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141414 20%, #141414 80%, #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52525,#252525><colcolor=#ffffff,#ffffff> 사부 | <colbgcolor=#fff,#1f2023><colcolor=#181818,#e5e5e5>누르시아의 베네딕토 | |
정보 일반 | 베네딕도회 · 아빠스 | ||
베네딕도회 총연합 | <colbgcolor=#3b3b3b,#3b3b3b><colcolor=#ffffff,#ffffff> 총연합 | 베네딕도회 총연합 · 성 안셀모 수도원 ·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교 | |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올리베따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수비아코-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바이에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발롬브로사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보이론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브라질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성모영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솔렘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아메리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스위스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슬라브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실베스트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아메리카 카시노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오스트리아 무염시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잉글랜드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코노-수르 연합회 · 성 베네딕도회 헝가리 연합회 | ||
해외 주요 수도원 | 몬테카시노 수도원 · 성 오틸리엔 대수도원 · 몬테 올리베토 마조레 대수도원 · 뮌스터슈바르작 수도원 | ||
국내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 성 베네딕도회 요셉수도원 | ||
독립 수사회 |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 ||
수녀회 | 연합기구 | 국제 베네딕도회 공동체 | |
개별 수녀회 |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 ||
비가톨릭 | 성공회 | 성공회 베네딕트회 공동체 | |
정교회 | 성 라브렌티오스 베네딕토스회 · 해외 러시아 정교회 베네딕트 수도원 | ||
베네딕도회 수도자 |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 Congregatio Camaldul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 | |||||
| |||||
<colbgcolor=#026cb1,#026cb1><colcolor=#ffd200,#ffd200> 표어 | <colbgcolor=#026cb1,#026cb1><colcolor=#ffd200,#ffd200> 라틴어 | {{{#026cb1,#fff 'Ego vobis, vos mihi'}}} | |||
영어 | I for you, you for me | ||||
한국어 | 나는 여러분을 위해, 여러분은 나를 위해 | ||||
설립 시기 | 1012년 7월 10일[1] ([age(1012-07-10)]주년) | ||||
설립자 | 까말돌리의 성 로무알도 | ||||
총원장 | 초대 | 암브로지오 비앙키 O.S.B.Cam. | |||
현재 | 마태오 페라리 O.S.B.Cam. | ||||
규모 | 103명 (사제 50명)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베네딕도회, 베네딕도회 총연합 | ||||
모원 | 이탈리아 아레초 까말돌리 은수처 (1 SP 69 dell'Eremo, 6, 52014 Poppi AR, Italy) | ||||
<nopad> | |||||
언어별 명칭 | |||||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6cb1,#026cb1> 라틴어 | <colbgcolor=#fff,#1f2023>Congregatio Camaldul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 | |||
이탈리아어 | Camaldolese dell’Ordine San Benedetto | ||||
프랑스어 | Ordre camaldule | ||||
스페인어 | Orden de la Camáldula | ||||
포르투갈어 | Congregação Camuldalense da Ordem de São Bento | ||||
네덜란드어 | Kamaldulenser | ||||
영어 | Camaldolese Congregation of the Order of Saint Benedict | ||||
폴란드어 | Kongregacja Pustelników Kamedułów Góry Koronnej |
링크 | ||||
{{{#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26cb1,#026cb1> 웹사이트 | <colbgcolor=#fff,#1f2023> | ||
}}}}}}}}}}}} |
|
2023년 총회에서의 까말돌리 연합회 수사들 |
1. 개요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는 몬테 코로나의 까말돌리 독수도승회와 함께 11세기 초 성 로무알도의 수도 개혁으로부터의 기원을 공유하는 연합회로, 까말돌리 독수도승회 측과는 달리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속해있는 19개의 연합회 중 하나이다. 까말돌리 연합회는 성 베네딕도 수도규칙에 따라 회수도승적 공동생활을 하되 독수도승적 은수생활을 통합한 독자적 전통을 형성하였으며, 중세 이후 교황청의 인가를 받아 독립된 베네딕도회 수도회로 제도화되었다.2. 역사
2.1. 성 로무알도와 까말돌리 전통의 탄생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Congregatio Camaldulensis)는 10세기 성 로무알도의 수도 개혁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오네스티 가문의 귀족 출신이었던 성 로무알도는 젊은 시절, 부친이 결투에서 친족을 살해하는 장면을 목격한 뒤 깊은 충격을 받고 참회의 뜻으로 라벤나 인근의 산타폴리나레 인 클라세 수도원(Monastero Sant’Apollinare in Classe)에 입회하였다. 이후 그는 베네치아 근교에서 은수자 마리누스(Marinus)의 지도 아래 다양한 수도 전통을 접하며 수련을 거듭하였고, 점차 자신만의 수도 관행을 형성해 나갔다.로무알도는 당대 서방 교회의 수도생활이 느슨해졌다고 보고, 베네딕도회 전통의 공동체 구조에 동방 교회의 은수적 고독성과 금욕성을 결합하려 하였다. 그는 침묵과 기도, 절제된 생활을 유지하는 동시에, 교회와의 연대, 공동 전례, 순명의 가치를 중시하였다.
