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14:19:01

김이석


2 이현식 · 5 김강산
VC
· 6 김경준 · 7 김승섭
C
· 8 이승원 · 11 이동준 · 13 오인표
14 이동경 · 15 김찬 · 16 김준호 · 18 원기종 · 19 박상혁 · 20 박찬용
VC
· 21 김태훈 · 22 최예훈
23 이주현 · 27 추상훈 · 28 맹성웅 · 31 백종범 · 33 박대원 · 34 박철우 · 35 이정택
36 김태환 · 37 김주찬 · 38 이찬욱 · 39 이건희 · 40 전병관 · 41 문현호 · 42 고재현 · 43 박세진 · 44 이수빈
45 김이석 · 46 김민규 · 47 김인균 · 48 김현우 · 49 민경현 · 50 박진성 · 51 박태준 · 52 임덕근 · 77 유선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정정용{{{#!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김이석 강원 25시즌.png
김천 상무 FC No. 45
김이석
金利錫 | Kim Yi-seok
출생 1998년 6월 19일 ([age(1998-06-19)]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9cm / 체중 71kg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주발 오른발
학력 서울연희초등학교 (졸업)
장안중학교 (졸업)
신갈고등학교 (졸업)
수원대학교 (중퇴)
소속 FK 투르노브 (2019)
FC 슬로반 리베레츠 B (2019~2020)
안산 그리너스 FC (2021~2022)
김포 FC (2022~2023)
강원 FC (2024~ )
김천 상무 FC (2025~ / 군 복무)
가족 김우석


1. 개요

대한민국축구 선수. 포지션은 미드필더.

2. 선수 경력

2.1. K리그 이전

용인시축구센터 - 수원대학교 축구부 출신으로 2019년 3월 체코 3부 리그인 FK 투르노브를 통해 유럽 무대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동년 8월에 같은 체코 3부리그인 CFL에 참가하는 FC 슬로반 리베레츠 B팀에 입단했으며 두 시즌 동안 30경기에 출전해 3골 5도움을 기록했다.

2.2. 안산 그리너스

2021년 1월 22일, 새 시즌을 앞두고 K리그2안산 그리너스와 계약을 체결하며 국내 무대에 데뷔했다.

2.2.1. 2021 시즌

등번호 21번을 달았다.

FA컵 3라운드 아산과의 홈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안산 데뷔전을 치렀다.

7월 경남과의 20R에 선발 출전하며 K리그2 데뷔전을 치뤘다.

2021 시즌 안산에서 후반기만 뛰었고 기록은 리그와 FA컵 포함해 11경기 출전.

2.2.2. 2022 시즌

등번호를 25번으로 변경했다.

조민국 감독 아래 기회를 적지 않게 받았으나 조민국 감독 사임 후 팀을 떠났다.

2021 시즌 안산 소속 K리그2에서 16경기 출전.

2.3. 김포 FC

2022 시즌 여름 이적 시장에 K리그2 김포 FC로 이적했다.

2.3.1. 2022 시즌

2022 시즌 33라운드 충남 아산 FC전 코너킥 상황에서 흘려진 볼을 그대로 꽂아넣어 데뷔골을 신고했다. 팀은 1 : 0으로 승리했다.

42라운드 충남 아산 FC정의찬의 헤더 패스를 날카로운 왼발 슛으로 선제골을 터뜨렸다. 이로써 이번 시즌 넣은 두 골을 모두 충남 아산을 상대로 기록하게 되었다.

2022 시즌 김포에서의 기록은 리그 13경기 2득점 0도움.

2.3.2. 2023 시즌

등번호를 66번에서 8번으로 옮겼다. 8번의 원래 주인은 지난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한 구본상.

1라운드 천안 시티 FC전 팀의 두 번째 골을 득점했다.

초반 전북에서 합류한 장윤호 대신 시즌 초반 최재훈과 주전 중앙 미드필더로 나섰다.

7라운드 안산 그리너스 FC전 경기 시작 2분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거리 슈팅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35라운드 FC 안양전 후반 5분 세컨볼을 시원한 중거리 슈팅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36라운드 전남 드래곤즈김수범의 다이렉트 퇴장에 관여했고 88분 루이스의 패스를 받아 역전골을 기록했다. 하지만 득점 직후 핸드볼 파울로 프리킥을 내줬고 여기서 발디비아가 직접 슈팅으로 마무리지으며 동점골의 빌미가 되는 아쉬운 상황이 만들어졌으나 공격자 파울로 득점이 취소되었다.

