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5 20:33:40

럭비/클럽 대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국가 대항전에 대한 내용은 럭비/국가 대항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클럽 월드컵3. 유럽
3.1. 잉글랜드3.2. 프랑스3.3. 아일랜드섬3.4. 스코틀랜드3.5. 웨일스3.6. 이탈리아3.7. 스페인3.8. 포르투갈3.9. 러시아3.10. 루마니아3.11. 조지아3.12. 독일
4. 아시아
4.1. 대한민국4.2. 일본4.3. 홍콩4.4. 말레이시아
5. 오세아니아
5.1. 뉴질랜드5.2. 호주5.3. 피지
6. 아메리카
6.1. 미국6.2. 아르헨티나6.3. 우루과이6.4. 칠레6.5. 브라질
7. 아프리카
7.1. 남아프리카 공화국7.2. 케냐

[clearfix]

1. 개요

세계의 주요 럭비 유니언 클럽 대회를 정리한 문서.

럭비 유니언은 오랜 기간 아마추어를 고집하다 1995년에야 공식적으로 프로 스포츠화를 선언했다.[1] 그리고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 럭비는 아직 아마추어를 유지하고 있거나 프로화가 되었어도 아마추어리즘의 잔재가 많이 남아 있다. 또한 럭비의 인기 스포츠임에도 프로화가 되지 않은 나라도 있다. 가장 대표직인 예가 아르헨티나. 아래 표는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국가 이상 단위로 운영되는 프로/세미프로 대회를 요약한 표다[2].
보통 세계의 럭비 유니언 리그들 중 프랑스 TOP 14, 잉글랜드 프리미어십 럭비,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5] 3대 리그로 보며, 이 중에서도 1892년에 시작돼 역사가 가장 깊은 프랑스 TOP 14의 위상이 가장 높다. 또한 위의 3개 리그가 참여하며 EPCR이 주관하는 유럽 최상위 클럽 대항전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6]과 그 다음 높은 클럽 대항전 EPCR 챌린지 컵[7]이 있다.

아시아에선 일본재팬 럭비 리그 원이 사실상 유일한 프로 리그이며, 세계적으로도 위상이 높은 대회다. 유럽 3대 리그, 슈퍼 럭비 퍼시픽에 이은 세계 5위의 리그라고 봐도 무방.

2. 클럽 월드컵

EPCR 의장 도미닉 맥키는 2023년 11월 "클럽 월드컵이 2028년 또는 2032년 개최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과 프랑스가 가장 강력히 주장하고 있으며 호주, 남아공, 뉴질랜드에서도 지지를 보내 왔다고 하고, 성사된다면 4년을 주기로 개최된다.

2024년 4월에 들려온 소식에 의하면, 2028년 유럽에서 첫 개최를 목표로 슈퍼 럭비EPCR이 뜻을 모았으며 본선은 16개의 팀으로 6월부터 4주간 진행될 것이라고 한다.[8] 8개 팀은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에서, 6개 팀은 슈퍼 럭비 퍼시픽에서, 나머지 2개 팀은 재팬 럭비 리그 원에서 선발한다고 한다. 구조상 챔피언스 컵 팀이 각 조에 배치되고 나머지를 슈퍼 럭비와 일본 팀이 채울 듯. 하나 아쉬운 것은 아메리카 팀에겐 예선을 통한 경쟁 기회가 아예 없다는 것이다. 일본 리그 2위와 16번째 자리를 두고 아메리카 1위 팀이 붙어보는 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 듯. 애초에 명색이 월드컵이니만큼 기회는 줘야 하니까.

개최년도에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은 토너먼트가 생략된다. 그렇지 않으면 7월 여름 투어 일정도 맞출 수 없고, 선수 피로도 문제가 심각해진다. 무엇보다 유러피언컵 16강이나 월드컵 16강이나 대회의 성격은 비슷하기 때문. 이에 관해 유럽 쪽은 시즌 기간에 변화는 없지만 유러피언컵을 포기하며 발생하는 재정적 손해를 예상하는 눈치다.

3. 유럽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22836> 파일:URC.png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카디프 럭비 로고.jpg
파일:드래곤스 RFC 로고.png
파일:오스프레이스 럭비 로고.png
파일:스칼렛츠 로고.png
파일:얼스터 럭비 로고.png
파일:렌스터 럭비 로고.png
파일:코나트 럭비 로고.png
파일:먼스터 럭비 로고.png
파일:에딘버러 럭비 로고.png
파일:글래스고 워리어스 로고.pn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파일:불스 럭비 로고.png
파일:라이언스 럭비 로고.png
파일:스토머스 럭비 로고.png
파일:샤크스 럭비 로고.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 럭비파일:프랑스 국기.svg TOP 14파일:URC.png URC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럭비 유럽 슈퍼 컵 로고.png럭비 유럽 슈퍼 컵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go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블랙 라이언 로고.png
파일:카스티야이레온이베리안스.png
파일:루시타누스 XV.png
파일:텔아비브 히트.png
파일:브뤼셀 데블스.png
파일:델타 럭비.png
파일:루마니안 울브즈.png
파일:보헤미아 럭비.png
}}}}}}}}}}}}

