스트 버튼을 길게 눌렀다 떼는 것만으로 스핀 대시를 쓸 수 있게 되었다. 후술할 드림캐스트 Era의 방식을 2D 게임플레이에 도입한 것으로, 클래식 시절의 조작법도 유효하기 때문에 두 세대의 유저 모두 스핀 대시에 무리없이 적응이 가능했다. 참고로 이 게임의 스핀 대시는 최대 출력으로 사용하면 부스트보다 스피드가 빠르다.

소닉 붐 섀터드 크리스털에서는 차지 중에 좌우로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후속작인 소닉 붐 파이어 & 아이스에서는 차지 중에 좌우로 천천히 움직이는 것도 가능해졌다.

2.2. 3D 액션 게임에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hese_Moto_Bugs_sure_can%27t_bother_to_move_away.jpg
소닉 로스트 월드

클래식 시리즈는 게임이 횡스크롤로 진행되었지만, 게임이 본격적으로 3D 시점으로 넘어가자 ↓버튼으로는 스핀 대시를 쓰기 곤란해졌다는 조작법상의 문제가 생겼다. 이 때문에 기술의 발동 커맨드 및 성질이 달라졌는데, 소닉 제너레이션즈에서 '퀵 스핀 대시'라는 이름이 붙었다.

소닉 어드벤처를 기점으로 점프와 액션 버튼이 분리되어, 스핀 대시의 커맨드가 '액션 버튼 홀드로 충전 후 버튼 떼기'로 바뀌었다.[4] 제자리에서 서서 웅크리는 복잡한 동작이 '버튼 하나 누르는 것'으로 간소화되어, 연속 사용 및 속력 유지 문제, 그리고 발동 조건 등이 개선되었다. 스핀 대시로 구르는 와중에도 버튼 하나로 캔슬 및 재사용이 가능해진데다가, 사실상 땅에만 있으면 지형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오르막길을 오르다가도 '스핀 대시를 캔슬 → 재차 스핀 대시'를 반복하면 클래식 소닉은 오르지도 못할 경사로를 쉽게 오를 수 있다. 그래서 고수들은 스피드를 극한으로 끌어내기 위해서 스핀 대시 버튼을 오토파이어급으로 연타한다.

이 기술은 호밍 어택과 함께 드림캐스트 Era의 상징적인 기술이 되었지만, 소닉 러시로 시작된 모던 Era에서는 점차 부스트에 밀려났다. 다만 소닉 컬러즈소닉 제너레이션즈에서 핑크 스파이크를 사용하면 스핀 대시와 유사한 감각으로 가속할 수 있다.

소닉 로스트 월드에서는 부스트가 삭제되고, 2세대의 스핀 대시가 부활하는 동시에 성질이 다시 한 번 바뀌었다. 차지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 대신, 버튼을 뗀 후 주행 중에 다시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속력 저하 없이 무한 지속이 가능한 기술이 되었다. 심지어 스핀 대시 중에 점프를 하더라도 버튼에서 손만 떼지 않으면 착지하자마자 다시 풀 스피드로 스핀 대시에 돌입한다.[5] 사용 중 방향전환 능력은 2세대 소닉 시절에 비해 크게 떨어졌지만, 고수들의 플레이를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굴러만 다니는 소닉을 볼 수 있다.
파일:소프 소닉 스핀대시 최종.gif 파일:소프 테일즈 스핀대시 최종.gif 파일:소프 넠 스핀대시.gif
소닉 테일즈 너클즈
[6]

소닉 프론티어에서 부스트와 드롭 대시의 조합이 좋은 평가를 받게 되면서, 무료 대규모 업데이트 제2탄을 기점으로 원형인 스핀 대시 또한 부활했다. 다만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기술이 아니고, 모든 섬의 액션 체인 챌린지를 S랭크로 클리어해야 개방되기 때문에 적어도 게임의 종착점인 우라노스 섬까지는 도달해야 사용해볼 수 있다. 참고로 원래는 업데이트 제1탄의 내용물이었지만 완성도가 미비하다고 판단한 제작진의 의도로 제2탄으로 미뤄졌다.[7] 업데이트 제3탄으로 추가된 어나더 스토리에서는 게임 진행 도중에 자동으로 해금되지만 본편에서 우라노스 섬에 도달해야 한다는 점은 같다.

