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22:25:45

로봇파워

로봇파워 (2005~2011)
Robot Power
파일:로봇파워 키 비주얼.jpg
장르 로봇, 예능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방송국 EBS
방영 기간 2005. 09. 09. ~ 2011. 02. 25.
방영 시간 오후 8:00 (금) → 오후 7:25 (금) →
오후 7:20 (목~금) → 오후 7:50 (금) →
오후 8:00 (금) → 오후 7:30 (금) →
오후 7:00 (금)
방영 분량 60분 → 30분 → 60분
화수 275부작
시청 등급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주제가3. 내레이션4. 초창기 진행 형식
4.1. 배틀로봇4.2. 배틀제왕4.3. 주니어 로봇4.4. 휴머노이드
5. 중반기 진행 형식6. 후반기 진행 형식
6.1. 초보관문
6.1.1. 서커스6.1.2. 미스터머니6.1.3. 아웃사이더
6.2. 중수관문
6.2.1. 쿵푸마스터
6.3. 고수관문
6.3.1. 옥타곤
7. 로봇 시트콤
7.1. 등장인물
8. 시상내역
8.1. 휴머노이드 챌린지 분야8.2. 주니어 창작로봇대전
9. 기타 출전 로봇10. 기타

1. 개요

EBS에서 2005년 9월 9일부터 2011년 2월 25일까지 금요일마다 오후 8시부터 오후 9시까지 방송되었던 로봇 관련 프로그램.

배틀로봇 종목을 주축으로, 휴머노이드, 배틀로봇 축구, 주니어로봇 등의 다양한 종목을 방영함으로서 국내 아마추어 로봇 제작자들의 제작 동기를 부여했고, 시청자들로부터도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특히 국내에서 사실상 유일하게 배틀로봇 경기를 다룬 방송이었다는 의의가 있으며, 종영 후에도 당시를 추억하는 사람들에 의해 관련 문서들이 꾸준히 작성되고 있다.

하지만 점차 줄어드는 인기와 시청률, 그리고 참여 부족으로 메인 이벤트였던 배틀로봇 경기가 폐지되었고, 2009년 하반기부터는 방송시간이 반토막나고(60분→30분) 사실상 완전한 아동용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어 방영을 지속하다가 2011년 2월 25일에 공식적으로 종영되었다.

마지막 MC는 유상무홍경준이었다.

2. 주제가

초창기 때는 주제가가 없었으나 언젠가부터 생겼다.
꿈을 안고 달려가는 우리의 로봇 친구(로봇파워)
상상했던 모든 것이 눈 앞에 펼쳐진다(로봇파워)
로봇파워 꿈의 도전 슈퍼파워 로봇전사(로봇파워)

3. 내레이션

이선주, 정영웅, 전태열[1], 이기호[2]

4. 초창기 진행 형식

4.1. 배틀로봇


* 배틀로봇 축구 역시 연승제로 도입되었고, 우승자와 도전자 방식으로 이뤄지는 주니어로봇방식 연승제이며, 5연승이 최대 연승이며 유일하게 지장초 학생 둘로 이뤄진 쇠돌이 팀이 유일한 5연승을 달성했고, 그 다음 인천기공의 4연승이 최대이다.

4.2. 배틀제왕

배틀제왕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1~10대
1대 2대 3대 4대 5대
파일:스폰지밥(배틀로봇).jpg 스폰지밥

파일:트라이던트1.jpg 트라이던트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
파일:흑룡(배틀로봇).jpg 흑룡
★★
6대 7대 8대 9대 10대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
파일:샤크1.jpg 샤크

파일:타니토스(배틀로봇).jpg 타나토스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11~2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네오메카.jpg 네오메카
★★
파일:사방불패2.jpg 사방불패2

파일:로보스칸2.jpg 로보스칸2
★★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파일:스피드1.jpg 스피드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파일:돌격(배틀로봇).jpg 돌격