1012년경 그는 토스카나의 카센티노 지역에 정착하여, 지역 귀족 말돌루스(Maldolus)의 후원을 받아 두 개의 수도 시설을 세웠다. 하나는 은수자들이 각자 독립된 암자에서 생활하는 독수도승(獨修道僧) 전통을 따르는 까말돌리 성 은수처(Sacro Eremo di Camaldoli)였고, 다른 하나는 베네딕도 규칙에 따른 공동생활의 회수도승(會修道僧) 전통을 유지하는 까말돌리 수도원(Monastero di Camaldoli)이었다. 일반적으로 베네딕도회는 회수도승 전통에 기반을 두지만, 로무알도는 서방 교회에 은수적 삶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2.2. 확장, 제도화, 그리고 영적 균형
로무알도는 독자적인 수도 규칙서를 남기지 않았으나, 성 베네딕도의 규칙을 따르며 자신의 영성을 제자들에게 구두 전승과 생활 관습, 규율 문서 등을 통해 전달하였다. 그는 본래 별도의 수도회를 창립하려는 의도보다는, 베네딕도회 안에서 수도 개혁의 모범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까말돌리 공동체는 점차 독자적인 전통과 관습을 지닌 연합체로 발전하게 되었다. 로무알도 성인이 1027년경 사망한 다음에도, 그의 제자들은 이탈리아 전역에 까말돌리 영성을 따르는 공동체를 설립하면서 그 전통을 확산시켰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까말돌리 공동체는 11세기와 12세기를 거치며 베네딕도회 내부의 독자적 분파로 자리잡게 되었고, 교황청으로부터 고유한 정체성과 특권을 인정받았다.까말돌리 공동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제도적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성 베네딕도 규칙의 엄격한 준수, 공동생활과 은수생활의 조화, 침묵과 육체 노동, 성경 묵상, 개별 은수 생활의 강조, 그리고 순결과 단순함을 상징하는 흰 수도복의 사용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전통은 『까말돌리 관습서』(Consuetudines Camaldulenses)로 성문화되었으며, 이 문서는 전례 생활, 단식, 서열, 수도원 안팤의 구분, 수도 생활 규칙 등을 규정하였다.
12세기와 13세기에는 이탈리아 중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여러 수도원과 은수처가 설립되었다. 주요 지역은 토스카나, 움브리아, 마르케 지방이었으며, 파노 근처의 몬테 조베(Monte Giove)는 대표적인 은수 공동체로 성장하였다. 알프스산맥 이북에도 일부 공동체가 세워졌으나, 까말돌리회는 선교적 확장보다는 신중한 발전을 지향하였다. 또한 각 수도원은 까말돌리 정신에 따라 운영되는 동시에, 개별 지역의 필요에 따라 회수도승 중심 또는 독수도승 중심의 형태로 다양하게 정착되었다.