대규모 업데이트를 한 차례 건너뛰고 시간을 들인 밥값은 충분히 한다. 기본적으로 부스트에 비해 스피드와 방향 전환이 훨씬 우수하여 일단 습득하기만 하면 오픈 존과 전뇌 공간을 가리지 않고 이동이 훨씬 시원해진다. 편의성도 크게 개선되어 전작들과 달리 제자리에서 차지하지 않고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심지어 드롭 대시처럼 공중에서 발동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부스트랑 다르게 공격 판정도 건재하기 때문에 이전처럼 돌진하면서 공격하는 전법도 어느 정도 재현할 수 있다. 어나더 스토리의 전뇌 공간에는 이 전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유리한 루트가 여럿 존재한다.

이렇게 보면 사실상 부스트와 드롭 대시의 상위호환이지만 두 기술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한다. 부스트와 드롭 대시 모두 여전히 스핀 대시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부분이 남아 있기 때문. 먼저 부스트의 경우 기동력은 조금 떨어질지언정 발동 자체는 스핀 대시보다 자유롭다. 알기 쉬운 예로 그라인드 레일 위에서는 스핀 대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스트를 쓸 수밖에 없고, 공중에서도 스핀 대시는 준비만 가능하고 착지할 때까지 돌진할 수 없기 때문에 부스트와 호밍 대시가 더 유리한 측면이 있다. 그 외에도 전뇌 공간의 360도 루프를 비롯해서 스핀 대시의 발동이 불가능한 지형지물이 존재한다.

드롭 대시도 완전히 도태되지는 않았는데, 카오스 섬의 화산에 형성된 빙판 경사로처럼 여전히 드롭 대시로 오르는 쪽이 수월한 지형도 있다. 이와 같은 적절한 밸런스 조정 덕분에 스핀 대시 하나로 기술 두 개를 묻어버리는 불상사는 미연에 방지되었으며, 상황에 맞게 각각의 기술을 병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 밖의 단점은 스핀 대시마저도 부스트 게이지를 소모하게 됐다는 점 정도. 다만 사이 루프로 지면에 ∞ 기호를 그리기만 하면 꽤 오랫동안 게이지 소모가 멈추기 때문에 크게 체감되는 문제는 아니다. 게다가 숙련된 플레이어라면 신종 코코를 모아 부스트 게이지를 기존의 5배까지 늘릴 수 있으므로 더더욱 부스트 게이지를 걱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2.3. 미디어 믹스에서

3. 유사한 기술

3.1. 롤링 콤보

파일:external/www.sonicretro.org/ep2_wj_z2a1.jpg
파일:external/psnprofiles.com/2L0e7c1d.png
소닉 더 헤지혹 4 에피소드 2의 여러 콤비네이션 기술 중 하나. 테일즈와 함께 강력한 스핀 대시를 사용한다. 사용하는 순간 매우 빠른 속도로 구르기 시작하며, 플레이어가 임의로 사용을 중단하거나 장애물에 3번 부딪히면 해제된다.

일반 스핀 대시나 호밍 어택 등으로 3번 타격해야 박살나는 장애물이나 배드닉을 일격에 박살내는 파괴력을 자랑한다. 즉, 다른 스핀 계열 공격과 비교했을 때 약 3배의 공격력을 가졌다. 이 롤링 콤보와 위력이 비슷한 기술을 찾자면 소닉 히어로즈의 레벨 2 호밍 어택이 있고, 라이트스피드 어택처럼 훨씬 강력한 것도 있다.

콤비네이션 기술의 특성상 슈퍼화 중에 롤링 콤보를 발동하면 바로 변신이 풀려버린다. 이 때문에 슈퍼화를 임의로 해제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변신 풀자마자 튀어나가는 것이 싫다면 롤링 콤보를 쓰자마자 바로 중단해버리면 그만이다.

