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8 17:00:25

다니엘 개포드

대니얼 개퍼드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4b1><tablebgcolor=#0064b1>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로고.svg댈러스 매버릭스
2025-26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285e,#ddd
<colbgcolor=#0064b1><colcolor=#fff> 감독 제이슨 키드
코치 프랭크 보겔 · 조시 브로가머 · 에릭 휴즈 · 마르코 밀리치 · 키스 버니 · 마이크 펜버시 · 제이 트리아노 · 파파이 존스 · 필 핸디
가드 0 단테 액섬 · 00 맥스 크리스티 · 1 제이든 하디 · 5 디안젤로 러셀 · 9 라이언 넴하드TW · 10 브랜든 윌리엄스 · 11 카이리 어빙 파일:부상 아이콘.svg · 14 마일스 켈리TW
가드-포워드 16 케일럽 마틴 · 31 클레이 탐슨
포워드 13 나지 마샬 · 25 P.J. 워싱턴 · 32 쿠퍼 플래그
포워드-센터 3 앤서니 데이비스 · 7 드와이트 파웰 · 21 다니엘 개포드
센터 2 데릭 라이블리 II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파일:대니얼개퍼드24-25.png
<colbgcolor=#0064b1><colcolor=#fff> 댈러스 매버릭스 No. 21
다니엘 개포드
Daniel Gafford
출생 1998년 10월 1일 ([age(1998-10-01)]세)
아칸소 주 엘 도라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아칸소 대학교
신장 208cm (6' 10'')[1]
체중 120kg (265 lbs)
윙스팬 218cm (7' 2.25'')
후원사 안타 스포츠
포지션 센터 / 파워 포워드
드래프트 2019 NBA 드래프트 2라운드 38순위
시카고 불스 지명
소속 구단 시카고 불스 (2019~2021)
→ 윈디 시티 불스 (2019)
워싱턴 위저즈 (2021~2024)
댈러스 매버릭스 (2024~)
계약 2023-24 ~ 2025-26 / $40,182,480
2026-27 ~ 2028-29 / $54,380,290
연봉 2025-26 / $14,386,320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시카고 불스
2.1.1. 2019-20 시즌2.1.2. 2020-21 시즌
2.2. 워싱턴 위저즈
2.2.1. 2020-21 시즌
2.3. 댈러스 매버릭스
2.3.1. 2023-24 시즌2.3.2. 2024-25 시즌2.3.3. 2025-26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미국 국적의 포워드, 센터.

2. 선수 경력

2.1. 시카고 불스

2019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38순위로 시카고 불스에 지명됐다.

2.1.1. 2019-20 시즌

11월 19일 밀워키 벅스를 상대로 21득점 5리바운드 2블록을 기록했다.

12월 14일 샬럿 호네츠를 만나 블록을 6개나 찍었다.

2.1.2. 2020-21 시즌

1월 1일 워싱턴 원정에서 15득점 5리바운드 2스틸을 기록하며 연승을 달렸다.

2.2. 워싱턴 위저즈

파일:대니얼개퍼드WAS.jpg
영입 오피셜
3월 26일 트레이드됐다.
WAS get: C 다니엘 개포드, F/G 챈들러 허치슨
CHI get: F 트로이 브라운 주니어, C 다니엘 타이스, G 자본테 그린, 현금
BOS get: C 모리츠 바그너, C 루크 코넷

2.2.1. 2020-21 시즌

28일 데뷔전 피스턴스를 상대로 13분 동안 13득점 5리바운드 3블록으로 강한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다음 경기에서 11득점 6리바운드 2블록을 기록했으나 착지 과정에서 발목을 삐끗하여 4월 11일에 복귀했다.

17일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전에서 18득점 7리바운드 4블록으로 골밑을 든든하게 지켜냈다.

22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를 상대로 19득점 10리바운드 3블록을 기록하며 통산 첫 더블더블, 4점 차 승리를 따냈다.

5월 6일 밀워키 원정에서 12득점 10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1점 차로 졌다.

4월에 타오른 러셀 웨스트브룩의 활약으로 기적같이 8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해서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를 만났다.

1차전 12득점 6리바운드로 벤치를 이끌었으나 패. 2차전 11득점 6리바운드로 벤치에서 잘 비벼줬으나 25점 차 대패. 3차전 16득점 6리바운드를 기록했으나 29점 차 대패. 기존 주전인 알렉스 렌[2]이 시원찮은 모습을 보이자 개퍼드를 선발 로테이션에 올리며 4차전을 진행했고 12득점 4리바운드 5블록을 기록, 팀은 하치무라 루이의 빅샷으로 첫 승을 따냈다. 그러나 5차전에서 팀의 수비력이 원상복구됐고 그대로 광탈했다.

54경기 14.6분 7득점 4.3리바운드 0.5어시스트 1.4블록[3] 으로 불스에선 적은 출전시간, 위저즈에선 웨스트브룩의 존재로 많은 스탯을 쌓진 못했으나 웨스트브룩 이적 후 매 경기마다 터프한 수비와 공격 리바운드를 보여주면서 위저즈의 주요 선수 중 한 명으로 자리 잡았다.

