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6:37:19

로스앤젤레스 차저스/2025 시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역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시즌별 성적
2024 시즌 <colbgcolor=#ffb81c><colcolor=#0080c6> 2025 시즌 2026 시즌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rowcolor=#fff> 디비전 순위
(AFC West)
컨퍼런스 순위
(AFC)
리그 순위
(NFL)
승-패-무
2/4 6/16 -/32 7-4-0
플레이오프
-
<colbgcolor=#0080c6><colcolor=#ffb81c>
구단주 딘 스파노스, 톰 고어스
사장 A.G. 스파노스
단장 조 호티즈
감독 짐 하버
코디네이터 그렉 휴먼 (공격)
제시 민터 (수비)
라이언 피켄 (스페셜팀)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2025시즌 경기 일정
WK1 WK2 WK3 WK4 WK5 WK6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9/6
파일: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로고.svg
9/17
파일:덴버 브롱코스 로고.svg
9/22
파일:뉴욕 자이언츠 로고.svg
9/29
파일:워싱턴 커맨더스 로고.svg
10/6
파일:마이애미 돌핀스 로고.svg
10/13
WK7 WK8 WK9 WK10 WK11 WK12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콜츠 로고.svg
10/20
파일:미네소타 바이킹스 로고.svg
10/24
파일:테네시 타이탄스 로고.svg
11/3
파일:피츠버그 스틸러스 로고.svg
11/10
파일:잭슨빌 재규어스 로고.svg
11/17
바이위크
BYE WEEK
WK13 WK14 WK15 WK16 WK17 WK18
파일: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로고.svg
12/1
파일:필라델피아 이글스 로고.svg
12/9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12/14
파일:댈러스 카우보이스 로고.svg
12/22
파일:휴스턴 텍산스 로고.svg
12/29
파일:덴버 브롱코스 로고.svg
TBD
* 이 문서의 모든 경기 시간은 대한민국 표준시[ruby((KST), ruby=UTC+09:00)]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승 : 패 : 무

1. 개요2. 오프시즌
2.1. 선수단 변화
2.1.1. 영입2.1.2. 재계약2.1.3. 이적/방출
2.2. 드래프트
3. 53인 로스터4. 프리 시즌5. 정규 시즌
5.1. 1주차 - vs 캔자스시티 치프스 (승)5.2. 2주차 - at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승)5.3. 3주차 - vs 덴버 브롱코스 (승)5.4. 4주차 - at 뉴욕 자이언츠 (패)5.5. 5주차 - vs 워싱턴 커맨더스 (패)5.6. 6주차 - at 마이애미 돌핀스 (승)5.7. 7주차 - vs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패)5.8. 8주차 - vs 미네소타 바이킹스 (승)5.9. 9주차 - at 테네시 타이탄스 (승)5.10. 10주차 - vs 피츠버그 스틸러스 (승)5.11. 11주차 - at 잭슨빌 재규어스 (패)
6. 정규시즌 총평7. 포스트시즌 총평

1. 개요

짐 하버 감독의 두 번째 시즌이다.

2. 오프시즌

공격 측면에서는 메카이 벡튼, 나지 해리스, 드래프트 신인등을 통해 라인과 러닝게임 강화에 집중하며 코치진도 보강해 발전을 꾀했다.

반면 조이 보사, 푸나 포드 등 핵심 수비 자원 잃은 측면은 보강이 약했다는 평가가 있으며, 수비적인 안정성 확보 여부가 올해 성적의 관건이라는 시각이 많다.

2.1. 선수단 변화

2.1.1. 영입

2025년 오프시즌 영입 선수
<rowcolor=#0080c6> 포지션 이름 나이 이전 팀 계약
CB 돈테 잭슨 29 피츠버그 스틸러스 2년, $13M
CB 벤자민 세인트주스트 27 피츠버그 스틸러스 1년, $9.5M
WR 마이크 윌리엄스 30 피츠버그 스틸러스 1년, $16M
RB 나지 해리스 27 피츠버그 스틸러스 1년, $9.5M
DL 다숀 핸드 30 마이애미 돌핀스 1년, $2.3M
DT 네이콴 존스 27 마이애미 돌핀스 1년, $1.8M
C 안드레 제임스 28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1년, $1.17M
LB 델션 필립스 28 휴스턴 텍산스 1년, $2M
OG 메카이 벡튼 26 필라델피아 이글스 2년, $20M

