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0:13:23

대전 버스 62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5bb025>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외곽버스 노선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5bb025><colcolor=#fff> 1권역 11
2권역 20 21 22 23 24
25 26 27
3권역 30 31 32 33 34
4권역 41 42 46
5권역 52
6권역 60 61 62 63 66
7권역 71 72 73 74 75
맞춤버스 17 88 첨단1 첨단2
모든 노선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 ||
파일:dj62-gc.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요금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금남교통에서 운행하는 외곽버스 노선.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외곽버스 6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외곽버스 62번 노선도.png
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대전역동광장) 종점 충청북도 옥천군 군북면 대정리(방아실)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6:45
막차 21:10 막차 22:00
배차간격 1일 7회
운수사명 금남교통 인가대수 1대
노선 대전역동광장 - 역전.중앙시장 - 동부경찰서 - 신흥역 - 판암역 - 동신과학고 - 대청동주민센터 - 세천삼거리 - 안아감마을 - (→ 요골 → 구절골 → 모래재 → 방아실입구.와정리 →/← (감로) ← 비야리 ← 항곡리종점 ← 새거리 ←) - 와정.자괏 - 방아실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외곽버스 62번 시간표
2021년 11월 26일 기준
횟수 대전역 방아실
1 06:00 06:45
2 08:00 08:55
3 10:55 11:45
4 13:30 14:20
5 16:05 17:00
6 18:45 19:35
7 21:10 22:00
감로 지원 운행

4.2. 요금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외곽버스 62번 시외 요금표
2024년 1월 1일 기준
출처
구분 성인 청소년 어린이
현금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시 경계 1700 1500 900 750 400 350
와정 1700 1500 900 750 400 350
와정(자괏) 1750 1550 900 750 400 350
한저골 1800 1600 950 800 400 350
방아실(종점) 1800 1600 950 800 400 350
와정(금오)(금오골) 1800 1600 1050 900 450 400
와정(새거리) 1800 1600 950 800 400 350
항곡 1800 1600 950 800 400 350
남송타운 1750 1550 900 750 400 350
비야리 1700 1500 900 750 400 350
감로 1700 1500 900 750 400 350
시외구간 승하차 1500 1400 1200 1100 750 650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 근교 지역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공주시
논산시
보은군 63
별도 틀 존재
}}}}}}}}} ||


[1] 해당 구간은 굴곡이 매우 심했다. 기점지가 같은 61번은 대전대에서 판암으로 바로 갔지만, 62번은 판암테크노타운 인근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용운동~대동~충남중네거리~대전역동광장~중앙시장~신인동을 찍고 판암으로 갔다. 심지어 판암테크노타운 인근 사거리에서 판암네거리까지는 약 450m으로, 걸어갈 수도 있는 거리이다. 단축 이후 603번이 해당 구간 역할을 맡게 되었다.[2] 2021년 11월 26일 이전까지 충남중네거리에서 대전역을 갈 때 대동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원동네거리로 갔던 603번과 다르게, 본 노선은 충남중네거리에서 대동지하차도를 타고 대전역동광장으로 직행하였고, 그 다음 대전역지하차도를 타고 좌회전을 하여 중앙시장 쪽으로 갔다. 즉, 중앙시장에서는 용운동을 갈 경우 본 노선과 603번의 타는 방향이 반대였던 셈이다. 그리고 용운동에서 62번을 타면 603번이나 611번보다 더 빠르게 대전역으로 갈 수 있었지만 워낙 배차간격이 길다보니 이를 아는 사람들이 드물었다.[3] 옥천읍내를 연결하는 607번과 회남을 연결하는 63번 둘 다 대전운수 소속이다.[4] 마을버스, 바로타까지 포함하면 B1번(오송역 운행)도 포함된다.[5] 다만 대전운수가 과거 선진여객 시절에 운행한 적이 한번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