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9:31:28

네거포지 앵글러

네거포지 앵글러 (2024)
ネガポジアングラー

NEGATIVE POSITIVE ANGLER
파일:네거포지 앵글러 키비주얼 애니맥스.jpg
{{{#20BADF,#20BAD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장르 낚시
원작 네거글러 프로젝트(ネガグラプロジェクト)
감독 우에무라 유타카
시리즈 구성 스즈키 토모히로
각본
캐릭터 디자인 타니구치 히로미(谷口宏美)
총 작화감독
어류 그림 나가시마 유세이(長嶋祐成)
프롭 디자인 츠키타 후미노리(月田文律)
요코야마 나츠키(横山なつき)
타니구치 히로미
미술 감독 이치쿠라 케이(市倉 敬)
미술 설정 후지세 토모야스(藤瀬智康)
색채 설계 카키타 유키코(垣田由紀子)
CG 디렉터 사이토 츠카사(さいとうつかさ)
촬영 감독 톤쇼 신지(頓所信二)
편집 진구지 유미(神宮司由美)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악 키쿠야 토모키
음악 제작 KADOKAWA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타나카 쇼(田中 翔)
李旎
張聖晏
Shin Juno
사노 케이스케(佐野圭介)
프로듀서 키쿠지마 노리후미(菊島憲文)
亢越
Julien Vig
니시마에 슈카(西前朱加)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츠키 타쿠야
애니메이션 제작 NUT
제작 네거포지 앵글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4. 10. 03. ~ 2024. 12. 1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AT-X / (목) 22: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금) 02:00
파일:투명.png 애니플러스 / (월) 01:30
스트리밍
[[Laftel|
LAFTEL
]]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회차별 WEB 예고편8. 평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우에무라 유타카, 방영 시기는 2024년 10월.

2. 공개 정보

2024년 7월 30일,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다. #

2.1. PV

티저 PV
본 PV

2.2. 키 비주얼

파일:네거포지앵글러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네거포지앵글러_애니키비주얼.jpg
<rowcolor=#20BADF,#20BADF>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3. 줄거리

대량의 빚을 지고,
거기에다 의사로부터 남은 수명이 2년이라는
선고를 받은 대학생 사사키 츠네히로.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는 츠네히로는,
어느 날 사채업자에게 쫓겨 바다에 빠졌다가
낚시를 좋아하는 소녀 하나와 그녀의 동료인 타카아키에게 구조되었다.

하나의 추천으로 살면서 처음으로 낚시를 경험하고,
그 낚시 동료들과 친교를 다지는 츠네히로.

하나와 타카아키가 일하고 있는 편의점에서 알바를 시작했고,
난해한 낚시 용어와 생곤쟁이[1]의 냄새에 고전하면서도
서서히 낚시에 빠져들었다.

손으로 전해지는 손맛은, 살아있다는 감각...

굴러떨어지면서 세계를 올려다보기만 하는 인생은, 그리 간단히 바뀌지 않는다.
그런 츠네히로가 낚시를 통해서 찾아낸 것은 과연.
애니맥스 코리아

4. 등장인물








5. 주제가

5.1. OP

OP
イト
TV ver.
Full ver.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노래 Van de Shop
작곡
편곡
작사 쿠리야마 유리(栗山夕璃)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디렉터 진보 미키(神保美貴)
}}}}}}}}} ||

5.2. ED

ED
承認欲求
인정 욕구
TV ver.[38]
Full ver.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노래 96猫
작사 시타라 테츠야(設楽哲也)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1~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콘티 우에무라 유타카
연출 후지사와 카이(藤澤 海)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콘티 후지사와 카이(藤澤 海)
연출
일러스트 타니구치 히로미(谷口宏美)
}}}}}}}}} ||

