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BC01;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C 예니세이 크라스노야르스크 | |
FC Yenisey Krasnoyarsk | |
<colbgcolor=#f33434><colcolor=#fff> 정식 명칭 | АНО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Енисей“» (Professional futbal club Enisey Krasnoyarsk) |
별칭 | «красно-синие»(빨강-파랑), «львы»(사자들) |
창단 | 1937년 7월 30일 ([age(1937-07-30)]주년) |
소속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Первенство Футбольной Национальной Лиги) |
연고지 | 크라스노야르스크 (Krasnoyarsk) |
라이벌 | FC 톰 톰스크, FC 노보시비르스크 - 시베리아 더비 |
홈구장 | 센트럴 스타디움 (15,000명 수용) 풋볼-아레나 예니세이[1] (3,000명 수용) |
구단주 | 크라스노야르스크 |
감독 | 안드레이 티호노프 (Andrey Tikhonov) |
공식 웹사이트 | |
우승 기록 | |
프로페셔널 풋볼 리그 (4회) | 1995(동부), 1998(동부), 2005(동부), 2010(동부) |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 바르세크 키라코시안 (Barseg Kirakosyan) (2010년, From FC 힘키, 25만 유로) |
최고 이적료 방출 | 알렉세이 니키틴 (Aleksey Nikitin) (2014년, To FC 암카르 페름, 45만 유로) |
[clearfix]
1. 개요
시베리아의 대도시, 크라스노야르스크에 연고지를 둔 러시아의 축구 구단이다.2. 역사
|
2024년까지 사용하던 엠블럼. |
1991년까지 소비에트 퍼스트 리그인 2부 근처에도 와보지 못한 팀이며 1부리그로 승격한 것은 2018년이 처음이다. 2017-18 시즌에 2부 리그에서 3위를 달성하여 플레이 오프까지 가서 승리를 쟁취하고 1부 리그에 올랐다. 그러니깐 그 전까지는 2,3부 리그에서 경기를 펼치다가 구단 최초로 승격하게 된 것이다. 당연히 크라스노야르스크 주 정부에서는 기념으로 경기장 개보수를 포함해 투자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 1시즌만에 최하위로 강등이 확정되었다.
2020-21시즌 구단 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경기가 취소되었다.
2021-2022시즌 러시아 컵 대회에서 로코모티브 모스크바를 무려 4:0으로 격파하고 8강에 진출 하였다
2024년 7월 12일,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였다.
[clearfix]
3. 선수 명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러시아 키릴문자 성명 | 비고 |
1 | GK | | 스타니슬라프 안티핀 | Stanislav Antipin | Станислав Антипин | ||
2 | DF | | 안드리우스 루카스 | Andrius Rukas | Андрюс Рукас | ||
3 | DF | | 얀 체시 | Yan Tses | Ян Цесь | ||
5 | DF | | 에메르송 | Emmerson | Эммерсон | ||
6 | MF | | 아미르 바티레프 | Amir Batyrev | Амир Батырев | [2] | |
7 | MF | | 안드레아 추카노프 | Andrea Chukanov | Андреа Чуканов | ||
8 | MF | | 알렉산드르 로마킨 | Aleksandr Lomakin | Александр Ломакин | ||
9 | FW | | 막심 사벨리예프 | Maksim Savelyev | Максим Савельев | ||
10 | MF | | 티모페이 시푸노프 | Timofey Shipunov | Тимофей Шипунов | [3] | |
11 | MF | | 데니스 티호노프 | Denis Tikhonov | Денис Тихонов | [4] | |
12 | DF | | 막심 시랴예프 | Maksim Shiryayev | Максим Ширяев | ||
13 | MF | | 다니일 그리고리예프 | Daniil Grigoryev | Даниил Григорьев | ||
15 | FW | | 안드레이 오클라드니코프 | Andrey Okaldnikov | Андрей Окладников | ||
18 | MF | | 알렉산드르 나돌스키 | Aleksandr Nadolskiy | Александр Надольский | ||
20 | MF | | 막심 라이킨 | Maksim Laykin | Максим Лайкин | [5] | |
22 | FW | | 알렉산드르 카나플린 | Aleksandr Kanaplin | Александр Канаплин | ||
23 | MF | | 키릴 우샤토프 | Kirill Ushatov | Кирилл Ушатов | ||
27 | FW | | 블라디슬라프 루타셰프 | Vladislav Lutashev | Владислав Луташев | ||
28 | FW | | 일리야 몰테니노프 | Ilya Molteninov | Илья Молтенинов | ||
33 | DF | | 알렉산드르 마슬롭스키 | Aleksandr Maslovskiy | Александр Масловский | ||
43 | MF | | 아르투르 길랴제트디노프 | Artur Gilyazetdinov | Артур Гилязетдинов | ||
50 | GK | | 예고르 샤모프 | Yegor Shamov | Егор Шамов | ||
87 | FW | | 안드레이 마주린 | Andrey Mazurin | Андрей Мазурин | ||
88 | FW | | 데니스 사모일로프 | Denis Samoylov | Денис Самойлов | ||
96 | DF | | 토마스 루카스 | Tomas Rukas | Томас Рукас | ||
<colbgcolor=#f33434> 구단 정보 | |||||||
감독: 안드레이 티호노프 / 홈 구장: 센트럴 스타디움 | |||||||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3년 7월 29일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PFC 소치에서 임대[3] PFC 소치에서 임대[4] FC 로디나 모스크바에서 임대[5]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에서 임대
}}} ||
4. 경기장
홈 구장인 첸트랄니 스타디온 크라스노야르스크
5. 기타
2019 AFC 아시안컵에서 1대0으로 대한민국에 패배한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뛰고 있는 발레리 키친이 이 팀 소속이었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중국전을 통해 많은 활동량을 통해 공격수에 힘을 보태 중국을 끊임 없이 괴롭힌 선수로 기억되고 있는 편이다.레디 두갈리치가 잠깐 있던 팀이다.
[1] 러시아 리그의 추춘제 전환으로 인한, 겨울 경기용 실내 구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