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1:49:46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 기본 정보 <colbgcolor=#e6002d> 국제 연맹 국제 축구 연맹 (FIFA)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단체 대한축구협회 (KFA) · 대한장애인축구협회 (KOFAD) · 대한체육회 (KSOC)
대표팀 남자 성인 · U-23 · U-20 · U-17 · U-14 · 풋살 · 비치사커 · 유니버시아드 · 밀리터리 · 동아시안 게임 · 성인 2군(폐지)
여자 성인 · U-20 · U-17 · U-14 · 풋살 · 유니버시아드 · 밀리터리
남자 장애인 시각 B1 · 시각 B2/B3 · 뇌성마비 · 청각 · 지적
여자 장애인 청각 · 지적
역사와 문화 역사 대표팀 역사 및 기록 · 경평축구대항전 · 대표팀 역대 유니폼 · 대표팀 역대 엠블럼 · 대표팀 역대 개인 기록 · 대표팀 역대 대회별 기록 · 대표팀 역대 스쿼드 · 대표팀 역대 감독
문화 응원가 · 마스코트
관련 상식 더비 매치 한일전 · 남북전
대표팀 시설 경기장 서울 월드컵 경기장
훈련 시설 파주 NFC ·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
기타 플레이 스타일 · 관련 틀 · 특징 · 라이벌 · 문제점
}}}}}}}}} ||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대한축구협회 소속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군 대표팀이다. A대표팀을 1군 또는 1진, B대표팀을 2군 또는 2진이라 칭한다.

B대표팀은 대한민국 백호팀 또는 대한민국 충무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다수의 A대표팀을 보내기 모호하거나 일정이 겹치는 경우에 출전시켰다. 이는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에도 존재했으며, 특히 독립대회나 친선대회에 2군또는 선발팀이 출전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1960년대부터 구성되어 왔으며 1993년을 끝으로 더이상 소집된 적은 없으며, 현재는 연령별 대표팀이 이러한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 역사

2군팀이 사상 처음으로 출전한 대회는 1961년 메르데카컵으로 A대표팀이 1962년 월드컵 예선 준비로 출전이 쉽지 않았던 상황에서 2군 대표팀을 구성해 출전시켰다.

또한 1964 AFC 아시안컵 이스라엘 대회에는 대회 기간과 올림픽 예선이 겹치면서 결국 당시 올림픽을 중요시했던 협회가 아시안컵에 2군 대표팀을 구성해 출전시키는 결정을 했다.

이후 1970년 장덕진 당시 대한축구협회장 부임 후 그 해 2월부터 공식적으로 청룡(1진), 백호(2진)의 분할 2원화 상비군 체제가 들어서며 본격화 되었지만 얼마 지나지 않은 9월 다시 백호팀이 흡수되며 단일체제로 운영되었다.

1971년 자카르타 창립 기념대회에 다시 2군팀이 출전하였고 1976년부터 1980년까지 다시 2원화 체제가 운영되며 화랑(1진), 충무(2진) 대표팀이 구성되었다.

이후 통합과 분할이 계속 이루어지다가 1988년 아시안컵 예선 당시 실업 선발이 주축이 된 B팀이 출전하였고 이 때는 예선 통과하며 본선에는 A대표팀이 출전했으나 동일하게 1992년 아시안컵 예선에도 실업 선발 주축의 B팀이 출전하였다가 충격의 예선 탈락을 경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소집된 것은 1993년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이며 이것을 끝으로 2군팀의 역사는 마무리 된다. 현재는 이러한 보완적 대표팀 역할은 연령별 대표팀 특히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이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