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da251d><colcolor=#ffd700> 고대 | 반랑 (문랑) | ||
어우락 (구낙) | ||||
남비엣 (남월) 찌에우 왕조 | ||||
한나라 - 한 구군 | 참파 | |||
남비엣 (남월) 쯩 자매의 난 | ||||
한나라 - 교주 | ||||
자오찌 (교지) 사씨 정권 | ||||
중국 남조 - 교주 | ||||
반쑤언(만춘) 전 리 왕조 | ||||
중국 남조 - 교주 | ||||
중근세 | 안남 응오 왕조 | |||
십이 사군 시대 | ||||
다이꼬비엣 (대구월) 딘 왕조 | 전 레 왕조 | ||||
다이비엣 (대월) 리 왕조 | 쩐 왕조 | ||||
다이응우 (대우) 호 왕조 | ||||
명나라 - 교지 | 다이비엣 (대월) 후 쩐 왕조 | |||
다이비엣 (대월) 후 레 왕조 | ||||
막 왕조 | 후 레 왕조 | |||
후 레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 다이남 (대남) 찐씨 정권 | 꽝남 (광남) 응우옌씨 정권 | }}} | |
떠이선 왕조{{{#!wiki style="margin:-5px -5px -12px" | 귀인 정권 | 부춘 정권 | }}} | |
근대 | 다이남 (대남) 응우옌 왕조 | |||
안남 응우옌 왕조 | 프랑스 - 코친차이나 | |||
프랑스 - 인도차이나 연방 | ||||
일본 제국 - 베트남 제국 | ||||
현대 | 베트남 민주 공화국 | 프랑스 - 코친차이나 자치공화국 | ||
베트남 임시 중앙 정부 | ||||
베트남국 | ||||
베트남 공화국 | ||||
남베트남 공화국 |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남베트남 공화국 [1] Cộng Hòa Miền Nam Việt Nam''' | ||
| ||
| | |
국기 | 국장 | |
[ruby(Độc, ruby=獨)] [ruby(lập, ruby=立)], [ruby(Dân, ruby=民)] [ruby(chủ, ruby=主)], [ruby(Hòa, ruby=和)] [ruby(bình, ruby=平)], [ruby(Trung, ruby=中)] [ruby(lập, ruby=立)] 독립, 민주, 화평, 중립 | ||
상징 | ||
<colcolor=#ffff00,#da251d> 국가 | 남부해방가 (Giải phóng miền Nam) | |
지도 | ||
| ||
1969년 ~ 1976년 | ||
성립 이전 | 통일 이후 | |
베트남 공화국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 ||
역사 | ||
1969년 7월 8일 임시혁명정부 수립 1975년 4월 30일 베트남 공화국의 멸망 1976년 7월 2일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의 통일 | ||
지리 | ||
위치 | 남베트남 | |
수도 | 떠이닌(1969 ~ 1975) 사이공(1975 ~ 1976) | |
면적 | 173,809km² | |
접경국 | [[베트남 민주 공화국| [[민주 캄푸치아| [[라오스| | |
인문 환경 | ||
인구 | 19,370,000명1973년 | |
언어 | 베트남어 | |
정치 | ||
정치 | 일당제, 사회주의, 공화제 | |
고문이사회 주석 | 응우옌 흐우 토 | |
임시혁명정부 주석 | 후잉 떤 팟 | |
경제 | ||
통화 | 남베트남 동 |
1. 개요
베트남 전쟁 중 베트콩이 세운 임시정부이자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괴뢰국.2. 역사
2.1.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 (1969~1975)
1969년 7월 8일에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이 베트남 공화국 영내에서 '남베트남 지역의 합법정부'임을 내세우며 성립되었다. 정부의 명칭은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혁명정부"로 사실상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 월맹)의 괴뢰국이었다. 여당은 1962년 창당된 베트남 인민혁명당.말 그대로 괴뢰국이어서 친북베트남 인사나 북베트남 출신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미국을 혐오하는 국가의 가사만 봐도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반란 세력의 연합이 눈에 보인다.
수도는 베트콩이 장악한 크메르 접경지대인 빈푸억성 록닌[2]에 있었다. 남베트남 지역의 합법정부임을 내세워 소련·중국·북한 등 공산국가뿐만 아니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및 알제리 등 공산측에 경도된 비동맹국가와도 수교했다. 대척점인 대한민국에서는 당연히 합법정부인 베트남 공화국에 맞선 불법 공산 반란군 취급.
2.2. 남베트남 공화국 (1975~1976)
1975년 4월 30일 사이공이 함락되어 베트남 공화국이 패망하자 남베트남 지역을 통치하는 정부가 되었다. 아무리 봐도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 월맹)의 점령지인데 당장 통일하기에는 반발이 거셀 것이 뻔하니 베트남 공산당이 일단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을 시켜 정부를 따로 만들어 관리한 거나 다름없다.적화 후 유엔에 가입신청을 냈으나, 소련과 중국이 8월 6일 대한민국의 유엔 가입 거부권을 행사한 것에 대해 8월 11일 북베트남, 9월 30일 공산 남베트남의 유엔 가입에 대한 미국의 보복성 거부권 행사로 무산되었다. 대신 유엔 참관국 지위를 획득하였다. 또한 호주 등 일부 서방국가와도 수교하였다.
1976년 7월 2일에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에 완전히 흡수되어 사라졌다. 베트남 통일 후에는 북베트남의 국호를 그대로 쓰지 않고 국호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망하기 전에 외교사적으로 한 건 했다. 1975년 8월 말 페루 리마에서 열린 비동맹운동 외교장관 회담에서 당시 남베트남 공화국 외무장관 응우옌티빈이(나중에 베트남 국가부주석을 지낸다.) 눈물로 대한민국의 가입을 저지해 달라고 호소하는 통에 꽤 지지를 받던 한국 가입 여론이 꺾였고 결국 대한민국은 비동맹운동 가입에 실패한다. 빈 장관 및 남베트남 입장에선 한국은 미국 편에 서서 베트콩과 북베트남 군을 저지하는 활동(월남 파병)을 한 적대국이었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반응이었다. 어차피 중국 등 비 소련 공산국가 입김이 셌던 비동맹운동 성격상 대한민국이 가입했더라도 유의미한 활동은 어려웠을 것이다.
3. 국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부해방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부해방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