파일:트라이던트2.jpg 트라이던트2
★★★★★
21~3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파일:RATS하이킥.jpg RATS하이킥

파일:스텔스(배틀로봇).jpg 스텔스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Raptor.jpg Raptor
★★
파일:후다닥.jpg 후다닥
★★★★★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파일:대박이1.jpg 대박이
★★★★★
파일:후다닥2.jpg 후다닥2

파일:하푼2.jpg 하푼2
★★★★★
파일:짱가1.jpg 짱가
★★★
31~40대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파일:런지블레이드.jpg 런지 블레이드
★★★
파일:짱가1.jpg 짱가
★★★★★
파일:백러쉬.jpg 백러쉬

파일:괴물(배틀로봇).jpg 괴물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파일:붕붕이.jpg 붕붕이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런지(배틀로봇).jpg 런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REX.jpg REX
★★★★
41~50대
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파일:베놈(배틀로봇).jpg 베놈

파일:꺽지(배틀로봇).jpg 꺽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REX.jpg REX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46대 47대 48대 49대 50대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파일:블랙홀(배틀로봇).jpg 블랙홀
★★★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파일:빛돌이2.jpg 빛돌이2
★★
파일:캡틴(배틀로봇).jpg 캡틴
★★
51~60대
51대 52대 53대 54대 55대
파일:고고씽2(배틀로봇).jpg 고고씽2
★★★★★
파일:레벤톤(배틀로봇).jpg 레벤톤
★★
파일:부라퀴.jpg 부라퀴
★★
파일:하마(배틀로봇).jpg 하마

파일:나래(배틀로봇).jpg 나래
★★★★
56대 57대 58대 59대 60대
파일:고고씽3.jpg 고고씽3
★★★★
파일:스틸원.jpg 스틸원

파일:번개(배틀로봇).jpg 번개
★★
파일:REX2.jpg REX2

파일:카니지(배틀로봇).jpg 카니지
★★
61~68대
61대 62대 63대 64대 65대
파일:트라이앵글1.jpg 트라이앵글
★★★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Force1.jpg 포스
★★★
파일:짱가2.jpg 짱가2
★★★★
파일:망치(배틀로봇).jpg 망치
★★★
66대 67대 68대
파일:배틀로봇홈런2.jpg 홈런2

파일:짱가2.jpg 짱가2

파일:재규어(배틀로봇).jpg 재규어
★★
특별회차 배틀제왕
1호 2호 3호 4호
파일:틀거지.jpg 틀거지 파일:짱가3.jpg 짱가3 파일:어세네.jpg 어세네 파일:하늘天.jpg 하늘天 }}}


4.3. 주니어 로봇

4.4. 휴머노이드

5. 중반기 진행 형식

6. 후반기 진행 형식


6.1. 초보관문

6.1.1. 서커스

6.1.2. 미스터머니

6.1.3. 아웃사이더

6.2. 중수관문

6.2.1. 쿵푸마스터

6.3. 고수관문

6.3.1. 옥타곤

초창기에는 자이언트 해일이라는 이름의 로봇이었으나 이후 새로운 로봇인 옥타곤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사실 옥타곤은 자이언트 해일 이전 전창훈 제작자가 만든 로봇 중 하나의 이름이었다.

7. 로봇 시트콤

7.1. 등장인물

16강전-1 쏠라맨 패배
쿠앙사우루스 승리
16강전-2 팽도라 승리
SP 패배
16강전-3 태권보이 승리
파이어 패배
16강전-4 ? 패배
화이트멍 승리
16강전-5 미스테리 알파 승리
블랙멍 패배
16강전-6 핑키아 승리
말빨스키 패배
16강전-7 올라숑 승리
?[39] 실격
16강전-8 묵사발 패배
문어발 킹 승리
8강전-1 쿠앙사우루스 승리
팽도라 패배
8강전-2 태권보이 승리
화이트멍 패배
8강전-3 미스테리 알파 승리
핑키아 패배
8강전-4 올라숑 패배
문어발킹 승리
준결승전-1 쿠앙사우루스 패배
태권보이 승리
준결승전-2 미스테리 알파 기권
문어발 킹 승리
결승전 태권보이 승리
문어발 킹 패배

