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444466><bgcolor=#444466><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color=#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444466><rowbgcolor=#444466><width=35%>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feat.하츠네 미쿠 ||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0 0 -7px;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7%;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등장인물 · 유닛 ▼⠀ {{{#!wiki style="margin: -7px 0 -3px"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bordercolor=#ebebf2><nopad> | |||||||||
만우절 한정 유닛 (1차 · 2차 · 3차) | 콜라보 한정 유닛]] | 기타 등장인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게임플레이 ▼⠀ {{{#!wiki style="margin: -7px -0px -3px" | 세계관 | 배경 | 스토리 (메인 스토리 · 이벤트 스토리 · 키 스토리) | ||||
음악 | 수록곡 | 음반 | ||||||||
콘텐츠 |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뽑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
<rowcolor=#444466> 랭크 매치 | 마이세카이 | |||||||||
<rowcolor=#444466> 시스템 (에어리어 · 라이브 · 멤버 · 미션) | ||||||||||
<rowcolor=#444466> 라이브 | 버추얼 라이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 커넥트 라이브 | ||||||||
오프라인 라이브 |
- ⠀관련 문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bordercolor=#ebebf2><color=#ebebf2><bgcolor=#ebebf2,#dddde7><width=20%><:> 기타 ||<-6><tablecolor=#444466> 팁 · 오프라인 이벤트 · 창작 콘테스트(의상) · 난이도 표기 문제(Lv.33 이상) · e스포츠 대회 · 프로세카 아카데미 · 라디오 및 정보 프로그램 · 노래방 수록곡 · 해외 서비스 · 발매 전 정보 ||
사건 사고 일본 서비스 · 한국 서비스
캐릭터 차별 대우 논란미디어 믹스 푸치세카 · Journey to Bloom · 극장판 애니메이션 관련 사이트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디시인사이드 한국서버 갤러리
<nopad>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노래하지 못하는 미쿠 (2025) 劇場版プロジェクトセカイ壊れたセカイと歌えないミク COLORFUL STAGE! The Movie: A Miku Who Can't Sing | |||
<nopad>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x-width: 550px; margin: 0px auto;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ff 0%, transparent 150%), linear-gradient(to top, #d9f2f9, #d9f2f9)" {{{#2c2c2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장르 | 음악 | |
감독 | 하타 히로유키 | ||
각본 | 요나이야마 요코(米内山陽子) | ||
원작 | 세가 / Colorful Palette / 크립톤 퓨처 미디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
캐릭터 디자인 | 아키야마 유키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츠지 마사토시 | ||
프롭 설정 | 마키노 히로미(牧野博美) | ||
미술 감독 | 스즈키 쿠루미(鈴木くるみ) | ||
미술 설정 | 시오자와 요시노리(塩澤良憲) | ||
촬영 감독 | 이와이 카즈야(岩井和也) | ||
색채 설계 | 테시마 아케미(手嶋明美) | ||
CGI 디렉터 | 오가와 쿄스케(小川喬右) 스즈키 하루키(鈴木晴輝) | ||
편집 | 타카하시 아유무(髙橋 歩)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향 효과 | 우에노 레이(上野 励) | ||
음향 제작 | 매직 캡슐(マジックカプセル) | ||
음악 | 호노 사토시(宝野聡史) | ||
애니메이션 제작 | P.A.WORKS | ||
제작 간사 | CyberAgent | ||
제작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노래하지 못하는 미쿠」 제작위원회 | ||
수입사 | ○○ ○○ | ||
배급사 | 쇼치쿠 ○○ | ||
개봉일 | 2025년 1월 17일 2025년 3월 28일 2025년 4월 3일 2025년 4월 ?일 2025년 4월 ?일 2025년 ?월 ?일 | ||
상영 시간 | 105분[1]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명 | ||
최초/국내/독점 스트리밍 |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2] | ||
상영 등급 | 미정 | ||
공식 홈페이지 | | | }}}}}}}}}}}}}}} |
[clearfix]
1. 개요
私の声は、届かない── 내 목소리는, 닿지 않아── 첫 공개 캐치프레이즈 |
일본의 리듬 게임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를 원작으로 하는 극장판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감독은 하타 히로유키, 제작사는 P.A.WORKS.[3] 개봉일은 2025년 1월 17일.
2. 개봉 전 정보
- 2024년 7월 29일, 프로세카 방송국에서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이 발표되었다.
