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벨기에 |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스위스 | 스웨덴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
슬로베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안도라 | 알바니아 | 영국 | 에스토니아 | 오스트리아 | |
우크라이나 | 이스라엘 | 이탈리아 | 조지아 | 지브롤터 |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 | | | | |
아르헨티나 | 미국 | 브라질 | 브라질 | 소비에트 연방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미국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미국 | FR 유고슬라비아 | FR 유고슬라비아 | 스페인 | |
<rowcolor=#202020> | | | | | |
미국 | 미국 | 스페인 | 독일 |
| |||
독일 농구 국가대표팀 | |||
Deutsche Basketballnationalmannschaft or Die Mannschaft | |||
<colbgcolor=#000><colcolor=#fff> 농구 협회 | 독일 농구 연맹 (DBB) | ||
대륙 연맹 | FIBA 유럽 | ||
감독 |
알렉스 뭄브루 (Álex Mumbrú) | ||
주장 | C 데니스 슈뢰더 (Dennis Schröder) | ||
스폰서 | 피크 | ||
FIBA 랭킹 | 3위 | ||
대회별 성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yellow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세계대회 | ||
<colcolor=#fff><colbgcolor=#000> 월드컵 | [진출] 7회 [최고] 우승 (2023) | ||
올림픽 | [진출] 7회 [최고] 4위 (2024) | ||
대륙대회 | |||
유로바스켓 | [진출] 25회 [최고] 우승 (1993, 2025) |
1. 개요
독일의 농구 국가대표팀. 독일 통일 이후 동독 농구 국가대표팀이 이쪽에 흡수되었다. 과거에는 데틀레프 슈렘프, 디르크 노비츠키의 원맨팀이었다면, 현재는 프란츠 바그너, 데니스 슈뢰더를 중심으로 다니엘 타이스, 모리츠 바그너, 아이재아 하텐슈타인, 막시 클레버, 트리스탄 다 실바 등이 있다. 과거 노비츠키 같은 슈퍼스타는 없지만 탄탄한 전력을 자랑하며 황금 세대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 농구 레전드 "현재 대표팀 역대 최고 세대"···노비츠키, 올림픽 현장 누비며 후배들 응원2. 역대 성적
2.1. FIBA 농구 월드컵
- 1986년 13위
- 1994년 12위
- 2002년 3위
- 2006년 8위
- 2010년 17위
- 2019년 18위
- 2023년 우승
2002년 득점왕, MVP를 석권한 디르크 노비츠키의 대활약으로 3위에 올랐다.
2023 월드컵에서 미국을 잡는 이변을 만들면서 사상 첫 결승 진출에 성공해 세르비아를 꺾고 우승에 성공하면서 노비츠키 시절에도 하지 못한 우승을 해냈다.
2.2. 올림픽
- 1936년 15위
- 1972년 12위
- 1984년 8위
- 1992년 7위
- 2008년 10위
- 2020년 8위
- 2024년 4위
2.3. FIBA 유로바스켓
- 1951년 12위
- 1953년 14위
- 1955년 17위
- 1957년 13위
- 1961년 16위
- 1965년 14위
- 1971년 9위
- 1981년 10위
- 1983년 8위
- 1985년 5위
- 1987년 6위
- 1993년 우승
- 1995년 10위
- 1997년 12위
- 1999년 7위
- 2001년 4위
- 2003년 9위
- 2005년 준우승
- 2007년 5위
- 2009년 11위
- 2011년 9위
- 2013년 17위
- 2015년 18위
- 2017년 6위
- 2022년 3위
- 2025년 우승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tablealign=center> | }}}}}} | |||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10A04; 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02020> | | | | |
아르헨티나 | 미국 | 브라질 | 브라질 | 소비에트 연방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유고슬라비아 | 소비에트 연방 | 미국 | |
<rowcolor=#202020> | | | | | |
유고슬라비아 | 미국 | FR 유고슬라비아 | FR 유고슬라비아 | 스페인 | |
<rowcolor=#202020> | | | | | |
미국 | 미국 | 스페인 | 독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