이 시기 까말돌리회가 지속적으로 직면한 과제는 공동생활과 은수생활 사이의 긴장을 조정하는 일이었다. 고독의 정도, 교육과 환대의 역할, 새로운 공동체가 어느 생활양식을 따를 것인지 등에 대한 논의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까말돌리 은수처가 모원으로서 중심성을 유지하며 까말돌리 공동체 전체의 일관성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까말돌리회는 클뤼니 연합회[2], 시토회 등과 같은 다른 베네딕도 개혁 흐름과도 일정한 연대를 유지하였으나, 보다 엄격한 금욕성과 침묵, 은수 중심의 삶을 강조하며 독자성을 지켜갔다. 외부 사목이나 교육 기관 운영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활동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신중한 태도는 수도회의 양적 성장을 저해하였으나 수도회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데는 크게 기여하였다. 14세기에 이르러 까말돌리회는 베네딕도회 내부의 하나의 독립적 분파로 자리잡았으며, 고행과 절제, 학문적 성취로 높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2.3. 르네상스와 인본주의적 쇄신
르네상스는 까말돌리 공동체에 있어 지적·영적 쇄신의 시기로 자리매김하였다. 교회의 부패와 수도 규율의 완화,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부상이라는 도전 속에서 까말돌리 수도자들은 초기 교부 전통에 대한 충실성과 수도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회 내에서 중요한 개혁 세력으로 활동하였다.이 시기를 대표하는 인물로는 암브로지오 트라베르사리(Ambrogio Traversari)가 있다. 피렌체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수도원 소속 수도자였던 그는 그리스어 교부 문헌의 탁월한 라틴어 번역자이자 인문주의 신학자로서, 대 바실리오, 요한 크리소스토모 등 여러 동방 교부의 저작을 번역하였다. 그는 바젤 공의회와 피렌체 공의회에서의 활동을 통해 교회 개혁 논의에 참여하였으며, 까말돌리회가 학문과 신학에 정통한 수도 공동체로 인식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시기 까말돌리 공동체는 교부 사상에 대한 충실성과 인문주의적 지성의 조화를 바탕으로 교회와 수도생활의 쇄신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지적 쇄신과 함께 까말돌리 수도자들은 공동체의 규율과 영성을 정립하기 위한 문헌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 시기에 편찬된 『까말돌리 규범집』(Codex Camaldulensis)은 성 로무알도와 초기 제자들의 서간, 규범, 관습을 집대성한 문헌으로, 수도회의 규칙적·제도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는 회수도승과 독수도승 간의 역할 구분, 베네딕토회 내 까말돌리 공동체의 위치, 그리고 독자적 규율의 정당성 등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흐름 속에서 생성되었다.
또한 이러한 제도화의 흐름은 교황청 차원의 인준으로 이어졌다. 까말돌리 공동체는 1513년 교황 레오 10세의 칙령을 통해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Congregatio Camaldul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로 정식 승인되었으며, 이때부터 공식 명칭과 제도적 구조가 명문화되었다. 이와 더불어 모원인 까말돌리 은수처가 이 시기 대대적인 정비와 확장을 경험하였다. 독수도승들을 위한 개별 암자들이 재정비되었고, 회수도승 수도원의 성당과 응접실이 새롭게 건립되었으며, 약방과 병원도 설립되어 당시 토스카나 지역에서 명성을 얻었다.
2.4. 분열과 억압
17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는 까말돌리 연합회에게 있어 쇠퇴와 위기의 시기로 평가된다. 르네상스기의 영적 활력과 수도 개혁의 전통을 계승하고자 한 노력은 제도적 통합을 향한 중앙집권화로 이어졌으며, 수도회의 총회를 통해 독수도승 공동체와 회수도승 공동체 간의 규율 조화, 전례와 수련의 표준화, 까말돌리 총원장의 권한 강화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오히려 피렌체, 나폴리, 베네치아 등 도시에 위치한 공주수도원과 전통적 은수 공동체 간의 긴장을 증폭시키기도 하였다. 이 시기 일부 수도원은 점차 까말돌리 고유의 색채를 상실하고 다른 베네딕도회 연합회나 교구에 흡수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이 시기 내적 전환의 한 분기점은 16세기 초 귀족 출신 수도자 파올로 주스티니아니(Paolo Giustiniani)가 중심이 되어 창설한 '몬테 코로나 독수도승회'(Hermits of Monte Corona)의 등장이다. 이들은 공동생활을 전면적으로 배제하고 더욱 철저한 은수 규율을 채택하였으며, 1893년 설립된 베네딕도회 총연합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로써 까말돌리 전통은 성 베네딕도회 까말돌리 연합회(Congregatio Camaldul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 CCOSB)와 몬테 코로나 독수도승회라는 두 계통으로 나뉘게 되었다.