사용 중에는 스핀 점프 이외의 동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심지어 방향 전환도 하지 못한다.

3.2. 드리프트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onic_Generations_2014-11-6-23-17-41-587.png

부스트 중에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하는 기술인데, 소닉 제너레이션즈에서는 사용 시 소닉이 스핀을 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부스트(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드리프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버스트 대시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Burstdashtrue.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pinningburstdash.png
버스트 상태 사용 중

블레이즈 더 캣소닉 러시, 소닉 러시 어드벤처에서 사용하는 기술. 발동 커맨드를 포함한 사용법이나 목적은 스핀 대시와 똑같다. 그러나 몸을 말아 앞으로 구르는 스핀 대시와 달리, 버스트 대시를 사용할 때는 똑바로 선 상태로 몸을 토네이도마냥 회전시키며 가속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용자 특성상 쓸 때마다 전신에 불이 붙는다.

참고로 제자리에서 가속력을 모으는 동작을 '버스트 상태'라고 한다. 또한 빠르게 돌진할 때는 잘 보이지 않지만, 버스트 대시 중 회전하는 방향은 진행 방향에 무관하게 무조건 좌회전이다.

3.4. 드롭 대시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Drop_Dash.png
파일:소닉 매니아 드롭대시.gif 파일:소닉 프론티어 드롭대시 2.gif
소닉 매니아 소닉 프론티어

소닉 매니아에서 등장한 클래식 소닉의 새로운 공중 동작. 이후 소닉 포시즈, Nintendo SwitchSEGA AGES 소닉 1소닉 2, 소닉 오리진스의 애니버서리 모드, 소닉 슈퍼스타즈에서도 클래식 소닉의 전용 기술로서 꾸준히 등장한다.

스핀 점프 중에 점프 버튼을 한 번 더 누르고 일정 시간 이상 홀드하면, 특수한 효과음이 발생하고 소닉이 스핀하는 모습이 살짝 바뀐다. 그 상태로 지면에 떨어지면 착지하는 순간 스핀을 유지하면서 곧바로 가속할 수 있다. 스핀 대시가 지상에서 가속도를 붙이는 기술이라면, 이쪽은 공중에서 가속도를 붙이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어찌 보면 소닉 & 너클즈에서 메카 소닉이 사용하던 세 번째 공격 패턴과 유사하며, 스핀 대시 → 점프 → 드롭 대시 순으로 연계하면 소닉 로스트 월드의 스핀 대시처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임의 리드 프로그래머인 크리스천 화이트헤드의 인터뷰를 참고하자면, 논란의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스타 실드가 밀려난 이유는 클래식 소닉 시리즈에서 오르막길을 오를 때 발생하는 문제들을 완화하는 것이라고 한다. 기존에는 오르막길에서 속력이 잘 나지 않을 경우 속력을 내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쓰였다. 첫째는 뒤로 물러난 다음 재차 달려나는 것이고, 둘째는 스핀 대시를 써서 순간적으로 가속하는 식이다. 그러나 두 방법 모두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특히 후자는 쓰기에 앞서 제자리에 서야 하기 때문에 지형에 따른 제약도 생긴다. 드롭 대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다. 다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소닉 매니아에서도 드롭 대시 대신 인스타 실드 혹은 슈퍼 필 아웃을 사용하거나 세 기술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인스타 실드와 이 기술의 공통점은 배리어를 장비하고 있으면 스페셜 어택으로 대체된다는 점. 인스타 실드, 드롭 대시, 스페셜 어택 모두 점프 버튼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보니 발동 커맨드가 어느 정도 겹친다. 가령 플레임 배리어를 두르고 있을 때는 점프 중에 점프 버튼을 눌러도 불덩이 대시만 나가기 때문에 드롭 대시를 쓸 수 없다. 다만 인스타 실드나 스페셜 어택과 달리 드롭 대시는 무적 아이템의 효과가 발동 중일 때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착지 후 돌진하는 방향은 공중에서 플레이어가 바라보던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오른쪽으로 점프해도 착지하기 전에 왼쪽으로 방향을 돌리면 드롭 대시는 왼쪽으로 나간다. 덧붙여 슈퍼 소닉이 드롭 대시를 사용할 경우 착지 및 돌진하는 순간 화면이 살짝 흔들리는 연출이 발생하고 성능도 대폭 강화된다. 평소의 소닉이 쓰는 드롭 대시는 버튼을 1회 입력한 스핀 대시와 출력이 같은 반면, 슈퍼 소닉의 드롭 대시는 반드시 버튼 6연타에 준하는 최대 출력을 발휘한다.