8. 시상내역

8.1. 휴머노이드 챌린지 분야

8.2. 주니어 창작로봇대전

9. 기타 출전 로봇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로봇파워/기타 출전로봇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기타


[1] 3회 합류 이후 44대 배틀제왕 이후 하차[2] 44대 배틀제왕전 이후 합류 이후 6회 대한민국 로봇대전까지 내레이션하고 하차.[3] 초창기에는 폐교의 체육관을 개조해 만든 전용 경기장을 사용했다.[4] 배틀제왕을 포함시에는 7대.[5] 만일 5대만 참전시 두 팀 혹은 세 팀은 부전승으로 2라운드에 진출한다.[6] 즉 2라운드 한 팀은 부전승이다. 만일 5팀이 참여할 경우 한 조는 두 로봇 모두 2라운드 진출 나머지 한 팀만 1라운드를 진행하게 된다.[7] 예외로 배틀제왕 자리가 공석일 때에 한해 1위는 2위와 같이 3라운드에 진출하며 다른 로봇과 보다 1경기를 적게 치르게 된다. 즉, 3라운드 1경기만 이기면 배틀제왕전 직행이란 뜻. 대신 지명권은 3위가 가지게 되면서 4위부터 6위까지 2라운드를 진행하게 된다.[8] 혹은 경기를 펼치는 참여로봇이 4대일 경우 스피드스피드는 생략 바로 2라운드로 진행한다. 30회 로봇파워 참고.[9] 32회에서는 무려 6대가 참여하여서 로봇파워 정규시즌 사상 처음으로 배틀로봇 4라운드가 진행되었다.[10] 위에서 서술했듯 배틀제왕이 공석일 때에 한해 패자부활전은 거의 치러지지 않으며(79회차 때 한 번 시행된 적이 있다.[44]) 역시 1경기 더 적게 치르게 된다. 3위 지못미[11] 후반부에는 함정에 빠지고 나서 10초가 지나기 전에 빠져나오면 경기가 재개되었다.[12] 로봇파워 최강자전 16강 1조 대박이와 베놈의 경기에서 베놈이 3번이나 함정에 빠지고 3번 다 3초 이내에 빠져나와서 경고 3회로 실격패를 당했다.[13] 초~중반에는 20초였다.[14] 단, 로봇이 움직이더라도 심판이 로봇 보호 차원에서 공격 중지 명령을 내릴 수 있다.[15] 전술했던 베놈이 함정에 빠지고 3초가 지나기 전에 3번이나 빠져나와서 실격패를 당했다.[16] 초반에는 점수 없이 주도성과 파손상태를 보면서 판정하였다.[17] 첫번째 점수판정은 24회 스펀지밥과 백러쉬전이다. 총합110점에서 경고없이 경기운영20 파손상태30 공격30 조종30 으로 판정하였으며, 이후 판정점수를 100점으로 변경, 경고점수 10점 경기주도30 파손30 공격30 이렇게 판정하는 형식으로 변경되면서 이 판정이 후반부까지 이어졌다.[18] 중반에는 동점이어도 공격력 > 경기 주도성 > 판정 순으로 우위를 점한 쪽이 있으면 승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9] 로봇파워가 방영된 이래 최초로 배틀제왕 5연승을 성공한 로봇은 트라이던트2며, 이후 후다닥, 하푼2, 대박이, 짱가, 고고씽2가 그 대열에 합류했다.[20] 당연히 공격을 해서 빼는 게 아니고 최대한 피해가 안가도록 리프팅으로 뺀다. 만약 심판로봇이 빼고 나서도 로봇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바로 공격중지 명령이 떨어진다.[21] 하나는 기존의 함정을 그대로 이어갔고, 새로운 상하운동형식의 함정이 추가되었다.