2.1.2. 재계약

2025년 오프시즌 재계약 선수
<rowcolor=#0080c6> 포지션 이름 나이 계약
EDGE 칼릴 맥 34 1년, $18M
QB 테일러 하이니키 32 1년, $6.2M
DT 티에어 타르트 28 1년, $5.5M
LB 트로이 다이 28 2년, $8.5M
CB 일라이자 몰던 26 3년, $18.75M

2.1.3. 이적/방출

2025년 오프시즌 이적/방출 선수
<rowcolor=#0080c6> 포지션 이름 나이 이적 팀
DE 조이 보사 30 버팔로 빌스
DE 모건 폭스 30 애틀랜타 팰컨스
DT 푸나 포드 29 로스앤젤레스 램스
RB 거스 에드워즈 30 FA
CB 아산테 새뮤얼 주니어 25 FA
CB 크리스티안 풀턴 26 캔자스시티 치프스

2.2. 드래프트

파일:2025 NFL 드래프트 엠블럼.png
2025 NFL 드래프트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지명 선수
<rowcolor=#0080c6> 회차 순번 성명 포지션 학교
1 22 오매리언 햄튼
(Omarion Hampton)
RB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2 55 트레 해리스
(Tre Harris)
WR 미시시피 대학교
3 86 자마리 칼드웰
(Jamaree Caldwell)
DT 오리건 대학교
4 125 카일 케너드
(Kyle Kennard)
EDGE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5 158 키안드레 램버트스미스
(KeAndre Lambert-Smith)
WR 오번 대학교
165 오론데이 개즈던 2세
(Oronde Benjamin Gadsden II)
TE 시라큐스 대학교
6 199 브랜슨 테일러
(Branson Taylor)
OG 피츠버그 대학교
214 RJ 미켄스
(R. J. Mickens)
S 클렘슨 대학교
7 256 트리크웨제 브리지스
(Trikweze Bridges)
CB 플로리다 대학교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3. 53인 로스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0c6><tablebgcolor=#0080c6>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2025시즌 53인 로스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OFFENSE
<colbgcolor=#ffc20e><colcolor=#0080c6> QB 5 트레이 랜스 · 10 저스틴 허버트
RB 8 오매리언 햄튼 · 22 나지 해리스 · 28 하산 해스킨스 · 30 키마니 비달 · 44 스캇 매틀락FB
WR 1 쿠엔틴 존스턴 · 9 트레 해리스 · 12 데리어스 데이비스 · 13 키넌 앨런 · 15 래드 맥컨키 · 84 키안드레 램버트스미스
TE 42 터커 피스크 · 83 타일런 콘클린 · 86 오론데이 개즈던 2세 · 89 윌 디슬리
OL 64 트레버 페닝LG · 68 자미어 살리어OG · 73 메카이 벡튼RG · 75 브래들리 보즈먼C · 76 조 알트LT · 77 자이온 존슨LG · 78 안드레 제임스C · 79 트레이 핍킨스RT
DEFENSE
DL 90 티에어 타르트NT · 91 대숀 핸드DE · 92 저스틴 에보이비DE · 93 오티토 오그보니아NT · 96 네이콴 존스NT · 99 자마리 칼드웰NT
LB 0 데이얀 힌리ILB · 6 덴젤 페리먼ILB · 43 트로이 다이ILB · 45 툴리 투이풀로투OLB · 48 버드 두프리OLB · 50 케일럽 머피OLB · 52 칼릴 맥OLB · 53 델션 필립스ILB · 54 카일 케너드OLB · 58 말로우 왁스ILB · 98 오다페 오웨LB
CB 20 캠 하트 · 24 벤자민 세인트주스트 · 26 돈테 잭슨 · 29 타힙 스틸 · 46 니코 리드
S 2 일라이자 몰던SS · 3 더윈 제임스SS · 27 RJ 미켄스FS · 40 켄달 윌리엄슨FS
SPECIAL TEAM
ST 11 캐머런 디커K · 16 제이크 베일리P/H · 12 데리어스 데이비스KR/PR · 16 JK 스캇P · 47 조시 해리스LS
COACHING STAFF
감독 짐 하버
코디네이터 공격 그렉 로먼
수비 제시 민터
스페셜팀 라이언 피켄
코치 OFFENSIVE COACHES
패싱게임 코치 마커스 브래디
런게임 코치 앤디 비숍
QB 코치 셰인 데이
RB 코치 킬 맥도널드
WR 코치 산제이 랄
TE 코치 앤디 비숍
OL 코치 마이클 데블린
DEFENSIVE COACHES
DL 코치 마이클 엘스턴
LB 코치 나보로 보우맨
DB 코치 스티브 클링스케일
S 코치 애덤 풀러
용어 일람
QB · RB · WR · TE · OL · DL · LB · CB · S · K · P · H · LS · R
NFL 타 구단 선수단 보기
}}}}}}}}} ||