- 스토리는 극장판 오리지널 스토리로, 진급 전 시점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3. 메인 포스터
<nopad> 일본 | 홍콩, 마카오 | 대만 |
==# 예고편 #==
<nopad> 특보 영상 |
<nopad> 예고편 60ver. |
<nopad> 유닛별 WEB 예고 |
Leo/need |
MORE MORE JUMP! |
Vivid BAD SQUAD |
원더랜즈×쇼타임 |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4. 관련 영상
<nopad> 극장 막간 영상 |
<nopad> 극장 막간 영상 제2탄 |
<nopad> 극장 막간 영상 제3탄 |
5. 시놉시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word-break:keep-all; padding: 5px 0px; border-radius: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fff, #ffffff, #f0f0f0)" {{{-1 너에 대해서 알려줘. 그렇게 하면, 노래를 알 수 있을지도 몰라. CD샵에서 들어본 적이 없는 미쿠의 노래를 들은 호시노 이치카. 그녀는 모니터에서, 본 적 없는 모습의 "하츠네 미쿠"를 발견하고, "미쿠?!"라고 무심코 소리를 낸다. 그 목소리에 놀란 미쿠는, 이치카와 눈이 마주쳤지만, 어쩔 줄 몰라하고 사라져버린다. 이후, 길거리 라이브를 끝낸 이치카의 스마트폰에, 이전에 본 미쿠가 모습을 드러낸다. 쓸쓸한 듯 고개를 숙이는 미쿠에게, 이치카가 슬쩍 이야기를 들어보니, 노래를 전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는데, 아무리 노래를 불러도, 그 노래가 닿지 않는다고 한다. 라이브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노래를 전하는 이치카의 모습을 보고, 그녀에 대해 알게 되면 자신도 똑같이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 미쿠는, 이치카의 품에 찾아온 것이었다. 미쿠의 소원에 이치카는 웃으며, "나로 괜찮다면."이라 대답하며, 하츠네 미쿠와 소년소녀들의 새로운 이야기가 시작된다―.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table bordercolor=#14b0c1>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노래하지 못하는 미쿠 공식 스토리 링크}}}}}} ||
6. 등장인물
버추얼 싱어의 경우, 위에 적혀있는 닫힌 창문의 세카이 하츠네 미쿠와 각 세카이의 초기 버추얼 싱어만이 주연이며, 나머지는 조연에 해당한다. 따라서 프로필에도 초기 버추얼 싱어에 대한 설정이 적혀있으며, 나머지 모습의 경우 설정화로만 볼 수 있다.
7. 설정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스토리 문서 참고하십시오.8. 줄거리
9. 음악
9.1. 주제가
9.1.1. OP
자세한 내용은 시작의 미래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はじまりの未来 시작의 미래 | |||
Game size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
작사 | 40mP × sasakure.UK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9.1.2. ED
자세한 내용은 Worlders 문서 참고하십시오. ED Worlders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VIRTUAL SINGER Leo/need MORE MORE JUMP! Vivid BAD SQUAD 원더랜즈×쇼타임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
작사 | 진 | ||
작곡 | |||
편곡 | TeddyLoid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9.2. 극장판 오리지널 곡
이번 극장판에서 최초공개된 악곡들이다. 유닛당 하나씩, 그리고 주인공 미쿠의 단독곡을 포함 총 6곡이 출시되었다. 6곡 모두 DECO*27이 작곡했으며, 6명의 프로듀서들이 각자의 방식대로 편곡했다. ハローセカイ 헬로 세카이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39c5bb,#39c5bb><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하츠네 미쿠[영화삽입] VIRTUAL SINGER[음원]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tepe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9c5bb,#39c5bb><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SToRY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4455DD,#4455DD><colcolor=#ffffff,#ffffff> 노래 | Leo/need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호리에 쇼타(kemu)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455DD,#4455DD><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UN!!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88DD44,#88DD4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MORE MORE JUMP!