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21:55:51

나무묘법연화경

남묘호렌게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남묘호렝게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묘호렝게쿄라는 경문을 사용하는 종교에 대한 내용은 sgi 창가학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남묘호렝게쿄3. 그 밖의 용례4. 대중 매체

1. 개요

나무묘법연화경
南無妙法蓮華經

불교의 경문 중 하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에 귀의한다(南無)는 뜻이다.

2. 남묘호렝게쿄

sgi 창가학회를 비롯하여 니찌렝을 따르는 일련종, 일련정종(니찌렝슈) 계열 종파에서는 나무묘법연화경을 일본식으로 읽은, 보다 정확한 일본어 발음인 '남묘호렝게꾜'를 소리내어 외우는 방식으로 수행을 한다.[1]

하지만 이렇게 일본어로만 외우게 하는 것은 교리적으로 잘못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석가모니부처님이 열반에 들면서 제자들에게 "나의 설법은 모두 그 나라 언어에 맞게 쓰라."라고 했는데[2] sgi창가학회와 같은 일련종 계열은 어느 나라를 가도 '남묘호렝게쿄'라고 외우게 하므로 이는 석가모니부처님의 유언을 어기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국내의 법화경 신도들은 남묘호렝게꾜라고 독송하는 이들의 단체를 이단이라고 주장한다.

위의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는

3. 그 밖의 용례

상술한 일련종 외에도, 천태종처럼 『법화경』을 소의경전[3]으로 삼는 종파의 의례에서 이 문구를 염불하듯 외우는 것을 들어볼 수 있다. 한국의 불교 종파 중 하나인 대한불교관음종의 주요 수행법도 대비주(大悲呪)라고 하여 '나모 삳달마 푼다리카 수드라(南謨 薩達摩 芬多利伽 修陀羅)'를 주문처럼 외우는 것이다. 이쪽은 나무묘법연화경의 산스크리트 원어[4] 발음을 살려서 읽은 케이스로, 의미는 같다.

4. 대중 매체

일본 사극이나 일본이 나오는[5] 한국 사극에서 이 문구가 가끔 등장한다.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서 승려 캐릭터의 대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1] 유튜브에서 이를 외우는 음성을 들어볼 수 있다.[2] 재미있게도, 교리적으로 불교와는 거의 대척점(인격신의 존재를 상정하지 않는 종교 - 가장 엄격하게 하나의 초월자만을 추구하는 일신교)에 있다고 평가받는 이슬람교와 이 점에서도 정 반대이다. 이슬람교에서는 쿠란은 오직 아랍어로 쓰고 읽혀야 한다고 본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번역을 허용하긴 하나 원전 아랍어 쿠란과 동등한 자격을 부여하지 않고 해설서나 주석으로만 친다. 그래서 한국어로 쿠란을 번역한 책은 한국어 쿠란이라고 하지 않고 '성 쿠란-의미의 한국어 번역' 같은 식으로 반드시 해석본에 불과함을 명시한다.[3] 所依經典. 불교의 각 종파에서 최고로 중요하게 여기고 의지하는 경전.[4] namo saddharma pundarika sutra[5] 주로 임진왜란이나 일제강점기 배경의 사극들.[6] 그의 시신 역시 구마모토의 일련종 사찰인 혼묘지(本妙寺)에 안장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