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8 21:14:59

남녘 병에서 넘어옴
남녘, 셋째 천간 병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5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ヘイ
일본어 훈독
ひのえ
-
표준 중국어
bǐ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丙-order.gif
丙의 획순

1. 개요
1.1. 납음 오행
2. 상세3. 용례

[clearfix]

1. 개요

간지 (干支)
십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십이지














丙은 '남녘 병'이라는 한자로, '셋째 천간'을 뜻한다. 훈이 '남녘'인 것은 셋째 천간에 대응하는 방위가 남쪽이기 때문이지, 丙 자체에 '남녘'이라는 뜻이 있는 것은 아니다.

1.1. 납음 오행

丙이 들어 있는 오행
깊은 골짜기의 물, 약수
화로속의 불, 추위를 견딜 정도
모래에 섞여있는 흙, 모래
밤하늘에 은하수, 물이 아닌 별빛, 장마 비
산 아래의 불, 저녁의 지는 해, 황혼, 아지랑이
지붕의 흙, 댐, 화 기운이 가득한 집의 흙

2. 상세

유니코드는 U+4E1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OB(一人月)로 입력한다.

희생물을 얹는 큰 제사상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당나라 시기에는 고조의 아버지의 휘와 겹치는 바람에 경(景)으로 고쳐 써야 했다. 신라가 이 영향을 받게 되었고, 이 사실은 역사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을보다 낮고 정보다 높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