6. 회차 목록

<rowcolor=#20BADF,#20BADF> 회차 제목[39]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ネガティブアングラー
네거티브 앵글러
우에무라 유타카
타니구치 히로미
(谷口宏美)
우에무라 유타카 타니구치 히로미 - 日: 2024.10.03.
韓: 2024.10.04.
제2화 プールで釣りで
수영장에서 낚시로
카와지리 켄타로
(川尻健太郎)
오가타 아이
(緒方歩惟)
미시마 에이코
(三島詠子)
타니구치 히로미 日: 2024.10.10.
韓: 2024.10.11.
제3화 心のこり
미련
야마모토 타카유키
(山本貴之)
스에다 요시후미
(末田宜史)
마츠바라 사토시
(松原 聡)
미우라 케이
(三浦 慧)
야마모토 타카유키 미나이 나오코
(南井尚子)
미요시 카즈야
(三好和也)
오가타 아이
미시마 에이코
日: 2024.10.17.
韓: 2024.10.18.
제4화 釣りって難しい?
낚시는 어려워?
마츠바라 사토시 미나이 나오코
미요시 카즈야
日: 2024.10.24.
韓: 2024.10.25.
제5화 散財アングラー
흥청망청 앵글러
무로이 후미에
(室井ふみえ)
히나타 마사키
(日向正樹)
나가타 다이키
(永田大樹)
日: 2024.10.31.
韓: 2024.11.01.
제6화 TAI LOVER[40] 미우라 케이 아즈마 료타
(東 亮太)
나카야마 미츠미
(中山見都美)
日: 2024.11.07.
韓: 2024.11.08.
제7화 この人何者?
이 사람 정체가 뭐야?
시바타 타쿠미
(柴田 匠)
후쿠시마 토시노리
(福島利規)
이와타 카즈야
(いわたかずや)
타나카 유즈루
(田中 譲)
타케우치 아키라
(武内 啓)
아가타 다이스케
(阿形大輔)
타카하시 코헤이
(高橋こう平)
아라카와 나츠
(荒川奈津)
니시무라 치하루
(西村千春)
Triple A
Revival
RadPlus
日: 2024.11.14.
韓: 2024.11.15.
제8화 親子の関係、子供の成長
부모 자식 관계, 아이의 성장
마츠바라 사토시 미나이 나오코
미시마 에이코
오가타 아이
미요시 카즈야
日: 2024.11.21.
韓: 2024.11.22.
제9화 鍋パ
전골 파티
아오키 히로야스 미우라 케이 이관우
김경호
김종범
이경순
日: 2024.11.28.
韓: 2024.11.29.
제10화 常宏と貴明
츠네히로와 타카아키
카와지리 켄타로
쿠리타 신이치
카와지리 켄타로 쿠리타 신이치 日: 2024.12.05.
韓: 2024.12.06.
제11화 言わなきゃいけない
말해야 해
시바타 타쿠미 미나이 나오코
미요시 카즈야
오가타 아이
미시마 에이코
쿠리타 신이치
아즈마 료타
리앙 보야
(梁博雅)
日: 2024.12.12.
韓: 2024.12.13.
제12화 ネガポジアングラー
네거포지 앵글러
시바타 타쿠미
후지이 토시로
우에무라 유타카
스에다 요시후미
야마모토 타카유키
우메모토 슌페이
(梅本駿平)
미나이 나오코
오가타 아이
미시마 에이코
쿠리타 신이치
아즈마 료타
리앙 보야
미요시 카즈야
日: 2024.12.19.
韓: 2024.12.20.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6EFF7,#F6EFF7><colcolor=#20BADF,#20BAD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8. 평가

느린 템포의 연출이지만 질리지 않게 느긋한 분위기를 잘 잡았다. 스토리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답게 각 캐릭터들이 주연이 되는 에피소드들을 구성하며 각 캐릭터성을 살렸고, 전체적으로 츠네히로와 타카하키의 서사도 충분한 시점에서 마무리 지으면서 무난하게 완성했다.