4. 프리 시즌

4.1. 1주차 - vs 디트로이트 라이언스 (승)

파일:NFL preseason logo.png
파일:디트로이트 라이언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08.01 09:00 (KST)
톰 벤슨 명예의 전당 스타디움 (중립)
TEAM 1Q 2Q 3Q 4Q TOTAL
DET 0 7 0 0 7
LAC 14 7 6 7 34

4.2. 2주차 - vs 뉴올리언스 세인츠 (승)

파일:NFL preseason logo.png
파일:뉴올리언스 세인츠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08.11 06:00 (KST)
소파이 스타디움 (홈)
TEAM 1Q 2Q 3Q 4Q TOTAL
NO 0 3 7 3 13
LAC 0 9 8 10 27

4.3. 3주차 - vs 로스앤젤레스 램스 (패)

파일:NFL preseason logo.pn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
2025.08.17 08:00 (KST)
소파이 스타디움 (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3 6 6 7 22
LAR 7 0 10 6 23

4.4. 4주차 - vs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패)

파일:NFL preseason logo.pn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로고.svg
2025.08.24 09:30 (KST)
리바이스 스타디움 (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0 13 0 10 23
SF 0 6 10 14 30

5. 정규 시즌

5.1. 1주차 - vs 캔자스시티 치프스 (승)

파일:2024 NFL 인터내셔널 게임(상파울루).png
파일:캔자스시티 치프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09.06 09:00 (KST)
네우 키미카 아레나 (홈)
TEAM 1Q 2Q 3Q 4Q TOTAL
KC 0 6 6 9 21
LAC 7 6 7 7 27
21-17로 승리하며 시즌을 1승 0패로 시작했다. 경기 초반부터 차저스는 주도권을 잡았고, 1쿼터에 쿠엔틴 존스턴의 터치다운으로 리드를 가져왔다. 저스틴 허버트는 패싱과 스크램블을 적절히 활용하며 공격을 조율했고, 경기 막판에는 11플레이 74야드 드라이브를 통해 승부를 확정지었다. 러싱 생산력은 제한적이었으나 효율적인 패싱 게임과 중요한 순간의 집중력으로 승리를 이끌었다.

수비진은 경기 내내 상대 공격을 억제하며 중요한 순간마다 힘을 발휘했다. 특히 3rd‑down 상황에서 강한 압박과 정확한 커버리지로 치프스의 시도를 여러 차례 저지했고, 하프타임까지 상대의 공격 리듬을 차단했다. 차저스는 수비와 특수팀 모두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며 경기 전반을 지배했다.

이 승리로 차저스는 시즌 초반 기세를 올리며 긍정적인 출발을 기록했다. 허버트와 존스턴을 중심으로 한 공격은 점차 완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수비는 중요한 상황에서 꾸준히 상대를 억제하고 있다. 다만 러싱 게임의 제한과 후반 공격 집중력 유지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5.2. 2주차 - at 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라스베이거스 레이더스 로고.svg
2025.09.16 11:00(KST)
얼리전트 스타디움(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10 7 3 0 20
LV 3 3 0 3 9
20–9로 승리하며 시즌 2연승을 기록했다. 차저스는 1쿼터부터 주도권을 잡고 한 번도 리드를 내주지 않았다. 2쿼터 중반 저스틴 허버트쿠엔틴 존스턴에게 60야드 터치다운 패스를 성공시키며 점수 차를 벌렸고, 이후 안정적인 경기 운영으로 승리를 확정지었다. 허버트는 242야드 2TD의 성적을 기록했으며, 러싱 생산력은 다소 제한적이었지만 패싱 중심의 효율적인 공격으로 경기를 풀어갔다.

