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1:06:26

동구·남구 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남구(광주광역시)/정치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남 갑 동·남 을 서 갑 서 을
정진욱 안도걸 조인철 양부남
북 갑 북 을 광산 갑 광산 을
정준호 전진숙 박균택 민형배
선거 결과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동구·남구 갑
남구 봉선동, 주월동, 진월동, 효덕동 등
東區·南區 甲
Dong–Nam A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동구·남구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136,736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광주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남구(광주광역시)|{{{#373a3c,#ddd 남구}}}]] 일부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신설년도 2016년
이전 선거구 남구
국회의원
정진욱

1. 개요2. 역대 국회의원 목록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1. 개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에 선거구 개편에 따라 통합 신설된 선거구다. 광주광역시의 강남이라고 불리는 봉선2동이 속해 있는 지역구다. 그래서 보수 성향이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강한 곳으로 불린다. 물론 이는 광주광역시의 다른 국회의원 지역구에 비해 상대적인 수치로, 평균 성향은 당연히 민주당계 정당이 더 우세하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정진욱 의원이다.

동구와 남구를 합쳐 갑/을로 분할했기 때문에 갑 선거구는 남구 일부로만 이루어져 있고, 을 선거구는 남구 일부+동구 전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rowcolor=#fff> 대수 당선인 당적 임기
20대 장병완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윤영덕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22대 정진욱
2024년 5월 30일 ~ 현재

3.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3.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갑
남구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한경노(韓敬老) 1,956 5위


2.37% 낙선
2 최진(崔進) 24,137 2위

28.98% 낙선
3 장병완(張秉浣) 46,316 1위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55.62% 당선
5 신나리(申娜璃) 2,664 4위


3.19% 낙선
6 강도석(姜度錫) 1,846 6위


2.21% 낙선
7 강운태(姜雲太) 6,349 3위


7.62% 낙선
선거인 수 134,017 투표율
62.68%
투표 수 84,011
무효표 수 743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006241><bgcolor=#006241> 20대 총선 광주 남구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최진 장병완
득표수
(득표율)
24,137
(28.98%)
46,316
(55.62%)
-22,179
(▼26.64)
84,011
(62.68%)
봉선1동 28.68% 54.50% ▼25.82 58.13
봉선2동 28.93% 55.94% ▼27.01 66.09
월산동 20.84% 65.10% ▼44.26 55.20
월산4동 24.43% 62.34% ▼37.91 52.91
월산5동 25.29% 58.20% ▼32.91 53.51
주월1동 29.13% 55.69% ▼26.57 58.64
동명동 24.84% 58.82% ▼33.98 56.08
효덕동 31.58% 54.15% ▼22.57 62.96
송암동 30.41% 55.05% ▼24.64 59.83
대촌동 19.87% 64.05% ▼44.17 60.67
후보 최진 장병완 격차
거소·선상투표 29.20% 38.32% ▼9.12
관외사전투표 35.29% 46.73% ▼11.44
재외투표 58.20% 29.51% △28.69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동구·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최진 장병완 격차
전체 29.8% 58.3% 28.5%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0대 총선 한경노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최진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장병완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신나리 벽보.jpg 파일:20대 총선 강도석 벽보.jpg 파일:20대총선강운태.png }}}}}}}}}

3.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갑
남구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윤영덕(尹永德) 71,662 1위

77.28% 당선
3 장병완(張秉浣) 19,112 2위


20.61% 낙선
7 한기선(韓基先) 740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국가혁명배당금당
]]
0.80% 낙선
8 이안숙(李安淑) 1,255 3위


1.35% 낙선
선거인 수 139,730 투표율
67.35%
투표 수 94,110
무효표 수 1,377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4ea2><bgcolor=#004ea2> 21대 총선 광주 동구·남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윤영덕 장병완
득표수
(득표율)
71,626
(77.23%)
19,112
(20.60%)
+52,514
(△56.63)
94,110
(67.35%)
봉선1동 78.44% 18.86% △59.58 62.52
봉선2동[A] 70.84% 26.30% △44.54 66.91
월산동 80.01% 17.90% △62.10 58.06
월산4동 81.79% 15.81% △65.98 56.99
월산5동 80.00% 18.05% △61.95 60.09
주월1동 78.56% 19.25% △59.31 63.49
주월2동 81.03% 17.06% △63.97 62.40
효덕동[B] 76.77% 21.20% △55.57 66.01
송암동[C] 78.93% 19.73% △59.20 65.10
대촌동[D] 67.52% 31.17% △36.35 64.45
후보 윤영덕 장병완 격차
거소·선상투표 66.58% 24.64% △41.94
관외사전투표 80.05% 18.02% △62.04
재외투표 89.74% 8.97% △80.77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동구·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윤영덕 장병완 격차
전체 71.4% 26.0% 45.4%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1대 총선 윤영덕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장병완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한기선 벽보.jpg 파일:21대 총선 이안숙 벽보.jpg }}}}}}}}}
더불어민주당최영호남구청장윤영덕청와대 행정관의 치열한 경선 결과, 윤영덕이 최종 후보로 결정되었다.