테마인 낚시는 항상 이야기의 중심점을 구성했지만, 낚시를 모르던 말던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낚시라는 행위 자체보다는 낚시를 테마로 하면서 낚시 같은 분위기로 애니메이션을 구성하려한 점을 옅볼 수 있다. 실제로 정적인 풍경을 묘사한 영상미에서 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출난 점은 없지만 전개가 산으로 가기 쉬운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면서도 오히려 큰 굴곡 없이 조용히 잘 마무리를 한 작품이 되었다.
[1] 새우를 닮은 작은 갑각류[2] 빚의 원인은 FX마진. 대학 1지망에 떨어지고 2지망에 다니게 되자 현실에서 눈을 돌리듯 FX마진에 빠졌고, 크게 잃은 돈을 메꾸겠다고 불법 대출에까지 손 댔지만 그것마저도 전부 다 잃었다.[3] 병명은 언급이 되지 않는다. 10화에서 츠네히로의 검색 기록을 우연히 보게 된 타카아키는 그게 위험한 병인 걸 바로 알아보긴 했으나, 그 검색 기록이 뭔지 시청자가 보는 화면에 나오지 않는다.[4] 1화에서 횡단면 흉부 CT를 강조하는 것으로 보아선 폐암일 가능성이 큰 듯.[5] 맨션이 철거될 예정이었으나, 츠네히로는 철거 예정을 알리러 집에 찾아온 사람을 일수꾼으로 착각하고 집에 없는 척하느라 듣지 못 했다. 거의 히키코모리처럼 지내서 밖에 붙어있던 철거 공지도 읽지도 못 했다. 결국 밤 새서 에브리마트의 사람들이랑 낚시하고 집에 돌아갔더니 집이 없어져 있었으며, 가구만 구석에 덩그러니 따로 쌓여 있었다. 빚쟁이인 만큼 집세도 밀릴 대로 밀려 있어서 퇴거 비용을 받아낼 가능성도 절망적이다.[6] 츠네히로는 2지망 대학에 왔다는 사실에 절망하여 대학 생활을 열심히 보낼 마음이 없어 친구를 만들지 않으려고 했으나, 주위의 인싸들은 이런 츠네히로에게도 말을 걸며 같이 밥을 먹는 등 친구가 되었다. 츠네히로가 FX마진으로 크게 돈을 잃자 진심으로 걱정까지 했으며, 츠네히로가 오랫동안 대학에 나오지 않았어도 우연히 길에서 마주치자 바로 알아보고 걱정했다.[7] 거기에 그 얼마 안 되는 시간 동안 츠네히로는 비호감 행위를 반복했기 때문에 도저히 호감도 신뢰도 쌓일 수 없었다.[8] 1화에서는 파칭코 가게에서 츠네히로를 붙잡았는데 옆의 파칭코 기계가 대박 터졌다고 한눈 팔다가 놓쳤으며, 3화에서는 길에서 우연히 츠네히로를 발견했으면 바로 붙잡으면 될 걸 굳이 츠네히로 앞에 나타나 '돈 받으러 왔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오는 바람에 당연히 츠네히로가 먼저 도망쳤고 놓쳤다.[9] 이것도 츠네히로가 밝힌 게 아니라 츠네히로의 대학 친구들이 알려준 거다.[10] 알바가 끝나고 갈 예정이었는데 그 때 하필 하나에게 낚시 권유를 받게 된다. 타카아키 외엔 츠네히로의 병에 관해서는 아무도 모르기에 츠네히로는 그냥 일정이 있다고만 했는데, 주위 사람들로부터 여친과 관련된 일정이라고 오해를 받고, 아이스에게는 '그 촌스러운 패션으로 데이트하러 가는 거야?'란 말까지 듣는다.[11] 하나가 1화에서 타카아키가 제일 츠네히로를 구하려고 애썼다고 하자 츠네히로는 그 기억을 떠올리는데, 이 때 하나의 '구해줬으면 고맙다는 말부터 해야지'란 말이 떠오르자 자신이 아직 타카아키에게 단 한 번도 감사의 말을 한 적이 없다는 걸 인지했다.[12] 부모는 이혼 중이라고만 언급되고 마치다가 그 이상을 언급하기를 피하면서 자세한 사정은 나오지 않았다.