수비진은 경기 내내 레이더스 공격을 압도했다. 새 수비 코디네이터 제시 민터의 시스템 아래 차저스는 강력한 패스 러시와 조직적인 커버리지를 선보였다. 레이더스 쿼터백 지노 스미스를 지속적으로 압박해 인터셉션 3개를 유도했고, 상대를 터치다운 없이 필드골 3개로만 묶는 데 성공했다. 특히 세컨더리 라인의 패스 차단 능력이 돋보였으며, 경기 전체에서 단 218야드만 허용했다.

이 승리로 차저스는 AFC 서부지구에서 2승 0패를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이어갔다. 공격에서는 허버트와 존스턴의 호흡이 점차 완성도를 높이고 있으며, 수비는 리그 상위권 수준의 안정감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4쿼터 이후 공격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점이 과제로 지적되었다. 전체적으로는 공수 밸런스를 갖춘 경기 운영으로 시즌 초반 가장 인상적인 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5.3. 3주차 - vs 덴버 브롱코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덴버 브롱코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09.22 05:05(KST)
소파이 스타디움(홈)
TEAM 1Q 2Q 3Q 4Q TOTAL
DEN 0 7 10 3 20
LAC 3 7 3 10 23
20-23으로 승리하며 시즌 3연승을 달성했다. 경기 초반에는 차저스가 10‑0으로 리드를 잡았으나, 3쿼터 중반까지 브롱코스에 20‑10으로 역전을 허용하는 위기를 맞았다.

후반 막판, 저스틴 허버트가 약 76야드, 7플레이 드라이브를 이끌어 키넌 앨런에게 20야드 터치다운 패스를 연결하며 경기를 동점으로 만들었다. 이어진 수비 스톱 후, 키커 캐머런 디커가 경기 종료 직전 43야드 필드골을 성공시키며 승리를 확정지었다.

이 승리로 차저스는 2002년 이후 처음으로 시즌 개막 3연승을 기록하며 AFC 서부에서 강력한 출발을 보였다. 다만 러싱 생산이 여전히 제한적이었고, 3쿼터 동안 리드를 내준 흐름은 향후 경기에서 보완이 필요한 과제로 남았다.

5.4. 4주차 - at 뉴욕 자이언츠 (패)

파일:NFL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뉴욕 자이언츠 로고.svg
2025.09.29 02:00(KST)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0 10 8 0 18
NYG 7 6 8 0 21
18-21로 패하며 시즌 첫 패배를 기록했다. 경기 초반부터 실수가 잦았고, 1쿼터에 15야드 러닝 터치다운을 허용하며 0‑7으로 출발했다. 이어서 2쿼터에 상대 인터셉션으로 골문 앞까지 내준 뒤 다시 실점하며 10‑0으로 뒤처졌다.

2쿼터 막판에 저스틴 허버트쿠엔틴 존스턴에게 36야드 터치다운 패스를 연결하며 추격의 불씨를 살렸고, 3쿼터 중반에는 루키 러닝백 오매리언 햄튼이 54야드 대폭주 터치다운과 허버트의 2점 변환으로 21‑18까지 따라붙었다. 그러나 4쿼터에 결정적인 추가 득점이 나오지 않았고, 마지막 드라이브에서 공격이 멈추면서 경기를 뒤집지 못했다.

이 경기를 통해 차저스는 리드한 경기에서 마무리가 부족하다는 점이 다시 드러났고, 턴오버 2개가 상대에게 10점을 내주게 만든 결정적 요인이었다. 공격·수비 모두 평소보다 흐름에서 밀린 모습이었으며, 앞으로 경기 막판 운영과 집중력 유지가 과제로 남았다.

5.5. 5주차 - vs 워싱턴 커맨더스 (패)

파일:NFL 로고.svg
파일:워싱턴 커맨더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10.06 05:25(KST)
소파이 스타디움(홈)
TEAM 1Q 2Q 3Q 4Q TOTAL
WAS 0 10 10 7 27
LAC 10 0 0 0 10
27-10로 패하며 시즌 성적이 3승 2패가 되었다. 경기 초반에는 0-10으로 앞서며 유리한 흐름을 가져갔으나, 쿠엔틴 존스턴의 레드존 펌블 이후 분위기가 완전히 넘어갔고, 커맨더스가 연속 27점을 득점하며 승부를 뒤집었다.

