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06:27:56

라파엘 바란

코모 1907
Como 1907 S.r.l.
파일:Raphaël Varane(boss profile).png
<colbgcolor=#0F4169><colcolor=#fff> 이름 라파엘 바란
Raphaël Varane
출생 1993년 4월 25일 ([age(1993-04-25)]세)
프랑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마르티니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마르티니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마르티니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신체 191cm / 체중 81kg
주발 오른발
직업 축구 선수 (센터백 / 은퇴)
축구 행정가
소속 <colbgcolor=#0F4169><colcolor=#fff> 유스 AS 엘렘 (2000~2002)
RC 랑스 (2002~2010)
선수 RC 랑스 (2010~2011)
레알 마드리드 CF (2011~2021)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1~2024)
코모 1907 (2024)[1]
행정 코모 1907 (2024~ / 어드바이저)[2]
국가대표 93경기 5골 (프랑스 / 2013~2022)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F4169><colcolor=#fff> 등번호 <colbgcolor=#ffffff,#1c1d1f>프랑스 대표팀 - 4번, 5번
RC 랑스 - 14번
레알 마드리드 CF - 2번, 5번, 19번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19번
코모 1907 - 19번
가족 아버지 가스통 바란
어머니 아니 바란
이복동생 조나탕 바란
<colbgcolor=#ffffff,#1c1d1f>배우자 카미유 티트카(2015년 6월 결혼)
자녀 1남 2녀
종교 가톨릭
후원사 푸마[3]
}}}}}}}}}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은퇴 이후
4.1. 행정가 경력
5. 평가6. 기록
6.1. 대회 기록6.2. 개인 수상6.3. 수훈
7. 바란에 대한 언사8. 여담9. 같이 보기

1. 개요

프랑스의 前 축구 선수.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센터백.

현역 시절 레알 마드리드UCL 3연패를 이끈[4] 주전 센터백이자 레 블뢰2018 월드컵 우승과 2022 월드컵 준우승을 이끈 부주장이었다. 이렇듯 훌륭한 센터백이었으나 잦은 부상으로 인해 31세의 이른 나이에 은퇴를 선택하였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파엘 바란/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파엘 바란/국가대표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파엘 바란/플레이 스타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플레이 스타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플레이 스타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은퇴 이후

2025년 6월 7일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펼쳐진 레알 마드리드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레전드 간의 이벤트 매치에 참여해 페페와 오랜만에 호흡을 맞췄다.[5]

4.1. 행정가 경력

은퇴 후, 코모 1907 보드진에 합류했다.#

이사회 멤버로 합류하여 유소년 개발, 교육 및 혁신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는 역할이라고 한다. 바란은 코모 1907의 개발 책임자인 오시안 로버츠, 그리고 교육 프로그램 책임자인 줄리엣 볼론과 협력하여 클럽의 유소년 육성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5. 평가

2010년대를 대표하는 센터백 중 하나이자, 뢰 블레와 레알 마드리드를 대표하는 센터백. 프랑스 국가대표팀의 주전 센터백으로서 2018 러시아 월드컵 우승, 2022 카타르 월드컵 준우승을 이끌었으며,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세르히오 라모스와 함께 챔피언스 리그 3연패를 달성하며 국가 대표팀과 클럽팀의 최전성기를 함께 한 선수이다.

빠른 스피드와 좋은 신체능력을 기반으로 한 라파엘 바란은 17세 프로 데뷔, 18세라는 나이에 레알 마드리드 입단을 이뤄내어 미래를 이끌어갈 재능으로 평가 받았다. 비록 세르히오 라모스, 페페에 밀려 2015-16 시즌까지는 로테이션 혹은 준주전 멤버로 활약하였으나 이후 페페의 노쇠화로 인해 주전 자리를 차지, 유럽 정상급 센터백으로 성장하며 괴랄한 커리어를 젊은 나이부터 이뤄냈다.

다만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기대가 너무 컸던 탓인지, 항간에는 기대에 비해 더욱 크게 성장하지 못한 아쉬운 선수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특히 동시대에 활약한 세르히오 라모스, 버질 반 다이크, 티아고 실바, 조르조 키엘리니와 같은 수비진을 진두지휘하는 리더로서의 능력은 부족하다. 어린 나이서부터 프로로 데뷔하여 경험이 쌓였음에도 불구하고 커맨더 능력, 즉 빌드업 리더를 맡기에는 안정성 및 빌드업 능력이 아쉬운 점이 큰 단점으로 꼽힌다. 이 때문인지, 레알 마드리드 시절에는 "세르히오 라모스가 없을 경우에는 무너지는 경우가 잦다"[6][7]라는 평을 받았을 정도.

