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23:58:22

다마스쿠스의 요한

중세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colcolor=#fff> 이단설 <colbgcolor=#fff>영지주의 · 마르키온주의 · 몬타누스주의 · 마니교 · 아리우스주의 · 펠라기우스주의
안티오키아 학파
이냐시오 · 네스토리오스 · 요한 크리소스토모
알렉산드리아 학파
클레멘스 · 오리게네스 · 아타나시오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아프리카 교부
테르툴리아누스 ·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 키프리아누스 · 락탄티우스 · 제노
라틴 교부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 히에로니무스 · 그레고리우스 아니키우스
비잔티움 교부 그레고리오스 · 바실레이오스
사막 교부 이집트의 안토니우스 · 대 파코미우스
아시아 교부 에프렘 ·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 다마스쿠스의 요한
아우구스티누스
신플라톤-신비주의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유대·이슬람 신학
수니파 사변신학(칼람)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 학파 · 마투리디 학파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알 킨디 · 알 파라비 · 이븐 시나 · 이븐 투파일
이슬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이븐 루시드 · 이븐 바자
이슬람-유대 반사변신학 알가잘리 · 유다 하레위
이슬람-페르시아 신비주의 수흐와르디 · 물라 사드라
이슬람 인문주의 아부 하이얀 알 타위디 · 아부 술레이만 시지스타니
유대 사변신학 사디아 가온 · 다윗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유대 신플라톤주의 이븐 가비롤 · 바히야 이븐 파쿠다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 마이모니데스 · 야콥 아나톨리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모세 벤 여호수아 · 엘리야 델 메디고 · 레위 벤 게르숀
스콜라 신학
카롤링거 르네상스 알퀸 · 피사의 페트로스 · 칸디두스
아벨라르 · 란프랑쿠스 · 에리우게나 · 롬바르두스 · 라드베르투스
초기 베네딕토 학파 루푸스 세르베투스 · 오세르의 레미기우스 · 오세르의 아이모
초기 가톨릭 신비주의 생 빅토르의 위그 · 빙겐의 힐데가르드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안셀무스
스콜라 자연신학 바스의 아델라르
보편논쟁 실재론 · 온건 실재론 · 유명론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헤일스의 알렉산더 · 보나벤투라 · 로저 베이컨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아브라함 바르히야
세비야 번역학파 크레모나의 제라르 · 세비야의 요한
도미니코 학파
대 알베르투스 · 뫼르베케의 빌럼
토마스 아퀴나스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스코투스 ·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 오컴
가브리엘 빌
후기 자연신학 작센의 알베르트 · 장 뷔리당 · 오트레쿠르의 니콜라스
저지대 신비주의 하더윅스 · 마그데부르크의 마흐틸드
독일 신비주의 에크하르트 · 요하네스 타울러 · 하인리히 수소 · 뤼스브로크의 요한
영국 신비주의 리처드 롤 · 월터 힐튼 · 노위치의 줄리안
근대 아우구스티누스 학파 토마스 브래드워딘 }}}}}}}}}}}}
<colbgcolor=#e8a32b,#e8a32b><colcolor=#3e240d,#3e240d> 성인
다마스쿠스의 요한
Ἰωάννης ὁ Δαμασκηνός | Ioannes Damascenus
파일:다마스쿠스의요한.jpg
본명 유하나 이븐 만수르 이븐 사르준
출생 675년 혹은 676년
우마이야 칼리파국 다마스쿠스
사망 749년 12월 4일 (향년 72~74세)
우마이야 칼리파국 예루살렘 마르 사바 수도원
사상 신플라톤주의
종교 그리스도교
축일 12월 4일
수호 약사, 성상학자, 신학도

1. 개요2. 생애3. 사상

1. 개요

아랍수도자, 신학자, 철학자, 그리고 작사가다.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그리고 루터교회에서는 그를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12월 4일.

2. 생애

7세기 중기 우마이야 칼리파국에서 요한은 무아위야 1세의 재무관인 사르준 이븐 만수르의 아들로 태어났다. 현재 학계에서는 당시 요한의 가문은 아랍계 그리스도교 집안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요한은 어린 시절 야지드 1세 칼리프와 친구였다.

요한은 23세 때 아버지의 지시로 그리스인 전쟁 포로였던 코스마스를 선생으로 삼아 학문을 익혔다. 코스마스로부터 기하학, 논리학, 대수학, 신학, 음악, 천문학, 형이상학 등을 공부했다. 아버지가 죽은 후 요한은 다마스쿠스의 최고 참의원이 되었으나, 압드 알말릭의 반그리스도 성향 때문에 다마스쿠스를 떠났다.

그는 스승 코스마스와 함께 마르 사바 수도원에 들어가 그리스도교 관련 글들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요한이 사제가 된 후 726년 동로마 제국에서는 성상 논쟁이 시작되었다. 요한은 성상 파괴의 강력한 지지자였지만, 레오 3세는 성상 숭배를 반대하지 않았고 콘스탄티누스 5세는 일부 성상만을 파괴했다. 그는 749년 예루살렘에 위치한 마르 사바 수도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3. 사상

요한은 주로 편집과 변증을 했지만 독자적인 사상을 발전시키기도 했다. 요한이 쓴 《지식의 샘》은 당시 동방 정통신학의 체계화된 정점으로 그의 대표작이지만, 그의 독자적인 생각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림이나 성육신과 달리 '성상은 경외와 숭배를 위해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우상숭배적'이라는 그의 독자적인 생각은 성상 논쟁 때 동방교회 안에서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가장 이른 시기의 이슬람 비평가이기도 했다. 이슬람은 이스마엘의 이단이고 쿠란이 구약성경을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