공격에서는 저스틴 허버트가 안정적인 패싱을 시도했으나, 여러 차례 보호 실패와 페널티로 인해 드라이브가 중단되는 장면이 많았다. 러싱 생산도 제한적이었고, 레드존 근처에서의 효율적인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하며 득점력이 크게 떨어졌다.

수비진은 초반에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후반 들어 상대 러싱을 막지 못하며 연속 실점을 허용했다. 이 경기로 차저스는 리드 상황에서 경기 마무리와 후반 집중력 유지가 시즌 남은 경기에서 중요한 과제임이 다시 확인되었다.

5.6. 6주차 - at 마이애미 돌핀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돌핀스 로고.svg
2025.10.13 02:00(KST)
하드록 스타디움(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6 3 14 6 29
MIA 7 6 0 14 27
29‑27로 꺾으며 시즌 성적을 4승 2패로 끌어올렸다. 경기 전반에는 13‑9로 뒤처졌으나, 3쿼터에 연속 터치다운을 포함한 72야드 드라이브 등으로 흐름을 뒤집었다.

후반전부터 공격이 살아났다. 3쿼터 시작 직후 5야드 터치다운 패스를 성공시켰고, 이어 상대 인터셉션을 유도한 뒤 추가 득점에 성공하며 23‑13까지 리드했다. 그러나 4쿼터에 돌핀스의 역습으로 동점 및 리드를 내줬고, 결국 경기 종료 5초를 남기고 키커가 33야드 필드골을 성공시켜 승리를 확정했다.

이번 승리로 차저스는 위기를 반등시키는 중요한 승리를 거뒀다. 패배 위기에서 벗어나 공격과 수비가 결정적 순간에 제 몫을 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다만 전반전 저조했던 공격 효율과 4쿼터 집중력 유지라는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5.7. 7주차 - vs 인디애나폴리스 콜츠 (패)

파일:NFL 로고.svg
파일:인디애나폴리스 콜츠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10.20 05:05(KST)
소파이 스타디움(홈)
TEAM 1Q 2Q 3Q 4Q TOTAL
IND 6 17 15 0 38
LAC 3 0 14 7 24
38-24로 패하며 시즌 성적이 4승 3패가 되었다. 경기 초반부터 수비가 무너지며 콜츠가 1쿼터부터 리드를 잡았고, 2쿼터 중반까지 23‑3으로 뒤처진 채 전반을 마쳤다. QB 저스틴 허버트는 두 개의 인터셉션을 허용하며 흐름이 완전히 넘어갔다.

후반 차저스가 허버트를 중심으로 반격을 시도해 3쿼터에 쿠엔틴 존스턴키넌 앨런에게 연속 터치다운을 연결하며 격차를 좁혔고, 4쿼터에 루키 오론데이 개즈던 2세에게 터치다운을 성공시켰으나 이미 리드는 너무 컸다.

이 패배로 차저스는 리그 상위권 도약에 제동이 걸렸다. 긍정적으로는 게즈든이 164야드와 터치다운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여줬으나, 러싱 생산력 부족과 1·2쿼터 수비의 붕괴는 앞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

5.8. 8주차 - vs 미네소타 바이킹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바이킹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10.24 09:15(KST)
소파이 스타디움(홈)
TEAM 1Q 2Q 3Q 4Q TOTAL
MIN 0 3 7 0 10
LAC 7 14 3 13 37
10-37으로 크게 이기며 시즌 전적을 5승 3패로 끌어올렸다.

초반부터 차저스가 흐름을 잡았고, 1쿼터에 오론데이 개즈돈 2세에게 8야드 터치다운 패스를 성공시키며 리드를 잡았다. 이어 러싱에서는 키마니 비달이 자신의 첫 터치다운을 포함해 활약했고, 전반에만 21‑3으로 앞서며 승기를 굳혔다. 공격 전체 야드가 419야드에 달했고, 러싱에서도 200야드를 넘으며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보였다.