[13] 낚시터 근처의 편의점이라서 낚시 도구 코너의 존재는 손님들을 부르기는 하나, 미끼의 생김새가 징그러워 이 편의점에 오는 걸 기피하는 손님도 있고, 편의점 다른 물품에 냄새가 베여 손님 불만도 나오는 등 부작용도 만만찮게 심한 것으로 묘사된다. 무엇보다 알바생의 경우에는 낚시를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낚시 용품 사러 온 손님 대응을 할 수 없고, 이 때문에 츠네히로가 오기 전까지 점장은 일손 구하는 데에 애를 먹고 있었다. 츠네히로도 일할 곳이 마땅치 않아서 성실하게 일은 하지만, 낚시 손님 대응에는 골치 아파하고 있다.[14] 손님이 1727엔의 물건을 2000엔으로 계산하려다가 잔돈 처리하려고 232엔을 추가로 냈다. 2232 - 1727 = 505이니 505엔을 거슬러 주면 되지만, 하나의 머리는 펑크가 나서 재부팅 모드에 들어가 버렸다.[15] 손님이 '이 로드가 J클로의 178에 대응하냐'라고 물으니 '이 로드는 3온스이니까 약 85그램이고, J클로의 178은 62그램이니 어림잡아 대응할 거다'라고 계산기 없이 대답했다. 타카아키가 낚시꾼이라고 해도 무게의 정확한 수치를 외우고 다니지 않고 손대중으로 무게를 어림잡아다 쓴다고 했고, 설령 수치를 알고 싶다고 해도 요즘엔 계산 어플이 있어서 그걸 쓴다고 했는데, 하나는 계산 어플조차 쓰지 않았다. 다만 워낙 궤멸적인 산수 실력 때문에 암산을 한 게 아니라 그냥 전부 통째로 외우고 있는 거 아니냐는 해석이 있다.[16] 츠네히로는 본인이 쓰기 위해서 발주를 하는 거냐며 어이없어 한다.[17] 날씨가 험한 날에는 물고기가 많이 잡히기 때문. 하지만 태풍이 부는 수준이라서 다른 사람들은 물고기가 많이 잡히는 걸 알고도 '아무리 낚시가 좋아도 목숨까지 거는 건 아니지'라면서 나갈 생각도 하지 않았다.[18] 그 전의 대화가 병맛인데, 하나 나름대로 츠네히로를 위로하며 타카아키에게 사과하고 싶으면 사과하는 게 좋지 않겠냐고 조언했다가 츠네히로는 '그 타카아키가 가출해서 없는데 어떻게 사과를 하냐?'란 반박에 '아, 그러네?'란 대답을 한다.[19] 타카아키도 없었지만, 같은 집에서 살아서 이미 이별의 말을 나눴기에 예외.[20] 코즈에는 5화, 아이스는 6화, 후지시로는 7화, 마치다는 8화, 타카아키는 10~12화.[21] 성우의 이름과 발음은 같지만 한자가 하나 다르다. 성우 드립?[22] 점장인 마치다와 편의점에서 사는 하나는 알바를 떠나서 편의점에 있었고, 아이스는 타카아키가 오기 전에 진작 알바 끝났는데 마치다가 '밖에 비 오는데 내 생각엔 곧 그칠 거 같으니 직원실에서 좀 있다가 가'란 말에 퇴근 타이밍을 놓쳐버렸고, 아루아도 편의점에 있었다.[23] 타카아키가 츠네히로를 처음 집에 데려왔을 때 츠네히로는 '어차피 자신은 오래 못 사니 참견하지 않아도 된다'란 말을 무심코 했었고, 10화에서 츠네히로가 마치다가 입원한 병원이 자신이 시한부 판정을 받은 병원인 걸 알아보고 급하게 도망치는 걸 수상하게 봤었으며, 다음날 상한 전갱이를 회로 먹다가 배탈이 난 츠네히로가 핸드폰으로 시한부 병명을 검색하는 걸 우연히 봤고, 이를 아이스에게 말했더니 아이스가 츠네히로는 참 호들갑이 심한 사람 같다며 6화에서 츠네히로가 '앞으로 2년밖에 살 수 없다고 한다면' 같은 이야기를 했다는 말을 했다.[24] 미끼용 벌레는 그냥 쓰는 게 아니라 손으로 직접 절반으로 찢어서 사용한다.[25] 코즈에는 츠네히로의 지갑 사정도, 타카아키와의 계약도 몰랐다. 월급날에 막 편의점에서 돈 받았으니 참지 말고 지르란 의미로 등을 떠민 것.[26] 마치다가 아들 나이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게 아니다. 