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07:37:14

드미트리 알레니체프

드미트리 알레니체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39대
}}} ||
러시아의 축구 감독
파일:external/www.spartak.com/75475.jpg
<colbgcolor=#f0f0f0> 이름 드미트리 알레니체프
Дми́трий Але́ничев | Dmitri Alenichev
본명 드미트리 아나톨례비치 알레니체프
Дми́т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Але́ничев
Dmitri Anatolievich Alenichev
출생 1972년 10월 20일 ([age(1972-10-20)]세)
소련 RSFSR 프스코프 주 벨리키예루키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71cm
직업 축구 선수(공격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f0f0f0> 선수 스키프-익스프레스 벨리키예루키 (1989)
FC 마시노스트로이텔 프스코프 (1990~1991)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1991~1993)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994~1998)
AS 로마 (1998~2000)
AC 페루자 칼초 (1999~2000 / 임대)
FC 포르투 (2000~2004)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04~2006)
감독 러시아 U-18 대표팀 (2010~2012)
FC 아르세날 툴라 (2011~2015)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15~2016)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2017~2019)
국가대표 55경기 6골 (러시아 / 1996~2005)

1. 개요2. 선수 경력
2.1. 러시아 시절2.2. AS 로마 시절2.3. FC 포르투 시절2.4. 다시 러시아로
3. 국가대표 경력4. 감독 경력5.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러시아축구선수 출신 감독. 2017년부터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감독을 맡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러시아 시절

어릴적 부터 출생지인 벨리키예루키를 연고로 한 팀에서 유소년 무대를 밟았다. 어린 나이에 능력을 인정받고, 스파르타크의 팬이었음에도 로코모티브 모스크바에서 성인무대에 데뷔를 했다.

이후 1994년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 데뷔를 하게 된다. 그리고 1998년까지 5년의 기간동안 네번의 리그 우승과, 두번의 컵 우승을 달성하게 되었다. 또 1997년엔 러시아 올해의 선수에 뽑히기도 했다. 이후 알레니체프는 좋은 경기력을 인정 받고 AS 로마로 이적을 하게 되며 팀을 떠났다.

2.2. AS 로마 시절

첫 시즌에 21경기에 출전했으나,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바로 다음 해에는 AC 페루자 칼치오로 임대되는 수모를 겪었다. 물론 임대돼서도 딱히 좋은 모습은 보이지 못했다. 때문에 1999년 최악의 외국인 선수 영입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2.3. FC 포르투 시절

파일:external/img.championat.com/86500_b_gol-dmitrija-alenicheva_1306431798.jpg
제2의 전성기 러시아산 노(?)망주 1세대

AS 로마에서의 부진뒤에 2000년 FC 포르투로 이적을 하게 된다. 첫 시즌부터 CS 마리티무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기록하거나, 이외에도 중요한 기회에서 득점을 올리며 확실히 지난 클럽에서의 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다음 시즌 감독이었던 옥타비오 마차도와의 갈등을 빚어 2001/2002 시즌은 데쿠에 뭍혀 시즌 전반기는 거의 출전하지 못했다. 그러다 시즌 도중 성적의 문제로 무리뉴가 부임하게 되고, 불안했던 그의 입지를 탄탄히 굳히게 된다.

무리뉴가 부임한 이후로는 선발보단 주로 벤치에서 시작했지만, 경기 도중에서는 꼭 교체되어 투입되었고 그의 투입에 따라 전술도 바꿀 정도였다. 이 변화는 성공적이었고. 무리뉴 감독하의 포르투에서 2002/2003년엔 UEFA 컵, 2003/20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두번의 리그와 컵, 그리고 수퍼 컵 우승에 일조하며 가히 제 2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2.4. 다시 러시아로

2004년 챔피언스리그의 우승을 끝으로 미련없이 러시아의 친정팀인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복귀하게 되었다. 이후 2년간의 선수 생활을 이어오다 2006년에 은퇴했다.

은퇴 이후 2009년 레전드 컵에서 출전해 우승을 거두기도 했다.

3. 국가대표 경력

1996년에 국가대표에 데뷔해 55경기에 출전했고, 6골을 넣었다. 소련 해체 이후 굉장히 부진했던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탓에 별 빛을 보지는 못했다. 메이저 대회로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UEFA 유로 2004에 출전하였다.

4. 감독 경력

2010년에 러시아 U-18 국가대표의 지휘봉을 잡은 것을 시작으로 지도자 길을 걷게 된다.

4.1. FC 아르세날 툴라 취임

2011년 알레니체프는 당시 러시아 3부리그였던 아르세날 튤라의 감독에 부임하게 된다. 취임 이후 팀을 1년 만에 2부리그로 승격 시키는가 하면, 2013/2014시즌엔 팀을 1부리그에 승격시키는 등. 갓 부임한 클럽팀 감독이라기엔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인다. 다만, 그 다음 시즌에 바로 강등되었긴 하지만...

4.2.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취임

2015년 무라트 야킨이 부진한 성적을 거두고 경질된 이후 친정팀의 부름을 받아 감독직을 수행중이었으나, 16-17 유로파 리그 3차 예선 라운드 2차전 홈경기에서 AEK 라르나카에 패해 토너먼트에서 탈락된 뒤 감독직에서 자진사퇴했다.

4.3.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취임

2017년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의 팀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의 지휘봉을 잡았으며, 3위를 기록해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로 팀을 승격시키는데 성공한다. 팀이 다음시즌 강등된 후에 경질당한다.

5.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9072a><tablebgcolor=#c9072a,#191919>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28a7e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2년 ~ 현재
미상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1대
피베브르
파일:체코 국기.svg
2대
코즐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3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4대
포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5대
고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6대
포포프
파일:소련 국기.svg
7대
고로호프
파일:소련 국기.svg
8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9대(대행)
이사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0대
볼라르트
파일:소련 국기.svg
11대
크바시닌
파일:소련 국기.svg
12대
단굴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3대
글라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4대
소콜로프
파일:소련 국기.svg
15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6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17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18대
살니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19대
시모냔
파일:소련 국기.svg
20대
굴라예프
파일:소련 국기.svg
21대
크루티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2대
베스코프
파일:소련 국기.svg
23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4대
야르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5대
로만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6대
체르니쇼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7대(대행)
페도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28대
스칼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9대
스타르코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30대
페도토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1대
체르체소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2대(대행)
레댜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33대
라우드루프
파일:덴마크 국기.svg
34대
카르핀
파일:러시아 국기.svg
35대
에메리
파일:스페인 국기.svg
36대
카르핀
파일:러시아 국기.svg
37대
군코
파일:러시아 국기.svg
38대
야킨
파일:스위스 국기.svg
39대
알레니체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0대
카레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1대(대행)
리난초
파일:스페인 국기.svg
42대
코노노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43대
쿠즈네초프
파일:헝가리 국기.svg
44대
테데스코
파일:독일 국기.svg
45대
비토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46대
바놀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47대
아바스칼
파일:스페인 국기.svg
48대(대행)
슬리슈코비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49대
스탄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