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금남고등학교]]{{{#!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경상 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거제BC | 금남고등학교 | | 김해고등학교 | | 마산고등학교 | | 물금고등학교 | ||
밀양BC | | 야로고BC | | 용마고등학교 | | 창원공업고등학교 |
}}}}}} ||
창단 | 2023년 12월 1일 |
소속 리그 | 경상권 |
감독 | 최낙기[1] |
코칭스태프 | 조현민,조진호,이용선 |
우승 기록 [2] | 0회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 | - | - |
청룡기 | - | - | - |
황금사자기 | - | - | - |
봉황대기 | - | - | - |
이마트배 | - | - | - |
1. 개요
경상남도 하동군 소재 금남고등학교 산하 야구부.2. 연혁
- 2023년 6월 12일 : 첫 선수모집글 게시.- 2023년 11월 30일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창단승인.
- 2023년 12월 1일 : 14시 금남고등학교 야구부 창단.[3]
- 2024년 3월 17일 첫 정식게임[4], 주말리그 시작.
- 2024년 8월 18일 첫 시즌 마감.
- 2025년 3월 8일 두번째 시즌 시작.
3. 2024년 엔트리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기준감독 | 최낙기 |
코치 | 조현민,최한길 |
투수 | 권영웅,김두교[5],김호준[6],유다한,윤진서,이정현,이진혁,장정진,정유근,최철훈,한예준 |
내야수 | 권우재,김우주,김윤환[7],김태린,박강,진유승 |
포수 | 한혜성[8],조용준,강인성 |
외야수 | 김대현,남상우[9],윤대군,정현빈[10] |
팀 성적 | 0승 15패 0무 |
팀 타율 | 0.200 |
팀 평균자책점 | 10.43 |
4. 2025년 엔트리
-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기준감독 | 최낙기 |
코치 | 조현민,조진호,이용선 |
투수 | 권영웅,김호준,박하민[11],이진혁,이청후,장정진,정유근,정찬영,최기헌 |
내야수 | 김우주,김태린,박강,양진호 |
외야수 | 김대현,김재민,김하람,김호찬,남상우[12],윤대군,장하성,진유승 |
팀 성적 | |
팀 타율 | |
팀 평균자책점 |
5. 출신 선수[13]
6. 여담
- 2024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상대는 덕수고 였으며,6회까지 1점차 접전 한 적이 있다. 덕수고 정윤진 감독은 “창단한 지 몇 개월 안된 팀인데 경기 초반까지 팽팽한 승부를 펼친 것에 대해 금남고 선수들에게 박수를 쳐주고 싶다”며 “앞으로 계속 훈련과 경기 경험을 쌓아간다면 정말 좋은 팀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컴투스가 청소년 야구 인재 육성을 위한 후원을 한 적이 있다. 지정된 외야 구역에 가장 많은 홈런을 기록한 선수 명의로 야구용품을 기부하는 ‘컴프야존 최다 홈런상’을 신설하였고, 당시 수상한 LG 트윈스 오스틴 선수와 한화 이글스 페라자 선수의 이름으로 국내 아마추어 야구 불모지에 기부하기로 뜻을 모았다. 컴투스는 KBO 사무국과 협의해 후원이 필요한 학교 두 곳을 선정했으며, 그 중 첫 번째 학교로 금남고 야구부 이다. [14]
[1] 마산용마고-경성대 포수 출신이며, 1987년 신인드래프트 MBC청룡 5라운드 지명받았으나 거부 후 포항제철,상무 활동했다.[2] 4대 메이저 대회 + 협회장기[3] 코칭스태프 2명 및 선수 15명[4] 첫 상대는 야로고등학교 야구부[5] 김건웅의 친동생이다.[6] 내야수 가능.[7] 대한야구소프트볼협 등록은 내야로 되어있으나,경기에선 외야로 뛰었다. 호원대학교 야구부 진학[8] 충북보건과학대 야구부 진학[9] 주장, 발목이 나가서 유급했다.[10] 동강대학교 야구부 진학[11] 내야수 가능.[12] 주장[13] 나무위키 등록 선수 한정. 졸업 연도순.[14] 2번째는 상동고등학교 야구부이다.[15] https://www.youtube.com/live/g3ym-HHDXvU?si=Hdu37Kxsjylo0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