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소프테리스 Glossopteris | |
| |
학명 | Glossopteris Brongniart 1828 ex Brongniart 1831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문 | †양치종자식물문(Pteridospermatophyta) |
목 | †글로소프티리스목(Glossopteridales) |
과 | †글로소프테리스과(Glossopteridaceae) |
속 | †글로소프테리스속(Glossopteris) |
종 | |
†G. angustifolia †G. brasiliensis †G. browniana †G. communis †G. indica †G. occidentalis |
1. 개요
고생대의 페름기에 곤드와나 대륙에 분포한 식물로 1824년에 발견된 뒤 오랫동안 양치식물로 여겨졌으나 관다발 유현공헛물관이 있어 양치식물에서 겉씨식물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이며 몇몇 학자들은 속씨식물의 조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2. 연구사
잎은 단옆이며, 직사각형의 가까운 그물 모양의 잎맥을 가지고 있고 페름기(약 2.6억 년 전)에 번성했다.고생대 후기 남반구 단엽식물의 대표종이며 이 식물의 화석은 남반구 각 대륙의 석탄기 지층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대륙이동설을 증명해주는 자료이기도 하다.
또한 화석이 빙하퇴적물에 쌓여 언덕이 된 빙퇴석에서 발견되어, 당시 곤드와나 지역은 추운 기후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식물의 멸종 원인은 씨앗의 크기와 관련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씨앗의 크기가 매우 커서 씨앗이 다른 지역으로 퍼질 수 없어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