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니타 타츠오[1]의 체인지(만화)를 원작으로 한 윤인호[2] 감독의 2007년 영화. 개봉은 2008년 1월 31일에 했다. 데이비드 핀처의 동명의 작품과는 무관하다.
관객은 142만을 이끌며, 쪽박은 아니었다지만 스릴러 영화라기에는 이래저래 엉성했다. 뇌 이식을 통한 몸 바꾸기라는 소재는 신선했으나 배우들의 연기력으로 커버하기에는 극본이 턱없이 부족했다.
2. 출연진
3. 줄거리
원작인 체인지(만화)와 큰 줄기는 비슷하니 참고.거리의 가난한 화가 민희도(신하균)는 거대 금융기업의 회장 강노식(변희봉)에게서 내기를 제의받는다. 민희도가 승리하면 강노식에게서 엄청난 거액의 현금을 수령하며 강노식이 승리하면 민희도의 '몸'을 갖는 것이었는데 민희도는 고약한 장난으로 여기고 강노식의 저택을 나온다. 그런데 민희도의 연인 주은아(이은성)에게는 죽은 아버지가 사업 실패로 남긴 3억원의 빚이 있었고, 사채업자들이 주은아의 집에 쳐들어와서 협박하는 지경에 이르자 이성을 잃은 민희도는 바로 저택으로 돌아와 내기에 응한다.
내기는 서로 무작위의 숫자를 번갈아 말해서 만든 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받은 사람의 성별을 맞히는 것. 민희도는 여자, 강노식은 남자를 선택한다. 전화가 울린 후 중성적이지만 여자 같은 목소리가 전화를 받는데, 민희도는 승리한 줄 알고 환희하지만 목소리의 주인공은 상대방을 스토킹으로 오해하고 욕을 하며 자신이 남자라고 얘기한다. 트랜스젠더로 추정. 결국 민희도는 내기에서 패배하고, 강노식의 지시로 천재 의사가 수술을 감행한다.
내기의 대가로 벌어진 수술이란 청년 민희도와 노인 강노식의 뇌를 맞바꾸는 것이었다. 두 사람이 누워서 수술하는 장면이 적나라하게 나왔는데, 소품이 아니라 두 사람이 직접 누워있는 장면이었고 특수효과가 상당한 화제가 되었다.
젊은 몸을 갖게 된 강노식(신하균)은 자신을 사망 처리하고 강노식의 숨겨진 아들 행세를 하여 회사의 새 사장으로 취임했다.
반면 민희도의 뇌는 목숨이 얼마 남지 않은 강노식의 몸에 이식되어 무자비하게 내쳐졌다. 수술 후 눈을 뜬 민희도는 노인이 된 충격과 공포의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패닉에 빠진다. "살려주세요! 살려주세요!"라 절규하는데 의료진들이 즉시 들어와 강제로 주사 수면제를 놓아 잠재워버린다. 원작에 없는 장면인데 이것만큼은 원작초월이라 할만하며 변희봉의 연기력에서 위압감마저 느낄 수 있다. 이후 수술의 부작용인 격심한 두통으로 거의 죽을 지경일 때 억지로 약을 꿀꺽 삼키고 버티는 장면도 압권. 원작 만화의 묘사와 민희도의 후반부 대사를 보면 민희도는 강노식이 자신의 '몸'을 갖는다는 건 자신을 노예로 삼는다는 말이겠거니 했지 설마 뇌 바꿔치기 같은 짓을 하리라고는 생각도 못했던 것이다.