3.1. 잉글랜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English Premiership Rugby.png프리미어십 럭비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글로스터 럭비 로고.png
파일:노샘프턴 세인츠 로고.png
파일:뉴캐슬 팰컨스 로고.png
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
파일:Bath Rugby 로고.png
파일:브리스톨 베어스 로고.png
파일:사라센스 FC 로고.png
파일:세일 샤크스 로고.png
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
파일:할리퀸 FC 로고.png
RFU 챔피언십 참가 구단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 럭비파일:프랑스 국기.svg TOP 14파일:URC.png URC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RFU 챔피언십 로고.webpRFU 챔피언십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트레일파인더스.png
파일:런던 스코티시.png
파일:베드포드 블루스.png
파일:앰프씰 럭비.png
파일:케임브리지 럭비.png
파일:노팅엄RFC.png
파일:코번트리RFC.webp
파일:코니시 파이러츠.png
파일:하트퍼리 RFC.png
파일:칼디 RFC.jpg
파일:돈커스터 나이츠.png
프리미어십 럭비 참가 구단 ◀ }}}}}}}}}}}}

3.2. 프랑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Top14.pngTOP 14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파일:라싱 92 로고.png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
파일:리옹 OU 로고.png
파일:RC 툴로네 로고.png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
파일:몽펠리에 에로 럭비 로고.png
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
파일:카스트레 올랭피크 로고.png
파일:아비롱 바요네 로고.png
파일:위니옹 보르도 배글 로고.png
파일:석시옹 팔루아즈 2021.png
파일:ASM 클레르몽 로고.png
파일:오요나 럭비 로고.png
프로 D2 참가 구단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리미어십 럭비파일:프랑스 국기.svg TOP 14파일:URC.png URC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52c47> 파일:RugbyProD2.png프로 D2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052c4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콜로미에 럭비 로고.png
파일:비아리츠 올랭피크 로고.png
파일:SU 아장 로고.png
파일:베지에 에로(2023).png
파일:프로방스 럭비 로고.png
파일:FC 그르노블 럭비 로고.png
파일:루앙 노르망디 로고.png
파일:USON 느베르 럭비 로고.png
파일:RC 반 로고.png
파일:스타드 몽투아 로고.png
파일:CA 브리브 로고.png
파일:발랑스 로망.png
파일:US 닥스.png
파일:US 몽탈바내즈 로고.png
파일:소요 앙굴렘 로고.png
파일:스타드 오리야쿠아 럭비 로고.png
TOP 14 참가 구단 }}}}}}}}}}}}

3.3. 아일랜드섬

3.4. 스코틀랜드

3.5. 웨일스

과거엔 8부 리그까지 있었지만 2020년대에 들어 5부 체제로 통폐합되었다.

3.6. 이탈리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세리에A엘리트.png세리에 A 엘리테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럭비비첸차.webp
파일:모글리아노.png
파일:페트라르카 럭비.png
파일:로비고 델타.png
파일:럭비콜로르노.png
파일:럭비라이온스피아첸차.webp
파일:발로럭비.png
파일:럭비비아다나1970.png
파일:피암메 오로 럭비.png
}}}}}}}}}}}}

3.7. 스페인

3.8. 포르투갈

3.9. 러시아

3.10. 루마니아

3.11. 조지아

3.12. 독일

4. 아시아

4.1.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럭비협회 엠블럼.svg코리아 슈퍼럭비리그
참가 구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반부
파일:한국전력 럭비단 엠블럼.png
파일:현대글로비스 럭비단 엠블럼.svg
파일:포스코건설 럭비단 엠블럼.svg
파일:OK금융그룹 읏맨 럭비단 엠블럼.svg
대학부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 ||

4.2. 일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재팬 럭비 리그 원 로고.svg재팬 럭비 리그 원
2023-24 시즌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fff> 디비전 1
파일:코벨코 고베 스틸러스 로고.png
파일:시즈오카 블루 레브스 로고.png
파일: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쿠보타 스피어스 엠블럼.svg
파일:블랙 램스 도쿄 로고.jpg
파일:미에 혼다 히트 로고.png
파일: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로고.png
파일:요코하마 캐논 이글스 로고.jpg
파일:산토리 선골리앗 로고.png
파일:도요타 베어블리츠 로고.png
파일:미쓰비시 사가미하라 다이너보어스 로고.jpg
파일:하나조노 긴테츠 라이너스 로고.png
<rowcolor=#fff> 디비전 2
파일:가마이시 시웨이브스 로고.png
파일:우라야스 D락스 로고.png
파일:레드 허리케인스 오사카 로고.png
파일:NEC 그린 로켓츠 토가츠 로고.png
파일:토요타자동직기 셔틀스 아이치.jpg
파일:규덴 볼텍스 로고.png
<rowcolor=#fff> 디비전 3
파일:시미즈 고토 블루 샤크스 로고.png
파일:구리타 워터 구시 아키시마 로고.png
파일:주고쿠 전력 레드 레귤리온스 로고.png
파일:마쓰다 스카이액티브스 히로시마 로고.png
파일:히노 레드 돌핀스 로고.png
}}}}}}}}}}}}