아들은 초3이었기 때문에 마치다의 상식으로는 벌써 중학교 수험생일 거라고는 생각할 수 없었기 때문. 아들이 요즘은 지금 시기부터 수험 준비한다고 하자 마치다는 '요즘 아이들은 나 때와 다르구나'라고 감탄하면서도 얼마 없는 공감대마저도 부정당해 대화거리를 잃어서 씁쓸해한다.[27] 마치다의 대답에 아들의 표정이 안 좋아진다. 아들은 부모의 재혼을 바라고 있기 때문에 마치다가 지금 이혼하여 혼자 사는 생활에 쓸쓸하지 않다고 대답하는 게 좋을 리 없다.[28] 거기에 15cm 정도로 허들을 내리려고 했다.[29] 감성돔은 바다 물고기이지만, 해당 강은 기수역으로 강과 바다가 섞인 곳이기 때문에 감성돔이 살고 있다.[30] 상술했듯 아들은 감성돔 정보를 미리 핸드폰에 검색해서 알아봤을 정도로 사전 조사도 해놓았다. 따라서 기수역의 강에서는 50cm나 되는 감성돔이 낚이는 건 기적과도 같은 일이라는 것도 알았을 것이다. 즉, '기적과도 같은 일을 해내면 아빠도 내 부탁을 들어주겠지'라고 생각한 게 아니라 '기적과도 같은 일이라 일어날 리 없으니 내가 질 게 뻔하니 하자'라고 생각한 것이다.[31] 다만 '후지시로 씨라면 그것도 있을 듯'이라면서 온갖 소문이 양산되는데, 헬기 조종도 가능하다거나, 챔피언 벨트도 있다거나 낚시랑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까지 있다.[32] 7화에서 계속 츠네히로의 낚시에 웬 스가와라 마사시의 내레이션이 달리는 기묘한 연출이 나왔는데, 복선이었다.[33] 츠네히로가 후지시로와 대화하다가 마지막 말은 후지시로가 있는 방향에서 나지 않아 츠네히로가 옆을 봤는데, TV에서 나오는 Fish Dreamer의 내레이션 대사였다.[34] 6화에서는 알베도타냐 코스프레를 한 모습이 나왔다.[35] 아이스의 체형 변화가 더욱 눈에 띄는 요소 중 하나로 남자 주인공 츠네히로의 신장이 있다. 6화에서 처음에 츠네히로와 짜리몽땅 아이스가 나란히 서 있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는 츠네히로의 신장이 더 크다. 그리고 아이스의 모델 모드가 처음 등장했을 때 역시 츠네히로와 나란히 서 있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는 반대로 아이스 쪽의 신장이 더 크게 묘사된다.[36] 9화에서는 에브리마트 알바가 끝나면 모델 일이 있어서 정상 체형이었지만, 전화로 태풍 때문에 모델 스케줄이 취소됐다는 연락이 오자 짜리몽땅 버전으로 줄어든다.[37] 작중에서는 아이스가 태국 출신인 것으로 말장난을 친다. 아이스는 츠네히로에게 이따가 에브리 마트 사람들이랑 타이에 갈 건데 같이 가냐고 묻고, 츠네히로는 아이스가 태국 출신인 것 때문에 타이를 태국으로 이해하고 당연히 무리라고 말했으나, 실은 타이라바를 말하는 거였다. 그 외에도 아이스가 '타이에 가고 싶다'라고 말하는데, 일본어로 '싶다'의 발음은 '타이'라서 이 역시 말장난. '싶다' 부분의 타이를 굳이 강조해서 말하는 걸 보면 노리고 한 말장난이 맞다.[38] 4화부터 나오는 정식 ED 영상이다.[3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0] 그냥 직역하면 태국 애인으로, 태국 출신이자 6화 메인 인물인 아이스를 의미하는 제목이지만, '타이 러버'는 일본 발음으로 하면 '타이바라'와 유사하며, 6화의 메인 낚시로 나온 타이바라 낚시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말장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