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이요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8DD44,#88DD4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ファイアダンス 파이어 댄스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EE1166,#EE1166><colcolor=#ffffff,#ffffff> 노래 | Vivid BAD SQUAD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Giga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1166,#EE1166><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スマイル*シンフォニー 스마일 심포니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9900,#FF99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원더랜즈×쇼타임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니루 카지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9900,#FF99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そこに在る、光。 그곳에 있는, 빛.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884499,#884499><colcolor=#ffffff,#ffffff> 노래 | 25시, 나이트 코드에서. | ||
작사 | DECO*27 | ||
작곡 | |||
편곡 | 스리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84499,#884499><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9.3. 기타 삽입곡
君恋クエスト 너 사랑 퀘스트[7]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
작사 | irucaice 이치노세 루포 | |
작곡 | ||
편곡 | irucaice 이치노세 루포 Tanchiky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始まりなんてちっぽけなキッカケで 目が覚めたらまた君を見失って リセットボタンなんてないけど冒険をリロード (イェイ!) 君のため磨いたティアⅢの光魔法 キラリ弾け飛んでずっと飛んで 振り回されちゃって待って迷子じゃ~ん(TT) もう...なんで...! 最強エンド秘密のワープですぐ RTAまだリセナシいける? ハイ!余裕解禁!ナーフ回避! って描いた恋の宝地図 迷宮ランド予想外世界 OVER LOAD あと少しの距離で 解き方がわかんない 君と未攻略LOVE GAME ヘンテコだらけのワンダーランド またなぜ?なぜ?不意打ち(わぁぁ!)のトラップも 連打でオーバーキル はやくクリアさせてよ! 敵わない相手 氷漬けとぐるぐるパニくちゃって 目覚めた!どこでリスポーン? 全ロスって完全に詰んだ迷子じゃ~ん(><) あ~限界! 何千Days追いかけたってまだ ノーコンでってギリギリLIFEゼロ もう!スキル開放! ハートを射抜く距離って愛じゃ測れない 最新装備 重ねたアップデート OVER RUN 型破り魔法で このチャンス懸けるなら 君に無限大LOVE MAGIC 毒毒(ドキドキ)のダメージで ポーションも効かないや 目の前が暗くなっていく... ここで終わり? まだまだまだ終われない! ハッピーエンドチャンス掴んだなら MVP何回も獲っちゃって 君とお揃いのクラウンだって付けられる この旅が終わるまでたった一つの思いを 何度だって届けよう 君と未攻略LOVE GAME So, that's it for today's journey. I'll never, never give up on my own quest. Yeah! Tell me more about your heart. Let me be next to you at the ending. Still in the love game. |
glow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작사 | keeno |
작곡 | |
편곡 | 세노우에 준 츠바키모토 마사시(椿本匡賜) |
자세한 내용은 glow(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참고하십시오.
쾌청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작사 | Orangestar |
작곡 | |
편곡 |
자세한 내용은 쾌청(VOCALOID 오리지널 곡) 문서 참고하십시오.
군청찬가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colcolor=#2c2c2c> 노래 | 하츠네 미쿠 |
작사 | Eve |
작곡 | |
편곡 | raku(tayori) |
자세한 내용은 군청찬가 문서 참고하십시오.
10.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10.1. 개봉 전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세카이를 원작으로 하는 첫 애니 제작 소식에 고무적인 반응이 많다. 이후 주요 제작 스태프가 공개된 것을 기점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생기게 되었는데, 제작사는 P.A.WORKS라는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잘 알려진 제작사가 담당하지만[8] 감독인 하타 히로유키의 필모가 그리 좋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하타 감독은 최근 여동생의 상태가 조금 이상한데와 라피스 리라이츠에서 대대적인 혹평을 받은 바 있으며, 그나마 잘 만든 유루유리 산☆하이!도 1, 2기에 비하면 부족하다는 혹평을 받았다.일단 캐릭터 디자이너인 아키야마 유키와 츠지 마사토시가 작화감독까지 해준다면 작화는 좋을 것으로 보이지만 하필이면 프로세카 극장판 공개 직전에 방영된 블루 아카이브 애니메이션의 선례[9]가 있다보니까, 우려를 하는 반응이 많다. 일단 9월 27일에 공개된 예고편 영상만 봤을때 작화는 문제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하타 히로유키 감독이 P.A에서 프로젝트 세카이 단편 애니메이션 Journey to Bloom을 여러 편 제작했으며 그 작품들은 호평을 받기도 했으므로[10] 바닥을 치는 망작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 무엇보다 하타 감독의 비판은 호흡을 길게 잡아야 하는 TVA에 한정되어 있는지라 2시간 남짓한 줄거리로 끝나는 극장판 연출에서는 또 괜찮게 나올 가능성도 있다.