4.3. 홍콩

4.4. 말레이시아

5. 오세아니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2b628e> 파일:슈퍼 럭비 퍼시픽 로고.svg슈퍼 럭비 퍼시픽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파일:멜버른 레벨스 로고.pn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파일:드루아 로고.png
파일:블루스 럭비 로고.png
파일:크루세이더스 로고.png
파일:하이랜더스 럭비 로고.png
파일:허리케인스럭비.png
파일:Chiefs_(logo).png
파일:모아나 파시피카 로고.jpg
}}}}}}}}}}}} ||

5.1. 뉴질랜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네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png내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오클랜드 럭비 유니언.png
파일:베이오브플렌티.png
파일:캔터베리 럭비 풋볼 유니언.png
파일:카운티스마누카우.png
파일:호크스베이.png
파일:마나와투.png
파일:노스하버.png
파일:노스랜드.png
파일:오타고 럭비.jpg
파일:사우스랜드.png
파일:타라나키럭비.png
파일:태즈먼.png
파일:와이카토.png
파일:웰링턴럭비.png
}}}}}}}}}}}}

5.2. 호주

호주는 국가 단위의 프로리그가 없으며, 각 주별로 세미프로 수준으로 운영된다. 호주의 럭비 유니언 리그 참조.

5.3. 피지

6. 아메리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슈퍼 럭비 아메리카스.png슈퍼 럭비 아메리카스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코브라스 브라질(2024).png
파일:팜파스XV.png
파일:도고스 XV 로고.png
파일:셀크남럭비.png
파일:페냐롤럭비.png
파일:야카레 XV 로고.png
파일:아메리칸 랩터스.png
}}}}}}}}}}}}

6.1. 미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Major League Rugby.png메이저 리그 럭비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럭비 FC 로스엔젤레스.png
파일:샌디에이고 리전.png
파일:시애틀 시울브스.png
파일:유타 워리어스.png
파일:NOLA GOLD.png
파일:댈러스 자칼스.png
파일:시카고 하운즈.png
파일:휴스턴 세이버캣츠.png
파일:뉴잉글랜드 프리잭스.png
파일:마이애미 샤크스.png
파일:올드 글로리 DC.png
파일:안템 럭비 캐롤라이나.png
}}}}}}}}}}}}

6.2. 아르헨티나

자세한 것은 아르헨티나의 럭비 유니언 리그 구조 문서 참조.

6.3. 우루과이

6.4. 칠레

칠레는 칠레 럭비 연맹이 아닌 산티아고 럭비협회(ARUSA)에 리그 운영을 위임하고 있다.

6.5. 브라질

7. 아프리카

7.1. 남아프리카 공화국

7.2. 케냐



[1] 단, 이는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럭비 유니언 종가의 사정이었고 프랑스는 1930년대부터 프로화를 시작하였다. 이 때문에 프랑스 측과 영국 측이 갈등을 빚기도 했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럭비 유럽 항목 참조.[2] 일부 누락이 있을 수 있음. 발견한다면 수정 바람.[3] 사모아, 통가인 중심의 모아나 퍼시피카라는 팀도 뉴질랜드 연고 구단으로 활동하고 있다[4] 실업 선수가 일부 남아있지만 대회 자체는 사실상 프로 리그에 가까운 상태다.[5]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단일팀), 이탈리아, 남아공 6개국의 총 16개 클럽이 참여하는 다국적 리그다.[6] 럭비계에서 위상은 UEFA 챔피언스 리그와 비슷하다.[7] 럭비계에서 위상은 UEFA 유로파 리그와 비슷하다.[8] 즉, 일정상 조별리그 없이 16강 토너먼트로 시작한다는 뜻이다.[9] 사실 잉글랜드는 1987 럭비 월드컵이 시작되기 전에도 굳이 세계 대회를 개최해야 하느냐고 유일하게 딴지를 걸었다.[10] 프로 구단 카디프 럭비와 다르다.[11] 유일한 북부 지방 구단으로, 사실상 북부 대표팀이다. 정말로 북부 끝단에 혼자 동떨어져 있다.[12] 규모는 작지만 클럽의 상징성으로 홍콩 국가대표팀의 경기장으로 지정되어 있다.[13] United Services Recreation Club[14] URBA라고 하는, 부에노스 아이레스 럭비 유니언이 주관하는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