[22] 예를 들면 로봇의 배터리가 과열되거나 특정 부분에 불이 붙은 경우. 만약 로봇이 폭발할 위험에도 경기가 진행될 경우 다른 로봇도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23] 해당 상황이 실제로 발생하였는데, 36회 패자부활전 딱정벌레와 맘모스의 경기에서 딱정벌레가 맘모스를 공격하자마자 딱정벌레의 배터리가 과열되는 바람에 로봇이 폭발하여 경기를 종료시켰다.[24] 각 종목 별(개편이전) 5연승 달성팀을 살펴보면 원기둥 사수작전 - 대한건아, 작은거인 | 배틀 테니스 - 불사조, 태극전사 | 도전! 우주정복! - 타이거, 판타스틱, 우주창조 | 도전! 로봇 릴레이! - 청개구리[45] | 주니어로봇 어드벤처 - 월파정, 스카이2, 해밀2로 총 11팀이 5연승에 성공하였다.[25] 중반기까지는 5점이었으나 하향되었다.[26] 잡아서 들어올리는 것도 포함이다.[27] 다만 이 로봇의 사이즈가 주먹크기인데다 속도가 정말로 느려서 효율성이 가장 떨어진다.[28] 사실 중수 관문도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유레카, 프레이, 연희, 요한 정도만 중수 관문을 통과했고, 대부분 로봇들은 중수 관문에서 다 탈락했다.[29] 참고로 그동안 출전한 휴머노이드 중에서도 몇 안되는 헤비급 휴머노이드에 나름 한가락하는 파일럿까지 갖춰 초보,중수 관문을 가볍게 통과해 유력한 우승후보로 평가됐으나, 최종관문 직전에서 번번이 기체고장으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기권하다가 마지막회에 이르러서야 기어코 옥타곤을 압살하며 그토록 바라던 우승을 쟁취해냈다.[30] 발차기로 간주되기 때문에 여기에 당하면 무려 5점이나 잃게 된다.[31] 상대를 공중으로 들어올리기 때문에 여기에 당하면 바로 K.O.패 당한다.[32] 이때의 필살기는 빠른 보행이었다.[33] 중반기에 많은 우승을 차지한 미카엘타이니의 파일럿이다. 후반기에는 체급차이로 도전자로서는 중수의 문턱을 넘지 못하였다.[34] 거대한 집게손으로 잡아 넘어뜨리는 기본 공격이 사실상 필살기다. 작은 로봇은 이 공격에도 들어올려져 바로 패배할 정도다.[35] 단, 이 능력은 에너지를 많이 써서 본인도 기절해버린다.[36] 본래 준결승 상대였던 미스테리 알파는 기권했다.[37] 그녀 몸에는 데빌퀸이 빙의하고 있었다. 나중에 데빌퀸은 끝까지 엔젤퀸을 믿어 그녀를 쫓아갔던 태권보이에게도 빙의한다.[38] 작중 대결 순서는 이 대진표와 다르다.[39] 이름은 불명.[40] 로봇 전문 기자로, 경기 시작 전 로봇의 특징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스타리그로 따지면 나머지 해설들은 캐스터, 송용우는 해설자 포지션이었다.[41] 모델 출신으로, 이후 방송인 및 쇼호스트로 전향하였다. 168회에서 이병진을 대신해 MC를 잠시 맡은 적이 있다.[42] 사실 방송 초기에는 이런 유치한 오프닝송이 아닌 나름 웅장한 브금이 깔렸었는데 52회 꿈의 도전부터 배경은 그대로 유지한 채 유치한 오프닝송만 추가되었다.[43] 103화~147화 배틀로봇 경기, 2009년 방송분이 유튜브에 남아있고, 200화 이후 방송분은 판도라TV에 남아있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