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아일랜드산 흑맥주인 기네스와 벨기에산 맥주인 호가든[1] 이 두 가지 맥주를 1:1로 섞어서 층을 만드는 맥주 플로팅 칵테일의 일종이다. 외국에서는 dirty hoe 말고도 black hoe 나 midnight in the garden 등의 용어도 사용하며, hoe라는 단어가 아무래도 뜻이 뜻인지라 대중적으로는 Black and Tan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불린다.2. 상세
우선 호가든을 거품을 나게 하면서 컵의 반 정도 따라두고, 그 다음 두번째 사진처럼 숟가락 뒤집어서 컵 위에 위치시킨 후 뒤집은 숟가락에 기네스를 천천히 따르면 된다. 성공하면 저 윗사진처럼 예쁜 더티호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귀찮다고 기네스를 갑자기 빠르게 따라버리거나 속도 조절에 실패한다면 정말 이름처럼 더티한 비주얼을 볼 수 있다. 혹여나 남들과는 다르게 기네스를 아래쪽에 호가든을 위쪽에 배치시길 요량으로 기네스를 먼저 따르고 호가든을 나중에 따른다면 층이 지지않고 섞여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흑맥주와 밀맥주의 밀도차이에 관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서 위스키를 이용한 다른 칵테일 주조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지식이니 참고하여야 한다.아무래도 층을 내는 칵테일의 특성상 예쁘게 층을 내기 어려운지라, 호가든과 기네스를 잘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용 스푼이나 전용 도구도 판매되고 있다. 아마존닷컴에서 The Perfect Black And Tan Beer Layering Tool이라는 이름으로 약 10달러에 판매중. 한국까지 직배송하면 약 16달러 정도가 나온다.
여담으로 각각의 맥주는 호가든 4.9도, 기네스 4.4도로 높진 않지만, 두 잔 정도 더티호로 만들어 먹으면 꽤나 빨리 취기가 올라온다. 이 점 유념하고 마시자.
기네스의 원산지인 아일랜드에서는 Black and Tan이라고 부르지 않고 Half and Half라고 부른다. 아일랜드 독립전쟁 당시 영국의 편을 들었던 아일랜드 전투경찰들을 Black and Tans라 불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