10.2. 개봉 후
상영 전부터 논란도 많았고 우려도 제법 컸지만, 개봉 후 관람객들의 평가는 호평이 다수이다. 우선 유명 보카로 P들이 대거 참여한 OST는 당연하게도 호평이 많고, 무난하지만 호불호가 크게 갈리지 않는데다 원작 게임의 스토리를 몰라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친절한 스토리 역시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캐릭터 별 비중 및 역할 분담 역시 잘됐다는 평. 작화 역시 극장판인 것을 감안하면 빼어나다고 평가하긴 어려우나, 크게 흠잡을 정도는 아닌 퀄리티로 나왔다.총평하자면 원작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해봤던 유저들, 그리고 보컬로이드 문화를 향유하는 팬들에게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영화이다. 팬들을 위한 영화로서는 나름대로 합격점이라는 것.
11.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미국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틀:국기| ]][[틀:국기| ]][[틀:국기|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11.1. 일본
- 극장 입장 특전으로 시리얼 코드가 증정되었다. 해당 코드를 프로세카 공식 스토어에 계정 연동 후 입력하면 전용 스탬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스탬프 보상은 아래와 같다.
<colbgcolor=#c4c4d7,#505050><rowcolor=#ffffff> 스탬프 보상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해방
극장판 한정 에어리어 대화 (총 37개) 해방
'[극장판] ★2 멤버 티켓' ×6||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순백색 솔트 팝콘' ×1[1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상쾌한 톡톡 소다'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달콤한 멜론 아이스'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따끈한 열기 핫도그'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갓 튀긴 원더풀 감자튀김' ×1
한정 아이템 '영화관의 쌉쌀한 다크 츄리토스' ×1||
7개 ~ 26개 | 위 보상 중 ★2 멤버 티켓을 제외한 6가지 아이템 ×1 |
- 【 ★2 멤버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멤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c4c4d7,#2d2f34> 속성 || 멤버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호시노 이치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텐마 사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모치즈키 호나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히노모리 시호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하나사토 미노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키리타니 하루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모모이 아이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히노모리 시즈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아즈사와 코하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시라이시 안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시노노메 아키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아오야기 토우야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텐마 츠카사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오오토리 에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쿠사나기 네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카미시로 루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요이사키 카나데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아사히나 마후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시노노메 에나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아키야마 미즈키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하츠네 미쿠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퓨어]]
[Let's enjoy the movie!] 카가미네 린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해피]]
[Let's enjoy the movie!] 카가미네 렌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미스테리어스]]
[Let's enjoy the movie!] 메구리네 루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쿨]]
[Let's enjoy the movie!] MEIKO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시스템#멤버| 큐트]]
[Let's enjoy the movie!] KAITO
|
다만 이는 특전에 대한 수요가 많아서 되팔기가 많이 붙었기 때문일 가능성도 존재한다.[12] 따라서 특전의 물량이 소진되거나, 특전에 대한 수요가 충족되면 흥행세가 한풀 꺾일 가능성도 존재하기에 흥행여부를 판단하려면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1월 27일 기준, 관객수는 39만명, 수익은 5.7억엔을 기록했다.
|
11.2.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1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1주차 | 20XX-XX-XX.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XX-XX-XX.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11.3. 북미 (미국·캐나다)
11.4. 번체 중국어권
11.4.1. 홍콩, 마카오
11.4.2. 대만
12. 기타
- 7월 22일, 공식 X[14]에 7월 29일 생방송에서 대형 프로젝트를 발표한다는 글을 올렸다.# 초기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 추가 또는 신유닛 실장[15]을 가장 유력하게 보게 되면서 여러 우려[16]를 표했는데, 극장판이었음이 밝혀지며 해프닝으로 끝났다.[17]
- 미쿠의 목소리는 후지타 사키가 녹음하고 보컬로이드 형태로 수정한 것이 아니라 풀조교를 한 것으로 추측된다.
