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판 베토벤| 루트비히 판 베토벤 ]]Ludwig van Beethoven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관련 문서 |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생애 | 인간관계(베토벤의 여인들・불멸의 연인) | 이야깃거리 | 작품 세계 | |
베토벤의 교향곡 | |||||
초기 | |||||
1번 | |||||
중기 | |||||
2번 | 3번 "영웅" | 4번 | 5번 "운명" | 6번 "전원" | |
7번 | 8번 | ||||
후기 | |||||
9번 "합창" | | ||||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 |||||
초기 |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
6번 | 7번 | 8번 "비창" | 9번 | 10번 | |
11번 | 12번 | 13번 | 14번 "월광" | 15번 "전원" | |
중기 | |||||
16번 | 17번 "템페스트" | 18번 | 19번 | 20번 | |
21번 "발트슈타인" | 22번 | 23번 "열정" | 24번 "테레제를 위하여" | 25번 | |
26번 "고별" | 27번 | ||||
후기 | |||||
28번 | 29번 "함머클라비어" | 30번 | 31번 | 32번 | |
베토벤의 협주곡 | |||||
초기 | |||||
피아노 협주곡 1번 | 피아노 협주곡 2번 | ||||
중기 | |||||
피아노 협주곡 3번 | 피아노 협주곡 4번 |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 | 바이올린 협주곡 | |
삼중 협주곡 | |||||
후기 | |||||
(해당 없음) | |||||
베토벤의 다른 작품 | |||||
초기 | |||||
아델라이데 | 바이올린 소나타 제5번 "봄" | 바이올린 소나타 제7번 | 피아노 트리오 제4번 | ||
중기 | |||||
피델리오 | 바이올린 소나타 제9번 "크로이처" | 첼로 소나타 3번 | 엘리제를 위하여 | 에로이카 변주곡 | |
후기 | |||||
대푸가 | 디아벨리 변주곡 | 장엄 미사 |
}}}}}}}}} ||
{{{#fff 론도 카프리치오 사장조 작품번호 129 Rondo A Capriccio in G major Op.129}}} | |
창작시기 | 1795년 |
작곡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형식 | 론도 |
부제 | 잃어버린 동전에 대한 분노 Rage Over a Lost Penny |
1. 개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1795년에 작곡한 론도형식의 피아노 곡이다.2. 곡의 형태
2.1. 곡 전체
빠르고 활기차게 ( Allegro vivace )의 G장조 곡이다.2.2. 앞부분 ( 1~153마디 )
A-B-A-C-A-D-AA: 1~24마디에서 나온다. G장조-e단조-G장조
B: 25~32마디에서 나오고 경우에 따라 이부분을 반복하기도 한다. 조성은 e단조
C: 57~82마디에서 나오고 오른손은 빠른 아르페지오를 한다. 조성은 g단조
D: 107~129마디에서 나온다. 조성은 E장조
2.3. 뒷부분 ( 153~끝 )
A주제를 중심으로 변주를 한다.3. 여담
작곡이 된 후 1828년에 처음으로 출판된다.동전을 잃어버린 후에 작곡을 하여 동전을 찾는 마음을 나타낸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도 비슷한 이유로 작곡된 곡이 있다.
론도 카프리치오와 악흥의 순간을 비교하며 듣는 것도 재미있다.
현대에는 베토벤이 비트코인을 하다 폭락했다면 10번 교향곡이 나왔을 거라는 드립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