한편 주은아는 민희도에게 계속 전화를 걸었지만 한 달이나 잠들어있었던 민희도는 받을 수 없었고, 대신 민희도의 휴대전화를 접수한 강노식이 착신전화를 받고 주은아의 존재를 알고는 비서에게 뒷조사를 시킨다. 주은아를 사채업자들로부터 구하려고 민희도가 내기에 응한 것을 안 강노식은 주은아를 괴롭히는 사채업자들을 현찰 3억을 들이밀어 즉시 쫓아내준다. 빚을 갚아줬으니 제 딴에는 책임을 졌다고 생각했는지 주은아를 떼어버리려 하지만 요즘 세상에 보기 드문 순수한 여성인 주은아에게 점점 이끌린다. 돈도 있고 젊은 몸도 있으니 마음껏 방탕한 생활을 했지만 그걸로는 절대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공허를 주은아와의 연애로 채우게 된다. 그러나 민희도가 메신저를 통해 지금의 민희도는 가짜라고 폭로하고, 주은아는 과거의 기억을 추궁하여 그 사실을 확인하고는 가짜 민희도=강노식을 멀리한다.
민희도(변희봉)는 삼촌 민태석(손현주), 강노식의 재산을 노리고 접근했다가 발각되어 내쳐진 여성 이혜린(이혜영)과 손을 잡고 강노식을 재대결로 끌어내기 위해 발악한다.
그러나 노련한 강노식이 부하들을 풀어 민희도의 협력자들을 제거하고 민희도와 1대1로 대면하게 된다. 민희도는 자기 몸을 빼앗아간 강노식을 보자마자 이성을 잃고 달려들지만 다 죽어가는 늙은 몸으로는 젊은 몸을 가진 강노식을 어떻게 할 수 없었다. 무릎을 꿇고 비참하게 싹싹 빌며 제발 몸을 돌려달라고 비는 수밖에 없는 민희도에게 강노식이 재대결을 제의한다. 민희도가 승리하면 몸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강노식이 승리하면 민희도의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을 이식하는 것이었다. 강노식은 이번에는 자신이 좀 불리한 내기지만 민희도로 살다 보니까 욕심이 생겼다며, 민희도가 지더라도 어차피 민희도는 기억이 없어질 테니 고통 없이 죽을 수 있을 거라고도 한다.
원작만화와 달리 영화는 재대결에서 누가 승리했는지 밝혀지지 않고, 일단 민희도(신하균)가 다시 예전처럼 거리의 화가로 사는 장면으로 넘어간다. 어째서인지 자꾸 졸리고 배가 고프다며 연인 주은아에게 어리광을 부린다. 주은아는 돌아온 민희도를 흐뭇하게 바라보며 마실 것을 사온다고 하고, 민희도가 '자판기 커피를 부탁해'라 하자 그게 민희도의 기호였는지 일전에 가짜 민희도를 봤을 때와 달리 '우리 오빠 맞구나'라 확신한다.
그러나... 주은아가 자리를 비웠을 때 민희도(?)는 성냥으로 불을 붙여 담배를 피우는데 이건 영락없는 강노식 특유의 습관이었다.
이 장면 다음으로 2차 수술 직전의 상황이 나온다. 이번에도 수술 잘 부탁한다는 강노식에게 의사가 슬슬 간을 보는데, 예전에 거액의 빚을 강노식이 갚아줬다지만 이제 할만큼 했으니 자신을 놓아줄 때도 되지 않았냐는 것이다. 그러나 강노식은 의사의 멱살을 잡으며 화를 낼 뿐이었다. 어쨌든 2차 수술을 위해 의사가 강노식에게 마취제를 놓고 강노식은 서서히 눈을 감게 되는데 의사가 사악한 미소를 지으며 말하길...
"뇌를 바꿀수 있을 정도로 체질이 비슷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혈육이 아니면 불가능하겠지요? 게임을... 회장님만 한다고 생각하셨죠?"
강노식은 뒤늦게 무언가를 퍼뜩 깨닫고 눈물을 흘리며 발악하려 하지만 이미 마취제가 몸에 돌아 눈을 감고 영화는 끝이 난다.