수비 측면에서도 차저스가 우위를 점했다. 바이킹스는 전체 공격야드 164야드, 러싱 야드 34야드에 그쳤으며, 쿼터백 카슨 웬츠는 지속적인 압박을 받았다. 3다운 상황에서도 수비가 안정적으로 대응하며 경기를 통제했다. 이번 승리로 팀은 최근 부진을 털어내며 반등에 성공했으나, 짧은 기간에 강도 높은 경기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체력과 부상 관리가 향후 과제로 남았다.

5.9. 9주차 - at 테네시 타이탄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테네시 타이탄스 로고.svg
2025.11.3 03:00(KST)
닛산 스타디움(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7 13 0 7 27
TEN 14 3 0 3 20
27‑20으로 승리하며 시즌 전적을 6승 3패로 끌어올렸다. 경기 초반 상대에게 인터셉션 리턴 터치다운과 펀트 리턴 터치다운으로 불리한 시작을 했으나, 차저스는 2쿼터부터 반격을 시작하며 전반을 13-17로 뒤진 채 마감했다.

후반 들어 수비진의 결정적 골문 앞 스톱이 전환점이 되었다. 3쿼터 중반, 타이탄스가 차저스 1야드까지 진출한 상황에서 연속 러시를 저지하며 리드를 지켜냈다. 이어 공격이 반격에 나섰고, 저스틴 허버트가 99야드 15플레이 드라이브를 이끌며 직접 1야드 러시로 터치다운을 성공시켜 승기를 잡았다.

이번 승리로 차저스는 위기를 극복하며 승리를 거두었고, 수비가 상대 공격을 압박하며 리듬을 잃게 만든 점이 인상적이었다. 다만 공격 라인의 부상 이슈가 다시 드러났으며, 리드 이후 경기 마무리 집중력 유지가 앞으로 남은 과제다.

5.10. 10주차 - vs 피츠버그 스틸러스 (승)

파일:NFL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스틸러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2025.11.10 10:20(KST)
소파이 스타디움(홈)
TEAM 1Q 2Q 3Q 4Q TOTAL
PIT 3 0 0 7 10
LAC 2 10 3 10 25
10-25로 이기며 값진 승리를 거뒀다. 경기 초반에는 스틸러스가 59야드 필드골로 먼저 3점을 올리며 기선을 제압했지만, 차저스는 곧바로 칼릴 맥의 세이프티로 분위기를 되찾았다. 이후 차저스는 수비의 압박과 안정적인 공격 전개를 앞세워 경기의 주도권을 완전히 가져왔다. 시즌 중반, 기복이 있던 차저스가 완성도 높은 팀 플레이로 반등에 성공한 경기였다.

공격진에서는 쿼터백 저스틴 허버트가 33회 시도 중 20회 패스를 성공시키며 220야드와 1개의 터치다운을 기록했다. 러닝백 키마니 비달은 95야드 러싱과 1개의 터치다운으로 지상전을 이끌었고, 베테랑 리시버 키넌 앨런은 두 번의 캐치로 커리어 통산 956번째 리셉션을 달성하며 구단 역대 최다 리셉션 기록을 새로 썼다. 차저스의 패싱 디펜스가 로저스의 리듬을 철저히 무너뜨린 것이 결정적이었다.

수비진에서는 칼릴 맥이 경기 초반 세이프티를 만들어내며 분위기를 주도했고, 차저스는 인터셉션과 펀트 리커버리 등으로 스틸러스의 추격을 봉쇄했다. 라인배커들과 세컨더리의 유기적인 움직임이 돋보였으며, 전반부터 후반까지 단 한 번도 리드를 내주지 않았다. 스틸러스는 수비 집중력으로 반전을 노렸지만, 이날은 차저스의 짜임새 있는 공격 운영에 밀렸다. 결과적으로 차저스는 세 번의 필드골을 포함한 안정적인 득점 루틴으로 경기를 마무리했고, 플레이오프 경쟁에서 의미 있는 한 걸음을 내딛었다.

5.11. 11주차 - at 잭슨빌 재규어스 (패)

파일:NFL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잭슨빌 재규어스 로고.svg
2025.11.17 03:00(KST)
에버뱅크 스타디움(원정)
TEAM 1Q 2Q 3Q 4Q TOTAL
LAC 3 3 0 0 6
JAX 7 7 7 14 35

6. 정규시즌 총평

7. 포스트시즌 총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