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00:56:26

레갈리아

파일:REGALIAREGALIA.jpg
파일:crown_regalia_01.jpg
영국 왕실의 레갈리아.
1. 개요2. 창작물

1. 개요

레갈리아(regalia)는 군주제 국가에서 군주[1]가 보유한 국가대권(國家大權), 또는 그러한 대권을 표상적으로 드러내고 연상시키는 상징물을 가리킨다. 이를테면 왕관 · 옥새 · 옥좌 · 어의 · 보검 · 셉터 · 보주 등이 보편적인 레갈리아에 해당하며, 교황어부의 반지고조선천부인, 일본 천황의 삼종신기와 같이 지역과 문화에 따라 독자적인 상징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레갈리아는 왕실의 보물이라는 뜻에서 '왕보(王寶)' 또는 '제보(帝寶)'로도 번역되며, 특히 왕관이나 옥새대관식에서 상징적으로 수여되는 것은 '대관보기(戴冠寶器)'라고도 부른다.

레갈리아의 유서가 깊을 경우 레갈리아 그 자체가 왕권을 상징하거나 정통성을 강화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전국옥새성 이슈트반 왕관[2] 같은 것이 있다. 특히 선술한 성 이슈트반 왕관 같이 나라의 상징으로 자리잡은 것은 왕정이 폐지된 후에 공화정이 들어섰음에도 정부와 국가원수에게 정통성을 부여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이 밖에 미국에서는 대학교 졸업식에 입는 복식, 즉 가운, 후드, 그리고 학사모를 통틀어 레갈리아라 이른다.

2. 창작물

2.1. 에어기어에 등장하는 일종의 고급 에어트랙

일반적인 AT부품과는 다르게 8개의 길을 걷는 '왕'만이 사용할 수 있는 특수한 에어트랙이다. 이른바 '왕의 증명'.

제대로 된 왕으로 인정받으려면 뛰어난 실력 외에도 레갈리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불문율 같은 것이 존재하는 듯.

그냥 달리고 뛰는 기능만이 탑재된 일반 AT와는 다르게 각각의 '길'의 특성을 극대화 시키는 특수한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AT.

예컨대 가장 등장이 많았던 '송곳니'의 레갈리아 같은 경우는 AT를 타고 전진하다 제동할때 생기는 운동 및 마찰에너지를 공기의 탄환으로 쏘아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확히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는 불명이나, 하늘의 레갈리아 만큼은 트로파이온의 탑이 만들어질 시절에 만들어진 물건. 미나미 이츠키의 폭풍의 레갈리아를 스메라기 쿠루루가 만든다는 것을 보면 조건만 갖춰지면 새로운 레갈리아를 만드는 것도 가능한 듯 하다. 물론 자체제작할 수 있다고는 해도 성능은 일반 AT부품과는 천지차이다. 슬리핑 포레스트는 각각의 진품 레갈리아를 바탕으로 복제해낸 짝퉁 레갈리아를 가지고 있다.[3]

사실 레갈리아란 그래비티 칠드런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및 주법에 맞게 제작된 맞춤형 에어트랙 - 이것이 일반인들에게 퍼져 레갈리아가 된것이다. 처음 사람들에게 퍼진것은 가젤의 가시의 레갈리아.[4] 단 정말 특수한 레갈리아도 하나 존재한다. 그게 바로 원본 하늘의 레갈리아. 단 이는 실제 부품 같은걸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로 존재하는 일종의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자세한 것은 에어트랙을 참조. 마지막화를 보아 결국 전부 공멸한 듯한데 언젠가 쿠루루가 하늘의 레갈리아의 구조 자체를 꿰고 있다 하니 복구될지도 모른다.

2.2. 레갈리아 The Three Sacred Stars

2016년 3분기에 방영하는 애니메이션.

2.3. 크로스 레갈리아

라이트노벨

2.4. 파이널 판타지 XV에 등장하는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쿼츠 레갈리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쿼츠 레갈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쿼츠 레갈리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사운드 볼텍스의 수록곡

REGALIA 문서로.



[1] 국왕, 황제, 대공 등.[2] 헝가리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서 헝가리 역사의 분기점마다 반드시 등장했다. 지금도 헝가리에선 왕관뿐 아니라 셉터·보주·검 등 헝가리 왕국의 레갈리아를 수호하는 근위연대가 따로 존재한다.[3] 정확히 말하면 메인 코어가 없거나, 미나미 린타가 만들어낸 코드가 없을경우에 이렇다고 한다.[4] 본디 28개의 코드 레갈리아가 있었지만 지금은 8개의 레갈리아만이 남아있다. 나머지 레갈리아(코드)는 전부 다케우치 소라가 파괴해버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