한편, 계몽주의의 영향 아래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과 토스카나 대공국은 수도원을 비생산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집단으로 간주하였고, 이어지는 나폴레옹의 종교 억압 정책까지 겹치며 다수 수도원이 해산되고 재산이 몰수되었다. 이탈리아 통일기에는 성직자 추방과 수도재산 국유화가 재개되면서, 까말돌리 연합회 역시 심각한 타격을 입고 대부분의 수도원이 폐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까말돌리회는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다. 토스카나의 까말돌리 은수처와 몬테 조베(Monte Giove) 등 일부 공동체는 살아남아 수도 전통을 간직하고 있었다.
2.5. 20세기의 회복과 현대적 재편
19세기 말의 억압과 해산 이후, 까말돌리 연합회는 20세기를 소수의 수도자만이 남은 상태로 맞이하였다. 그러나 20세기 초, 까말돌리 은수처와 인접한 수도원에서 공동생활과 은수생활이 재개되었고, 암자와 성당, 필사실 등 수도 시설의 복원도 진행되었다. 수도자들은 수도회 고유의 규율과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이어갔으며, 교황청은 이들의 정체성을 승인하였다. 1929년 라테라노 조약 체결 이후, 이탈리아는 수도공동체의 존립을 법적으로 제한하면서도 일정 수준까지는 인정하게 되었다.1935년, 까말돌리 연합회는 교황 레오 13세가 창설한 베네딕도회 총연합(Confederatio Benedictina)에 정식 가입함으로써, 베네딕도회 내에서 고유 명칭과 자율성을 보장받는 독립 수도 연합체로서의 지위를 재확인받았고, 까말돌리 총원장은 고유 명칭을 유지한 채 연합회 내 최고 책임자로 인준되었다. 기존 규범은 베네딕도회 총연합의 요구에 따라 일부 개정되었으나, 회수도와 독수도의 이중 구조는 계속 유지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국제적 확장이 이루어졌다. 1958년, 미국 캘리포니아 빅서(Big Sur) 인근에 '신 까말돌리 은수처(New Camaldoli Hermitage)'가 설립되어 관상기도, 렉시오 디비나, 그리스도교 일치 대화 등을 중심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인도 케랄라 지역에서도 공동체가 창립되어 지역 전통에 따른 전례와 수도생활이 이루어졌으며, 이탈리아 내에서도 까말돌리 본원과 몬테 조베(Monte Giove)를 중심으로 소규모 공동체가 재건되거나 활성화되었다.
까말돌리 연합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수도생활의 원천으로의 회귀와 현대 상황에의 적응을 위한 개정을 추진하였다. 1985년에 새로운 수도회 규범이 승인되었고, 1990년대에는 추가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 공동체들은 전례 개편, 평신도 피정 운영, 환경 보호 실천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침묵과 고독, 교부 전통에 바탕을 둔 신학적 성찰, 타 종교 및 전통과의 대화, 경계 없는 환대 등을 특징으로 하는 까말돌리 영성을 제시하였다.
2.6. 현대의 삶과 영성
오늘날 까말돌리 연합회는 성 로무알도의 수도 전통을 계승하며, 고독과 공동체, 전통과 쇄신을 조화롭게 실천하는 수도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규모는 중세와 근세에 비해 축소되었으나, 연합회는 고유한 영성과 제도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현대 세계 속에서 존재 기반을 확립하고 있다.까말돌리 영성은 하느님과의 내적 일치를 지향하는 고독, 다양성을 존중하는 공동체, 그리고 환대와 대화를 실천하는 복음적 개방성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는 성무일도와 렉시오 디비나, 교부 전통의 계승, 노동과 절제, 손님에 대한 환대를 통해 구체화된다.
현대의 까말돌리 수도원들은 관상기도 중심의 피정 운영, 출판 및 신학 연구, 생태 인식, 그리고 동방교회 및 타종교의 대화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울러 까말돌리 영성은 수도자뿐 아니라 수도 서원을 하지 않은 일반 신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기도와 침묵,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한 평신도 관상 영성 운동을 확산시키고 있다.
