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22:55:29

남부작은개미핥기

남부작은개미핥기
Southern tamandu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1px-Southern_Tamandua.jpg
학명 Tamandua tetradactyla
(Linnaeus, 1758)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유모목(Pilosa)
아목 개미핥기아목(Vermilingua)
큰개미핥기과(Myrmecophagidae)
작은개미핥기속(Tamandua)
남부작은개미핥기(T. tetradactyl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3. 기타

[clearfix]

1. 개요

개미핥기의 일종. 칠레를 제외한 남아메리카의 모든 국가에서 볼 수 있다.[1]

2. 특징

몸길이 34~88cm, 체중 1.5~8.4kg으로 북부작은개미핥기와 크기도 비슷하고 털 색깔도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지만 이쪽이 귀가 약간 더 길고 서식지가 다르다. 식성은 북부작은개미핥기와 동일하게 개미와 흰개미가 주식에 과일을 별식으로 먹는다.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방법도 뒷다리와 꼬리로 몸을 지탱해 몸을 세운 뒤 앞발의 발톱으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북부작은개미핥기와 같다. 천적은 재규어, 남아메리카퓨마, 오셀롯, 부채머리수리, 그린아나콘다 다.

3. 기타

북부작은개미핥기와 마찬가지로 애완용으로 길러지며 사육 방법도 비슷하다. 아마존 원주민들은 꼬리의 힘줄로 밧줄을 만들거나 개미, 흰개미를 방역할 때 이 동물을 사용한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정확히 말하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에서는 북부의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고,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에서는 동부에서만 살고, 베네수엘라에서는 서부 일부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산다. 브라질, 파라과이,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는 국토 전체가 서식 범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