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5:25:07

김하루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00> 파일:대교어린이TV 성우극회 로고.png대교방송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기수 성우
<colbgcolor=#f00><colcolor=#fff> 제1기
(1995)
<colbgcolor=#f00><colcolor=#fff> 권영호, 김영선, 김호성†, 이장우
박광숙, 안현서, 이영리, 이유미, 정남, 조영미
제2기
(1996)
신한호, 홍승표
김아영, 오주연
제3기
(1998)
변현우, 이상헌, 전광주
김지혜, 김필진, 서선주, 윤미나, 이현주
제4기
(2000)
유호한†, 이원찬
박신희, 최은애, 하미경
제5기
(2007)
김태영, 이현우
권인지, 김성연, 이윤희, 하은진
제6기
(2014)
민승우
김하루
제7기
(2016)
김주호
김유림
제8기
(2018)
박민기
오로아
제9기
(2020)
김훤
차영희
제10기
(2022)
황해준
이이로
제11기
(2024)
김선웅
이엘리사
타 성우극회: 대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KBS · MBC · PBC
취소선: 탈퇴, 제명
}}}}}}}}}
<colbgcolor=#ffb6c1><colcolor=#ffffff> 대교방송 성우극회 6기 성우
김하루
Kim Ha-ru
<nopad> 파일:여신김하루.jpg
본명 김경선(Kim Kyung-sun)
출생 1986년 6월 5일 ([age(1986-06-05)]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배우자, 자녀
소속 대교방송 성우극회 6기 (프리랜서)
활동 시기 전속: 2014년 ~ 2015년
프리랜서: 2016년 ~ 현재([age(2014-01-01)]년 차)
서명
파일:김하루 성우 서명.svg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1]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및 연기3. 활동4. 여담5. 출연작6.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우. 2014년 대교방송 성우극회 6기로 입사하였으며, 현재는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2. 특징 및 연기

사근사근한 목소리가 특징으로 가창력도 좋아서 코바토。의 엔딩곡 등을 부르기도 했다. 또한 대교 6기 유일한 여성 성우인 만큼 전속 시절에 여러 배역을 맡았는데,[2] 소년이나 보이시한 연기도 두드러진 면모를 보였으며, 그 외에 천연 연기도 돋보인다.

연기로는 전반적으로 준수한 평가를 받으나, 고음 연기의 경우 특유의 맑은 목소리로 인해 잘 매치가 되지 않아 호불호가 갈린다. 특히 2025년에 개봉한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더빙판에서 연기한 코쵸우 시노부 같은 경우에는 다정한 모습을 연기할 때는 좋았지만 분노한 모습을 연기할 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서 이 점이 부각되었다.

3. 활동

2016년 8월 20일 애니사운드 페스티벌에 남도형과 함께 게스트로서 참가하였으며, 이후 2017년 7월 29일 애니사운드 페스티벌에도 남도형과 함께 MC 겸 게스트로 참가하였다.[3]

2017년 4월 1일, '보이스북 Her' 공연에선 막내로 출연했는데 공연 프로모 영상과 본공연에서 "주문 (Mirotic)"과 "봄 사랑 벚꽃 말고"의 랩파트를 저음으로 소화하며 의외의 걸크러시 매력을 뽐냈다.

4. 여담

파일:2023agf.jpg

5. 출연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하루/출연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하루/출연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하루/출연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


[1] 블로그와 유튜브 모두 2020년을 마지막으로 동결.[2] 전속 시절에 작품에 참여한 여자 성우가 본인 한 명뿐이라 한 작품에서 혼자 8개까지도 배역을 맡아본 적이 있다고 한다.[3] 비슷한 시기에 발매된 에이사운드 10주년 기념 앨범에도 남도형, 카게야마 리사와 함께 게스트로 참여하였다.[4] 원곡에서 해당 파트는 헝가리어다.[5] 김하루는 미래의 미라이에서 미라이 역을 맡았는데 수입사에서 김하루의 일본어 실력을 알고 수행 통역까지 제안했다고 한다.[6] 2시간 7분 50초부터[7] 나이는 김하루가 5살 위지만, 성우 활동은 7년 늦게 시작했다. 일본 여자 성우들은 평균적으로 10대 중후반에 한국보다 훨씬 일찍 데뷔를 하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8] 성격상 자신들이 성우라는 것은 밝히지 못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