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22:26:30

남해F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권 파일:관악FM.png (서울 관악) · 파일:마포FM.png (서울 마포)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서울 서대문) · 파일:성남FM.png (경기 성남) · 단원FM (경기 안산 단원) · 수원공동체라디오 SoneFM (경기 수원)
강원도 태백FM (강원 태백) · 영월FM (강원 영월)
충청도 파일:금강FM.gif (세종·충남 공주) · 옥천FM (충북 옥천) · 파일:세종FM CI.png (세종) · 한밭FM (대전 서)
전라도 파일:광주FM.png (광주 북) · GBS고려방송 (광주 광산) · 전주FM (전북 전주)
경상도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대구 달서) · 파일:스크린샷 2024-12-19 174633.png (대구 동) · 파일:영주FM.png (경북 영주) · 성주FM (경북 성주) · 파일:남해FM.png (경남 남해) · 상주FM (경북 상주) · 파일:연제FM 로고.png (부산 연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남해FM.png사단법인 남해FM공동체라디오방송
Namhae Broadcasting Network
}}}
설립 <colbgcolor=#FFF,#1F2023>2021년 4월 28일
개국 라디오 2022년 12월 16일
본사 소재지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화전로96번길 2 (북변리)
채널 라디오 남해FM
대표 이태인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남해FM)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남해FM)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 파일:남해FM.png남해FM
Namhae Broadcasting Network
남해소출력공동체라디오FM방송국
}}}
개국 <colbgcolor=#FFF,#1F2023>2022년 12월 16일
호출부호 HLMA-LFM-????
주파수 91.9㎒
언어 한국어
가청취권역 경상남도 남해군 일원
방송책임 서재심 (방송본부장)
소유 사단법인 남해FM공동체라디오방송

1. 개요2. 특징3. 송신시설4. 방송개시멘트와 방송종료멘트

[clearfix]

1. 개요

오늘도 특별한 하루 들려오는 음악 소리 남해 대표 방송, FM 91.9㎒ 남해FM~
남해FM ID

경상남도 남해군 일원을 가청권으로 하는 소출력 공동체 라디오 방송국으로 2022년 12월 16일에 개국했다.

2. 특징

Google Play Store에서 '남해FM' 어플을 다운 받을 수 있다.

방송 시간은 05시부터 00시까지 하루 19시간 방송된다. 방송개시멘트는 04시 52분, 방송종료멘트는 23시 55분에 방송된다. 개국 당시에는 08시에서 22시까지 하루 14시간 방송되어 방송시간이 가장 짧았으나 2024년 5월부터 방송시간이 연장되어 지금에 이른다.

100% 군민이 직접 기획하고 대본작업, 녹음과 편집까지 하고 있다.[1] 링크

TBN 한국교통방송의 교통 캠페인을 수시로 내보낸다. TBN 경남교통방송과 제휴나 협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영상 끝부분)

3. 송신시설

KBS순천방송국의 망운산 송신소를 임대해서 사용하고 있다. 허가 초기에는 남해읍 북변마을 남해반점 건물 옥상에서 출력 10W로 송출할 계획이었으나 수신 범위 확장을 위해 망운산으로 변경하였으며 출력도 개국 과정에서 3W로 줄었다. 이는 공동체 라디오가 기간급 송신소를 사용하는 최초의 사례이다.[2] 이 덕분에 출력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송신소에서 50km가 넘는 거리의 통영시에서도 수신할 수 있을 정도로 수신 범위가 넓다. 주파수도 허가 초기에는 107.9MHz였으나 사천공항 관제 주파수[3]와의 혼신이 발생하여 현재의 주파수로 변경됐다.
송신소 주파수 출력 송신소 주소 가청권역
망운산 FM 91.9MHz 3W 경남 남해군 서면 남서대로2240번길 412-18
(연죽리 1404, KBS순천)
남해 일원
하동[4]·여수[5]·광양[6] 일부

4. 방송개시멘트와 방송종료멘트

방송개시멘트와 방송종료멘트는 이태인 대표가 직접 녹음하였다. 편성책임자 고지는 종료멘트에만 언급된다.
(애국가 전체, 저작자 미상)

지금 여러분들이 듣고 계신 방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보내드리고 있는 FM 91.9MHz,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입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우리가 사는 보물섬 남해를 조금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어 나가는 데 관심이 많습니다. 군민들의 소통 강화, 문화적 향유권 확대와 재난방송을 통해 안전한 지역공동체 문화형성과 사회적 약자를 지원, 다음 세대인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군민들 스스로 지역공동체와 주민자치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군민의 입장에서 방송을 만들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 곳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해 드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우리 사회의 다양성을 만들어가기 위해 사명을 다하고 있습니다. 특히, 귀촌주민과 토착민과의 소통 확대에 큰 역할을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우리 공동체의 약자인 사회적 소수자들이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만들어가는 열린 방송입니다. 방송프로그램 제작부터 운영까지 주민들이 직접 꾸려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남해FM은 경상남도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공동체라디오방송으로, 남해군민들이 설립한 방송이기도 합니다.

남해인들이 만드는 우리 남해의 방송,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남해FM 회원들의 회비와 후원자들의 기부 후원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남해FM은 FM 91.9MHz, 출력 3W로 매일 아침 5시부터 자정까지 19시간 방송하고 있습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의 진정한 주인은 남해군민입니다. 회원분들과 후원자분들께 진심으로 감사함을 표합니다.

우리가 만드는 우리 남해의 방송,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은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규정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청취자 여러분, 오늘도 멋진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여기는 FM 91.9MHz,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입니다. HLMA-FM. FM 91.9MHz,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이 5시를 알려드립니다.

(05시 시보 차임벨)[7]

우리가 만드는 우리 남해의 방송, FM 91.9MHz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입니다. HLMA-FM.

(로고송) 오늘도 특별한 하루 들려오는 음악소리 남해 대표방송, FM 91.9MHz 남해FM
남해FM 방송개시멘트, 매일 04시 52분 송출
(BGM - 이성우, 강연욱 사진관)
지금까지 여러분들께서는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보내드리는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을 들으셨습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 호출부호는 HLMA, 주파수는 표준FM 91.9MHz, 출력은 3W입니다.

남해FM 공동체라디오방송의 편성책임자는 서재심입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정규방송을 모두 마칩니다. 다음 방송시간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애국가 전체, 저작자 미상)
남해FM 방송종료멘트, 매일 23시 55분 송출


[1] 고령자나 기술적으로 필요한 군민이 있을 경우 라디오 방송사에서 도와준다고 한다.[2] 다만 남해FM보다 17년 앞서 개국한 금강FM도 송신소를 TBN 대전교통방송의 공주 중계소와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라디오가 기간급 방송사와 송중계소를 공용하는 최초의 사례는 아니다.[3] FM방송 대역(88~108MHz) 바로 옆에는 항공 항법 장비인 VOR이 사용하는 대역(108~117.95MHz)이 있는데 107.9MHz는 이 대역과 인접하기 때문이다.[4] 금남면, 금성면[5] 동지역, 돌산읍 우두리 관내[6] 광양읍, 동지역, 진월면[7] MBC라디오의 그 차임벨과 같은 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