3.1. 결말 추측
참고로 원작 만화는 쿠로몬(강노식)이 2차전에서도 승리했지만 만키치(민희도)에게 온전히 몸을 돌려주었고, 의사에게도 자유를 주었다. 애초에 뇌 전체를 바꿀 수는 있어도 기억 부분만 떼서 이식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명확히 언급되었다. 그리고 강노식은 충직한 비서가 사실 자신의 아들이었음을 알고 감격의 눈물을 흘리며 죽는 결말이었는데 영화는 이 요소들을 활용하되 크게 비틀었다.마지막에 민희도의 몸이 여자친구만 알 만한 습관과 강노식의 습관을 모두 보였으니, 강노식이 2차전에서도 승리하여 민희도의 기억마저 빼앗았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민희도의 몸+민희도의 기억+강노식의 뇌 / 민희도의 뇌는 기억만 적출당하고 강노식의 몸에 남아 사망) 자꾸 피곤한 것도 강노식의 늙은 뇌를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그 뒤에 강노식조차 의사의 손 위에서 놀아났다는 뜬금없는 반전으로 영화가 끝나버리며 결말은 미궁 속에 빠진다. 의사 입장에서는 자신을 구속하는 강노식의 기억을 제거하고 자유를 찾아야 하므로 순순히 강노식이 원하는 대로 수술을 집도할 필요가 없고 차라리 강노식과 민희도의 뇌를 원래대로 돌려놓고 강노식이 죽게 내버려두는 것이 나을 것이다. 혹은 의사가 우연을 가장해 점찍은 희생양이 강노식의 하나뿐인 혈육이고 강노식이 자기도 모르게 아들을 죽이게 만든 것도 나름대로의 보복일 수도 있겠지만...
만약 의사가 판을 엎어서 민희도가 원래 몸을 되찾았다 쳐도 강노식의 습관대로 담배를 피우는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데,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서 허생원이 동이가 왼손으로 채찍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아들이라고 유추한 것처럼 민희도도 강노식의 아들이라서 그런 습관을 가졌다고 다소 억측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결말의 민희도가 석연찮은 점은 뒷목의 수술 자국이 없다는 것이다. 단순히 옥에 티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민희도의 젊은 몸을 가진 강노식이 술집 여자를 데려가 성관계를 가지려고 했을 때 여자가 몸 뒤의 흉측한 수술 자국을 보고 깜짝 놀라 도저히 못하겠다며 울며 도망쳐버리는 장면이 있다. 젊은 몸을 빼앗은 대가로 남은 낙인인 것이다. 이걸 생각하면 마지막의 민희도는 수술 후가 아니라 강노식과 내기를 하기도 전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반전이랍시고 만든 결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상당히 난해해서 오히려 모순이 생겨 영화의 평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됐다. 올드보이와 마찬가지로 원작만화와 비슷한 전개+전혀 다른 결말을 추구한 것 같은데 반전이 신의 한수가 된 올드보이와 달리 반전의 퀄리티나 당위성, 그리고 이를 위한 복선이 전혀 없었다는 점이 문제였다.
4.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
신선도 없음% | 관객 점수 5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
전문가 별점 없음 / 5.0 | 관람객 별점 없음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bgcolor=#005> ||
별점 7.040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
별점 3.00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
평점 7.5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
별점 7.2 / 1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
별점 3.2 / 5.0 |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37.25% | 별점 / 5.0 |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display:66617"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66617;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6617|{{{#!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기자·평론가 5.00 / 10 | 관람객 없음 / 10 | 네티즌 7.41 / 1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5.00 / 10 | 관람객 없음 / 10 | 네티즌 7.41 / 10 |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
평점 7.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
지수 없음% |
5. 기타
- 2007년 초반 촬영 당시 작품의 중요 소품이 되는 성냥 케이스를 한 네이버 블로거로부터 대여하여 영화를 촬영했으나, 인수인계가 제대로 되지 않아 분실했다고 한다. 해당 케이스는 블로거가 일본에까지 가서 사온 물건이었기에 당연히 분기탱천했고 결국 영화의 미술팀장이 직접 사과하고 소정의 변상을 하면서 사태는 일단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