- 한편 해외에서의 개봉에 대해선 아직 알려진 바가 없지만 글로벌 서비스 지역에는 영문판 공식 트레일러를 내놓았으며, 이는 추후 영화 정보가 추가로 풀리는대로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일단 현재 프로세카 서비스를 하는 국가들[19]에서는 개봉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고 2025년 1월 20일 번체 중국어권 서버의 공식 SNS를 통해 홍콩, 마카오에서의 개봉일을, 바로 다음날인 21일엔 대만에서의 개봉일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 예고편 후반부 마지막 대사는 하츠네 미쿠의 소실의 가사를 인용했다.[20] 이외에도 예고편이 전반적으로 하츠네 미쿠의 소실을 연상시키는 부분이 많아 일각에서는 본작이 하츠네 미쿠의 소실을 모티브로 취했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 각종 콜라보가 예고되었다.
- HOT PEPPER Beauty와의 콜라보가 공지되었다. # 12월에 닫힌 창문의 세카이 미쿠, 이치카, 미노리, 코하네, 츠카사, 카나데의 헤어스타일을 투표하고, 승리한 쪽의 헤어로 1월 CM에 등장하게 된다.
- 12월 16일 JR 도카이와 콜라보 공지가 올라왔다. # 1월 10일부터 4월 6일까지 미쿠, 사키, 안, 하루카, 에무, 마후유[21]와 성우들이 녹음한 크로스 토크를 비롯한 특전, 열차 내 행사 등이 진행된다.[22] 자세한 내용은 JR 도카이 콜라보 페이지 참고#
- 12월 17일, NEC와의 콜라보가 공지되었다. LAVIE SOL 노트북과 콜라보가 발표되었다.특설 페이지 CM
[1] 무대인사와 아나운스, 애프터 라이브까지 합하면 135분[2]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3] 3주년 기념 다이제스트 애니메이션의 제작을 담당했던 적이 있었다.[4] 각자의 주 서포트 세카이 모습으로 등장한다.[영화삽입] 영화에 삽입된 버전.[음원] CD로 발매된 버전.[7] 극장판 오리지널 곡은 아니나, 극장판에서 최초공개되었다. 협업한 작곡가 두 사람은 최초의 공모전 당선곡들인 Brand New Day와 alive의 작곡가들이다. 각각 alive는 오픈 직전 악곡 공모전 당선곡, Brand New Day는 프로세카 NEXT 1회차 당선곡이다.[8] 이미 프로세카 단편 애니메이션을 한차례 담당한 적 있는 제작사이다.[9] 실력 있는 애니메이터들과 연출가를 기용했음에도 감독의 능력 부족으로 인해 혹평을 많이 받았다.[10] 해당 애니메이션이 호평을 받아서 극장판 감독으로 선임된 것으로 보인다.[11] 한정 아이템은 모두 '라이브 보너스 드링크(대)'와 같은 효과를 적용받는다.[12] 100만이 넘어가는 원작 게임의 압도적인 액티브 유저수, 부족한 극장판 상영 스크린수, 영화를 보러갈 수 없는 해외 유저의 존재 때문에 특전의 수요가 굉장히 많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게임에서 사용 가능한 시리얼 코드만해도 표값을 넘는 가격인 2만원에서 2만 5천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여기에 특전 CD까지 있다보니 사실상 영화를 보면 푯값의 두 배가량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셈.[13]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14] 구 트위터[15] 이미 2주년 직전에 신 유닛을 암시하는 스토리를 내놓으면서 신유닛이 언젠가는 나올 것이란 반응이 많았다. 또한 3주년 Q&A 때 신유닛 관련 Q&A가 나왔는데 지금은 안 나오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고 답했다.[16] 대표적으로 더 심화되는 특정 캐릭터 푸쉬 또는 차별, 꼬인 가챠 로테이션으로 인한 현질 문제(돈 문제) 등이 있다.[17] 하필 그날 생방송이 평소와 다르게 4명이 아닌 3명이 진행하게 되어 방송 중간에 신유닛 캐릭터 중 한 명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의 담당 성우가 합류해서 신유닛 또는 새로운 버추얼 싱어에 관한 정보를 말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18] 미쿠는 그 위상과 다르게 애니메이션, 영화 등의 미디어 매체에서 주연으로 나온 적은 없다. 이건 다른 크립톤사 보컬로이드도 마찬가지.[19] 한국, 북미, 대만, 홍콩, 마카오[20] 미쿠가 사라지며 말하는 アリガトウ ソシテ(고마워 그리고)와 미쿠가 쓰레기 더미 위로 떨어지며 나오는 자막 さようなら(안녕)[21] =미쿠를 제외한 2라인 캐릭터[22]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만 진행하니 헷갈리지 않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