소닉 프론티어에서는 모던 소닉이 이 기술을 사용한다. 다만 커맨드가 커맨드인지라 상술한 작품들과 달리 2단 점프 후에만 쓸 수 있다는 것은 불편한 점. 주로 부스트로는 등반이 어려운 오픈 존의 급경사 구간을 빠르게 등반하기 위해 사용된다. 잘만 활용하면 웬만한 경사는 빠르게 돌파해 산 꼭대기까지 쉽게 올라가는 소닉을 볼 수 있다.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의 소닉 제너레이션즈 파트에서도 클래식, 모던 소닉을 안 가리고 드롭 대시를 쓸 수 있게 되었다. 클래식 소닉은 새로 추가된 동명의 스킬이나 슈퍼 소닉 스킬을 장비해야 사용 가능하고 조작법은 기존의 게임들과 같다. 모던 소닉의 경우 같은 버튼을 쓰는 점프 대시에 이어서 사용 가능하며 클래식 소닉과 달리 드롭 대시가 아예 기본 동작에 포함되어 스킬이 불필요하다. 양쪽 모두 가속력은 기존의 스핀 대시나 부스트에 비해 약하지만 그나마 액트 2에서는 부스트 게이지가 비어 있을 때 가속하는 용도로 쓰일 여지가 있다.

2019년 말에 유출 및 공개된 소닉 더 헤지혹 3의 1993년 프로토타입 버전에 상당히 유사한 기술이 존재했었다. 당시에는 점프 중 방향키의 위쪽을 누르고 있으면 발동되었다.

4. 관련 문서



[1] 이 때의 치과 드릴 돌아가는 듯한 효과음 및 연출 때문에 씽씽이라는 별명이 붙었다.[2] 소닉 슈퍼스타즈에서는 8회.[3]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술은 피아노를 치듯이 버튼을 쓸어서 Piano Roll이라 불린다. 자세한 것은 이 영상을 참고할 것.[4] 정확히 말하자면 이 조작법은 소닉 3D 블래스트에서 처음 도입된 것으로 해당 작품은 2.5D 게임이지만 게임플레이 자체는 기존의 횡스크롤 게임과는 달리 탑뷰 시점에서 여러 방향을 입체적으로 움직이면서 진행하는 구조라 마찬가지로 ↓버튼으로 웅크려서 스핀 대시를 쓸 수가 없었다.[5] Wii U판은 2단 점프를 하면 스핀 대시가 풀리지만 3DS판은 2단 점프를 하더라도 스핀 대시가 지속된다.[6] 왼쪽에서부터 각각 지상에서 B+LT로 차지, 이동 중에 LT 입력, 낙하하면서 LT로 차지하는 방식이다. 참고로 소닉, 테일즈, 너클즈, 에이미의 스피드와 스핀 대시의 성능은 모두 같다.[7] 이때의 미완성된 스핀 대시는 스톰핑 버스트 · 라이트 대시 · 드롭 대시와 함께 섀도우 제너레이션즈에도 잔류하여 그대로 더미 데이터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일본어 더빙에서도 스핀 대시가 스핀 어택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대시가 아니라 어택이라고 번역된 건 이해가 가지만, 스핀을 돌풍으로 바꾼건 너무 유치한 느낌의 번역이다. 물론 소닉 붐이 아동용 애니긴 하다.[9] 스핀 대시라고 언급되는 게 후반인 것으로 보아, 번역가가 중간에 공식 번역명을 확인한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