민생당은 현역 국회의원 장병완이 4선에 도전했다.

투표 결과 윤영덕이 77.28%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그래도 장병완은 20.61%를 기록하며, 광주광역시 선거구 민생당 출마자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3.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동구·남구 갑
남구 봉선1동, 봉선2동, 월산동, 월산4동, 월산5동, 주월1동,
주월2동, 진월동, 효덕동, 송암동, 대촌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진욱(丁秦旭) 82,883 1위

88.69% 당선
2 강현구(姜賢求) 10,563 2위


11.30% 낙선
선거인 수 136,736 투표율
69.64%
투표 수 95,225
무효표 수 1,779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152484><bgcolor=#152484> 22대 총선 광주 동구·남구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진욱 강현구
득표수
(득표율)
82,883
(88.69%)
10,563
(11.30%)
+72,320
(△77.39)
95,225
(69.64%)
봉선1동 88.43% 11.57% △76.86 66.10
봉선2동[A] 84.26% 15.74% △68.52 70.35
월산동 89.45% 10.55% △78.90 60.16
월산4동 90.65% 9.35% △81.30 57.85
월산5동 90.63% 9.37% △81.26 61.51
주월1동 88.90% 11.10% △78.80 63.89
주월2동 90.55% 9.45% △81.10 63.54
진월동 89.41% 10.59% △78.82 67.93
효덕동[B] 89.02% 10.98% △78.04 69.51
송암동[C] 88.47% 11.53% △76.94 62.02
대촌동[D] 91.40% 8.60% △82.80 65.34
후보 정진욱 강현구 격차
거소·선상투표 79.46% 20.45% △58.91
관외사전투표 89.51% 10.49% △79.02
재외투표 95.29% 4.71% △90.58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동구·남구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정진욱 강현구 격차
전체 90.0% 10.0% 80.0%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2대 총선 정진욱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강현구 벽보.jpg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직 윤영덕 의원이 재선을 노릴 것으로 보이지만 자천 타천 거론되는 경쟁자들이 만만찮은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캠프 대변인 출신인 정진욱 광주광역시 희망과 성장연구소 대표가 거론되고 있다. 노형욱국토교통부장관도 후보였다.

노형욱 전 장관은 컷오프되었고, 경선 결과 정진욱 후보가 공천을 받게 되었다.

국민의힘에서는 대한건축사협회 광주시건축사회장을 지낸 강현구를 단수 공천하였다. 강현구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도 남구청장 후보로 나왔다.

출구조사 결과 정진욱 전 이재명 대표 특보가 무려 90%를 득표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9], 실제 개표에서도 88.69%를 득표하여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한편 강현구 후보는 국민의힘 소속 광주지역 출마자 중 최대 득표율을 올림과 동시에 민주화 이후 최초로 보수정당 소속으로 남구 지역 국회의원 선거에서 두 자릿 수 득표율을 올리는 등[10] 나름 선전했으나 거기까지였다.
[A] 광주광역시의 대표적인 부촌지역[B] 법정동 노대동,덕남동,행암동(일부)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이 있는 동네[C] 법정동 하동+임동,행암동(일부), 송원대학교효천지구가 있는 동네[D] 법정동 구소동,대지동,도금동,석정동,승촌동,신장동,압촌동,양과동,양촌동,원산동,월성동,이장동,지석동,칠석동,화장동 광주에너지밸리가 있는 남구의 미개발 지역[A] [B] [C] [D] [9]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 발표된 방송 3사 출구조사 후보자별 예측치 중 가장 최고치의 예측치가 나왔다.[10] 참고로 1996년 이후 최초로 보수정당 소속 후보가 서구 외의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두 자릿 수를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