또한 부상으로 전성기의 나이에 일찍 은퇴하였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이적한 이후 클럽팀에 집중하기 위해 국가 대표팀을 은퇴할 정도로 뛰어난 프로 의식을 지닌 선수였으나, 고질적인 부상으로 31세라는 창창한 나이에 축구계를 떠났다. 결론적으로 플레이적인 단점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부상만 없었으면 충분히 발전하여 커리어를 더 쌓아서 로랑 블랑, 마르셀 드사이 같은 센터백들을 넘는 수준의 위상을 얻을 수도 있었지만 부상으로 인해 이젠 전부 만일의 가정 밖에 남지 않게 되어버렸다.

6. 기록

바란은 비록 젊은 나이에 은퇴를 선언하긴 했지만 이미 20대 초중반에 UEFA 유로를 제외한 모든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었다. 오죽하면 바란의 단점으로 "너무 어린 나이부터 온갖 우승 트로피는 다 들어올려봤기 때문에 선수 개인적인 측면에서 축구선수로 뛴다는 것에 대한 동기부여가 다른 선수들보다 더 빨리 더 크게 떨어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점이 제기되었을 정도. 그 정도로 훌륭한 우승 커리어를 쌓아 올렸던 선수이다.

국가대표팀에서는 세 번의 FIFA 월드컵에 참가해 한 번의 우승, 한 번의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프랑스 황금세대의 주역 중 한 명으로 활약했고, 클럽에서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으로 4번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3번의 라리가 우승을 기록하며 현역 선수 중 최고 수준의 커리어를 가지고 있다. 입단 당시 6년 동안 우승이 없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선 잦은 부상에 신음하는 와중에도 EFL컵, FA컵을 하나씩 챙기기도 했다. 둘 다 결승에 선발 출전해 준수한 폼을 선보이며 따낸 우승이라 무임승차도 아니다.

6.1. 대회 기록

6.2. 개인 수상

6.3. 수훈

7. 바란에 대한 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파엘 바란/관련 언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파엘 바란/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9. 같이 보기

1 요리스 · 2 파바르 · 3 킴펨베 · 4 바란 · 5 움티티 · 6 포그바 · 7 그리즈만 · 8 르마 · 9 지루
10 음바페 · 11 뎀벨레 · 12 톨리소 · 13 캉테 · 14 마튀이디 · 15 은존지 · 16 만단다 · 17 라미
18 페키르 · 19 시디베 · 20 토뱅 · 21 L. 에르난데스 · 22 멘디 · 23 아레올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데샹

파일:나이키 로고 골드.svg파일: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Équipe de France de Football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요리스 · 2 파바르 · 3 디사시 · 4 바란 · 5 쿤데 · 6 귀앵두지 · 7 그리즈만 · 8 추아메니 · 9 지루 · 10 음바페
11 뎀벨레 · 12 콜로 무아니 · 13 포파나 · 14 라비오 · 15 베레투 · 16 만단다 · 17 살리바 · 18 우파메카노
19 벤제마 · 20 코망 · 21 L. 에르난데스 · 22 T. 에르난데스 · 23 아레올라 · 24 코나테 · 25 카마빙가 · 26 튀랑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데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4C172; font-size: 0.8em;" 파일:프랑스 국기.svg 기 스테판
라파엘 바란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베스트팀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심볼.svg
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FIFA 월드컵 우승 멤버
}}} ||
[1] 시즌 도중 부상으로 인한 계약 해지 후 은퇴.[2] 어드바이징 및 유스 개발[3] 데뷔 때부터 줄곧 나이키의 티엠포 시리즈를 착용했으나 2021년부터 푸마와 계약을 맺었다. 네이마르 주니오르와 마찬가지로 거금을 받고 이적한 것으로 추정된다.[4] 다만 2015-16 시즌의 경우 토너먼트에서는 페페가 주전이었다.[5] 챔피언스 리그 3연패 당시 동료였던 크로스, 마르셀루 또한 출전했다.[6] 실제로 세르히오 라모스가 결장한 17-18 시즌 챔피언스 리그 8강 2차전 유벤투스와의 경기, 18-19 시즌 16강 2차전 아약스와의 경기, 19-20 시즌 챔피언스 리그 16강에서 아쉬운 장면을 남발하여 패배하였다.[7] 라모스가 부상으로 한 시즌을 대부분 날린 2020-21 시즌에는 밀리탕과 합을 맞춰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8] 1~5등급으로 나뉜 프랑스 최고의 훈장으로 2018 월드컵을 우승한 프랑스 대표팀 전원에게 5등급 훈장이 수훈되었다.[9] 바란의 레알 마드리드 우승 트로피는 15개이고, 구단의 최다 우승자는 23회 우승을 차지한 프란시스코 헨토이다.[10] 36경기 26승 9무 1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