고정운 감독 아래 기량이 만개하며 팀을 승강 PO에 이끄는 등 K리그2 정상급 미드필더로 거듭나며 2023시즌 K리그2 베스트 XI 미드필더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2023 시즌 종료 후 김포와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대전 하나 시티즌강원 FC 등 여러 K리그1 구단의 관심을 받고 있다. 대전이 김이석을 놓쳤다는 루머가 있어 강원으로의 이적이 더욱 유력해 보인다.

2.4. 강원 FC


결국 2024년 김병지 대표의 강원 신년 라이브를 통해 강원으로 이적했음이 발표되며 형 김우석과 한솥밥을 먹게 됐다. K리그1에서의 첫 시즌이기에 어느 정도 해 줄 지가 기대되는 부분.

2.4.1. 2024 시즌

등번호 6번을 배정받았다.

1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 춘천 홈경기에서 풀타임을 소화하며 강원 데뷔전이자 K리그1 데뷔전을 치렀다.

시즌 초반 김강국과 함께 중앙 미드필더 주전조로 나섰다.

8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춘천 홈경기에서 강원 데뷔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4:1 승리에 기여했다. K리그1 첫 라운드 XI에 선정됐다.

14라운드 대구 FC 원정 경기에서 후반전 51분 팀의 선제골을 만들어냈고 71분 동점골을 내줬지만 91분 역전골로 2:1 역전승하였다.

15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33분 무릎 부상을 당해 교체되었다. 윤정환 감독의 인터뷰에 의하면 우측 무릎 내측 측부 인대 손상으로, 당분간 출전이 힘들어 보인다.

9월 팀훈련에는 복귀했지만 현재 예상보다 복귀가 늦어지고있다. 빠르면 곧 다가오는 30R 울산전 복귀가 예상된다.

30라운드 울산 HD FC 원정경기에서 교체 출전으로 오랜만에 복귀했다. 30분도 채 안 된 시간에서 좋은 전진 패스와 태클 능력을 보여 줬다. 부상으로 떨어질 수 있는 폼에 대해 걱정하던 강원 팬들을 안심시킨 경기력이였다.

32라운드 대구 FC와의 홈경기에서 후반 36분 김동현과 교체 투입했으나, 약 5분 만에 공중볼 경합 과정에서 무릎 부상으로 다시 쓰러지며 그대로 교체 아웃됐다. 최근 김동현의 부하로 인해 그의 로테이션 자원이 필요하던 강원의 입장에선 좋지 않은 결과. 결국 경기는 1:1로 비겼다.
김이석의 2024년 K리그1 성적
경기(선발) 득점 도움 슈팅(유효) 드리블 키패스 패스 성공률 경고(퇴장)
18(15) 2 2 9(5) 2 10 89.6% 4(0)

전반기엔 핵심 미드필더로 뛰며 좋은 폼을 보여 주었지만 후반기엔 부상과 재발로 거의 경기를 뛰지 못했다. 하지만 K리그1 데뷔 시즌임에도 강원의 준우승 돌풍에 기여하는 등 강원 입장에선 확실히 성공한 영입이라고 볼 수 있다.

2.4.2. 2025 시즌

2025 시즌을 앞두고 기존 6번을 김동현에게 물려주고 의 이적으로 공번이 된 등번호 16번을 사용하게 되었다.

2.4.3. 김천 상무 FC (군 복무)

2025년 1차 국군체육부대 최종 명단에 합격하며 2025년 4월부터 김천 상무에서 군 복무를 진행할 예정이다.
2.4.3.1. 2025 시즌
훈련소에서 동기 분대장에 선임됐으며 등번호 45번을 달았다.

24라운드 제주 SK FC 홈경기에서 전반 36분 교체 출전했다. 후반 61분에 이동경의 감각적인 힐패스를 받아 득점에 성공했다.

3. 플레이 스타일

폭넓은 활동량과 뛰어난 공수 조율 능력을 갖췄으며 측면과 중앙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어로 전술에 따라 다양한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4.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