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4:20:28

라마 6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d309, #ffe800 20%, #ffe800 80%, #e6d309); color: #D500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d50000> 짜끄리 왕조
<rowcolor=#d5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라마 1세|라마 1세
(푸타욧파 쭐랄록)
]]
라마 2세
(푸탈릇라 나팔라이)
[[라마 3세|라마 3세
(낭끌라오)
]]
라마 4세
(몽꿋)
<rowcolor=#d50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라마 5세|라마 5세
(쭐랄롱꼰)
]]
라마 6세
(와치라웃)
라마 7세
(쁘라차티뽁)
[[라마 8세|라마 8세
(아난타 마히돈)
]]
<rowcolor=#d50000> 제9대 제10대
[[라마 9세|라마 9세
(푸미폰 아둔야뎃)
]]
라마 10세
(와치랄롱꼰)
}}}
태국 총리
아유타야 왕조 · 톤부리 왕조
}}}}}} ||

<colbgcolor=#ffe800><colcolor=#D50000>
파일:King_Vajiravudh_(Rama_VI)_of_Siam_uncropped.jpg
출생 1881년 1월 1일
시암 왕국 방콕
사망 1925년 11월 26일 (향년 44세)
시암 왕국 방콕
대관식 1910년 10월 23일
재위 기간 시암 국왕
1910년 10월 23일 ~ 1925년 11월 2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e800><colcolor=#d50000> 가문 마히돌 가문
이름 프라밧솜뎃 프라뽀라멘타라 라마티보디시신 마하와치라웃 프라몽꿋끌라오 짜우유후아(พระบาทสมเด็จพระปรเมนทรรามาธิบดีศรีสินทรมหาวชิราวุธฯ พระมงกุฎเกล้าเจ้าอยู่หัว)
부모 아버지 라마 5세 (1853 ~ 1910)
어머니 사오바바 봉스리 (1861 ~ 1919)
형제자매 동생 라마 7세 (1893 ~ 1941)
배우자 수차릿 수다 (1895 ~ 1982)
인드라삭디 사치 (1902 ~ 1975)
락샤밀라반 (1899 ~ 1961)
수바다나 (1906 ~ 1985)
자녀 공주 펫차랏타낫 랏차수다 (1925 ~ 2011)
종교 상좌부 불교 }}}}}}}}}
1. 개요2. 생애3. 가계

[clearfix]

1. 개요

태국 짜끄리 왕조의 6대 군주.

2. 생애

1881년 시암 왕국라마 5세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터 외국어를 배웠다. 20대가 되어 옥스퍼드의 크라이스트 처치로 유학해 유럽 각국을 방문하였다.

시간이 흘러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7년, 독일 제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선전포고하여 협상국으로 참전하였다. 실제로 시암 육군을 유럽전선으로 보내 베를린에 입성하기도 하였다.

참전 결과 승전국이 된 태국은 이후 파리 강화회의에서 기존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조약 폐지를 주장했고 영국과 프랑스는 이에 반대했지만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주장하며 태국에게 힘을 실어주었고 그에 따라 조약을 개정하는 쾌거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시암이 주권 국가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반면, 선대 국왕 라마 5세가 열심히 근대화로 발전시킨 태국을 엉망으로 만들었다. 현실감각은 없고, 왕실의 위엄과 국가주의를 강조하는데에 눈멀어서 재정을 낭비하여 경제적으로 혼란을 야기했다. 이 때문에 절대왕정의 한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하는 기사가 있고, 이 기사에는 본 왕의 실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3. 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