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6 23:05:29

김완(고려)



金完/金琓

생몰년도 미상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1. 개요

고려 말기의 인물.

2. 생애

환관으로 공민왕 때 김사행과 함께 총애를 받았고 1387년 9월에 천호에 임명되었다가 1388년 정월에 김량과 함께 경기좌우도찰방, 제창고전민사에 임명되어 전권을 집행하라는 의미로 칼을 하사받았으며, 4월에는 요동 정벌군을 위로하기 위해 문달한, 김종연, 정승가, 조순 등과 함께 사신으로 파견되어 좌, 우 도통사, 장수들에게는 금은으로 된 술그릇, 도진무에 이르기까지는 의복을 내렸다.

5월에는 과섭찰리사에 임명되어 금, 비단, 말 등을 가지고 좌, 우 도통사, 원수들에게 이를 내리면서 부대의 진격을 독려하려고 했지만 군중에 억류되었으며, 여름 6월에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자 최영이 사대하지 않고 함부로 군사를 일으켜 혼란을 불러와 군사를 일으킨 것으로 그를 제거하지 않으면 종사를 전복시킬 것이라는 내용의 글을 받았다.

1391년에 김사행과 함께 그를 축출해야 한다는 상소가 올라왔지만 공양왕은 듣지 않았다.

3. 대중매체에서

이처럼 역사의 기록에는 매우 짧은 기록만 남아있으나, 그 시기가 시기인지라 훗날 대중매체에서 위화도 회군을 다룰때엔 높은 빈도로 등장한다.

3.1. 용의 눈물

1화에 등장한다. 용의 눈물 1화 전체가 다름아닌 위화도 회군을 다루는 내용이었다. 극이 시작하자 마자 얼마 지나지 않아 위화도에 주둔한 공요군 진영에 왕명을 전하러 등장한다. 최전선의 어려움을 어찌 모르겠냐면서도 진군을 독촉하는 내용의 교서[1]를 읽고는 회군 요청에 대한 반응을 묻는 이성계의 질문에 회군은 더이상 입에 담지 말라는 취지의 우왕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이를 전하는 내내 고압적이고 거만한 태도를 보였으나, 회군을 거듭 요청했던 이성계가 분노하여 김완을 감금하라 명하자[2] 크게 놀란 상태로 끌려나간다.

이후 개경 문턱에 다다른 이성계의 군대와 함께 끌려와서는 이성계와 우왕 간의 전령 역할이 된다. 원래 입고 왔던 초록색 관복을 뺏긴채 너덜너덜해진 모습으로 이성계에게 목숨을 구걸하는 모습은 극 초반 등장 당시와 크게 대조된다. 그 꼴[3]로 우왕 앞까지 가서 최영을 실각시키라는 이성계의 요구를 전달했으나, 안대비(공민왕비)의 일갈[4]에 밀려서 이성계와 회군에 동조한 장수들을 적당히 구슬려 보려는 내용을 들고 이성계 앞에 갔지만[5] 먹힐리가 없었고, 우왕의 답신을 전하자마자 이성계의 군대가 개경에 쳐들어가는 꼴을 보게 된다.

3.2. 정도전

위화도 회군 전후로 이성계에게 금, 은 술잔을 전달하는 이로 정승가와 함께 등장한다. 정승가는 무장의 복장인 반면 김완의 것은 흑립에 평복이다.

3.3. 육룡이 나르샤

배우는 불명.[6]

여기서는 실존 인물이었음에도 이름 자막이 뜨지 않아 이름은 묻혔다(...).[7] 역시 위화도에서 발이 묶인 이성계에게 감찰관으로 찾아왔다.

여기서는 용의 눈물에 등장한 것처럼 초록색 관복을 입었고, 거만한 인물상으로 나온다.환관 주제에 어명을 받아왔다고 띠껍게 군다 심지어 여기에서는 용의 눈물, 정도전이나 실제 역사에서처럼 금, 은, 보화는 커녕 빈손으로 와서는 오히려 이성계가 딴 마음을 품어서 진군을 지체하는 게 아니냐며 닦달한다.하는 짓만 보면 없던 역심도 생기게 할 판 이에 이성계가 분개하며 나가서 공요군의 처참한 상황을 보고 그런 말을 하라며 따지자, 최영이 전하라는 말을 알려주며 공요군 장수들의 속을 더욱 긁어놓는다. 이때의 대사는 어려움 없는 전장은 없다.[8] 이어 굶주림과 전염병, 폭우 등에 지쳐 탈영하려던 병사들의 추포 소식을 듣고는 이성계 등과 함께 나가 탈영병들의 처형 준비를 지켜본다.

탈영병들의 기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이성계가 처형 명령을 차마 내리지 못하고, 탈영병들의 하소연에 망설이자 처형을 재촉한다. 그러나 계속 처형은 지체되고, 재촉하다 못해 직접 칼을 뽑아 탈영병들의 목을 치려고 한다. 이때 가별초 낭장 춘길[9]의 칼에 목이 겨누어진다. 이후 춘길이 이성계에게 처형 명령에 불복하고, 지켜보던 무휼마저 이성계에게 요동정벌을 그만둘 것을 진언하자 성을 내며 춘길과 무휼도 처형하라고 따진다. 이성계가 못 베겠다면 자신이 하겠다며 춘길, 무휼, 탈영병들을 죽이려 하지만 용으로 각성한이성계가 그만두라는 일갈과 자신을 추포하라고 명령하는 것을 듣고는 당황한다. 그리고 이성계의 압록강을 건너지 않겠다는 선언에 그건 반역이라며 따지지만, 이미 마음을 굳힌 이성계의 명령을 받은 남은과 조영규에 의해 끌려나간다. 이후 구금되었다는 언급으로 출연 끝. 여태까지 끈 어그로나 왕의 직속 환관이었다는 점에서 좋은 꼴은 못 봤을 듯.
[1] 극 시작부터 김완의 등장전까지 공요군의 상태를 보여주는 장면이 이어졌는데, 악천후에 발이 묶인 상태에서 점점 피폐해지고 탈영병이 속출하는 상황이었다. 이 장면 직후에 김완의 등장 장면이 이어지면서 최전선과 지도부간의 괴리를 극명히 보여주었다.[2] 왕을 믿고 위세를 부리며 고깝게 구는데다가 약올리는 듯한 표정과 말투로 어그로를 엄청나게 끌었다. 이성계가 분노로 주먹을 부르르 떨다가 감금시키는 것이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을 정도.[3] 옷을 뺏긴 것도 모자라 맨발이다.[4] 본작에서 우왕은 등장 내내 유약한 모습을 보이며 안대비와 최고 권력자인 최영에게 크게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5] 실제 역사에서는 다른 사람이 우왕의 회신을 전달하였다.[6] 이 역을 맡은 배우는 전작인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반촌 노비 서용 역으로 등장했다. 야인시대에서도 이석재가 병원에 입원한 시라소니를 폭행하러 가는 장면 등 여러 장면에서 1인 다역으로 출연했다.[7] 본작 내 비슷한 일을 당한 인물들이 김저, 안소 등이다.[8] 연기한 배우가 정말 얄밉게 표정이며 억양까지 잘 살려버려서 너무 잘한 나머지 욕도 먹으며좋은 평가를 받았다.[9] 가족의 생계를 위해 가짜 왜구 노릇을 하다가 가별초가 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