까말돌리 연합회는 1천년에 가까운 전통을 바탕으로 고독과 공동체, 기도와 학문을 아우르는 수도생활을 지속하고 있으며, 시대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지역과 문화 속에서 그 사명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3. 한국에서?
현재 대한민국 경북 김천시 증산면 황점리에 '까말돌리회 한국 수도원'이라는 이름으로 까말돌리회 수도원이 들어와 있기는 하지만, 이는 여자 수도자 공동체인 수녀원이다. '성 베네딕도 까말돌리 연합회'라는 이름을 가진 수도연합체나 이 연합회가 속해있는 '베네딕도회 총연합'은 남자 수도회들만의 조직이므로 엄밀히 말해서 한국에는 아직 까말돌리 연합회가 진출하지 않은 상황이다.물론 까말돌리회 한국 수도원은 성 로무알도의 영성과 까말돌리 전통을 따르는 여성 수도 공동체로, 영성적 유산을 공유하며 교황청의 '축성생활회와 사도생활단부'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수녀회이므로 '성 베네딕도 까말돌리 연합회'는 아니지만 광의의 '까말돌리회'인 것은 맞다.
'베네딕도회 총연합'의 범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를 참조.
4. 까말돌리 고대 약방
|
까말돌리 고대 약방 내부 |
1276년 화재로 파괴된 약방은 1331년에 재건되었고, 이때부터 연고, 해독제, 증류약 등 다양한 약제를 직접 제조하는 수도원의 핵심 시설로 자리 잡았다. 16세기 초 파올로 주스티니아니가 제정한 은수생활 규칙은 약방과 병원의 위생 관리, 약제 비축, 외부 의사 고용 등을 명문화하였으며, 약방의 전문성과 제도적 정당성을 강화하였다. 이후 수 세기 동안 까말돌리 약방은 수도자뿐 아니라 외부 병자와 순례자에게도 봉사하며, 약초학과 의학의 전통을 보존하는 중심지로 기능하였다.
19세기 후반 이탈리아의 수도원 해산 정책으로 병원은 폐쇄되고 약방은 일시적 침체를 겪었으나, 이후 순례자 숙소로 전환된 공간 안에서 전통을 계승하며 점차 현대화되었다. 오늘날 약방은 전통 수도 약학의 유산을 바탕으로 천연 화장품, 비누, 식료품, 허브 추출물, 향수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모든 제품은 수도자의 돌봄과 지혜, 영성을 담고 있다. 수도 전통의 연속성을 지키면서도 현대인의 웰빙과 자연 치유에 기여하는 약방으로 발전하고 있다.
까말돌리 고대 약방 홈페이지
까말돌리 화장품 한국 홈페이지
5. 역대 총원장
6. 소속 수도원
6.1. 이탈리아
- 아레초의 성 도나토 힐라리오 대수도원[3](이탈리아)
- 폰테 아벨레나 성십자가 대수도원 준대성전(이탈리아)
- 로마 아벤티노 언덕의 성 안토니오 성당(이탈리아)
- 로마 첼리오 언덕의 성 안드레아 성 대 그레고리오 성당(이탈리아)
- 아콰파가나 가장 거룩하신 구세주 성당(이탈리아)
- 아콰산타테르메 발레다콰의 성 베네딕도 수도원(이탈리아)
- 피렌체 까말돌리의 구세주 수도원[4](이탈리아)
6.2. 아메리카
- 주님 변모 수도원(브라질)
- 새 까말돌리 은수처(미국)
- 성모 성심 은수처 성당(미국)
- 주님 육화 수도원(미국)
- 부활하신 주 수도원(미국)
- 성 아우구스티노 성당(미국)
[1] 성 로무알도의 까말돌리 은수처 설립일[2] 흔히 클뤼니 수도회, 클뤼니 수도원이라고 불리는 그것[3] 독수도승들을 위한 까말돌리 은수처와 회수도승들을 위한 까말돌리 공주수도원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 즉 까말돌리 연합회의 모원.[4] 현재 수도원 폐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