2.3. 댈러스 매버릭스

2.3.1. 2023-24 시즌

데드라인 직전인 2월 8일, 빅맨진의 보강을 위해 댈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댈러스 데뷔전인 2월 10일,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와의 맞대결에서 17분 가량 출전하여 19득점 9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더블더블에 가까운 활약을 펼쳤다. 팀의 핸들러인 루카 돈치치와 처음으로 같이 뛰는 경기임에도 안정적인 호흡을 보여줬다. 특히 셰이 길저스알렉산더를 상대로 블록을 기록하며 경기 분위기를 가져오기도 했다. 또한 볼에 대한 집념과 준수한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리바운드 참여와 득점을 보여주며 관중들의 환호를 받았다.

3월 7일 경기부터 3월 14일 워리어스전까지 33번의 야투를 연속으로 집어넣으면서 윌트 체임벌린의 32회 연속 야투 성공 기록을 넘어서서 역대 2위 기록을 작성했다. 워리어스전에서도 야투율이 100%(5/5)이었기에 다음 경기에서 2번의 야투를 실수 없이 연속으로 집어 넣는다면 역대 1위 타이기록을 세우게 된다.

클리퍼스와의 플레이오프전에서 상대의 실질적 에이스인 폴 조지의 레이업을, 개떡블락을 인유어페이스로 찍었다.

2.3.2. 2024-25 시즌

시즌 전 제이슨 키드 감독이 데릭 라이블리를 주전 센터로 기용하겠다고 했지만 개막 후 안정감을 보여주면서 라이블리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라이블리와 파월 모두 부상으로 경기에 나오지 못해 본인의 부담이 커진 채 맞이한 1월 15일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전에서 27득점을 기록하며 득점 커리어하이를 경신하더니,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은 1월 20일 샬럿 호네츠전에서는 31득점 15리바운드 1스틸 7블락으로 자신 커리어 최고의 경기를 보냈다. 이는 심지어 팀의 주전 포인트가드 돈치치 없이 기록한 것.

한동안 마땅한 센터가 없어 골머리를 썩던 댈러스에게 라이블리와 개포드의 영입은 돈치치를 트레이드하며 온갖 욕을 다 먹었던 니코 해리슨 단장이 플래그 드래프트 전까지 그나마 잘한 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2.3.3. 2025-26 시즌

오프시즌 초반에는 니코 단장이 또 정신이 나가 골밑을 든든하게 지키던 라이블리나 개포드 둘 중 한 명을 트레이드 할 것이라는 루머가 돌았으나...

다행히도 오프시즌 팀과 3년 54밀 달러 가량의 연장계약을 체결했다.

3.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피지컬과 운동능력으로 골밑에서 높은 존재감을 보여주는 빅맨. 지금은 NBA에서 7피트의 키를 가진 센터나 파워포워드가 달릴 줄 안다라는 표현은 흔해지긴 했으나, 키에 비해 스피드가 좋아 속공에도 참여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평균 야투율도 60%대 후반에서 70%대 초반을 기록하며 좋은 효율을 보여준다. 블록도 매 시즌 평균 2개 이상은 해주는 중. 특히 볼에 대한 집념이 강해서 리바운드 참여를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이 보인다. 다만 리바운드는 종합적으로 약점으로 꼽히는데, 공격 리바운드는 경기 당 리바운드 수 대비 잘 잡고 민첩한 편이라 풋백을 잘 하는 편이지만 문제는 수비 리바운드이다. 위치 선정 능력이 능하지 못해 상대편 빅맨에게 내주는 경우가 많다. 또 다른 단점은 슈팅 능력. 받아먹기 외에 개인 득점 창출 능력은 없다시피하다. 지금까지 커리어 3점 시도 개수가 0이다. 그래도 자유투는 성공률이 데뷔 시즌에 53.3%였던 것에 비해 꾸준히 성장하여 지금은 70%대를 기록 중이다.

4. 여담

5. 둘러보기

다니엘 개포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시카고 불스 등번호 12번
커크 하인릭
(2012~2016)
다니엘 개포드
(2019~2021)
아요 도순무
(2021~2024)
워싱턴 위저즈 등번호 21번
모리츠 바그너
(2019~2021)
다니엘 개포드
(2021~2024)
JT 토르
(2025~)
댈러스 매버릭스 등번호 21번
프랭크 닐리키나
(2021~2023)
다니엘 개포드
(2024~)
현역
}}} ||
[1] 맨발 기준 208cm (6' 10") / 착화 신장 211cm (6' 11")[2] 선발로는 나오나 초반에 힘으로 버텨주는 역할이지 출전 시간은 개퍼드, 로페즈보다 적다.[3] 위저즈 이적 후 23경기 17.7분 10.1득점 5.6리바운드 0.5어시스트 1.8블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