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1:33:16

그래비티(암호화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주요 목록
2024. 1. 13. 시가총액 순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 파일:Coinbase 로고.svg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파일:크립토닷컴 로고 가로형.svg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범죄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그래비티 체인
Gravity Chain
파일:Round Gradient Background.png
기호 G
설립일 2021년 3월
본사 미국 샌프란시스코
산업 분류 블록체인 기업
개발사 갤럭시(Galxe)
링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X(구 트위터):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ravityChain)]
한국 텔레그램 그룹: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업비트: 파일:업비트 로고.svg
빗썸: 파일:빗썸 아이콘.svg

1. 개요2. 배경3. 특징4. G
4.1. G 토큰의 기능 및 활용 사례4.2. G 토큰의 경제 모델 및 전망
5. 그래비티 생태계6. 갤럭시 주요 서비스
6.1. 갤럭시 퀘스트(Galxe Quest)6.2. 갤럭시 컴퍼스(Galxe Compass)6.3. 갤럭시 패스포트(Galxe Passport)6.4. 알바 AI(Alva AI)6.5. 갤럭시 스코어(Galxe Score)6.6. 갤럭시 스마트 저축 계좌(Galxe Smart Savings)
7. 관련사이트8.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

[clearfix]

1. 개요


그래비티(Gravity)는 웹3 대중화와 옴니체인(웹3 전반의 연결성과 상호운영성)을 목표로 설계된 레이어 1 블록체인이다. Galxe 생태계와 밀접하게 통합된 그래비티는 영지식 증명(ZKP), 지분 증명방식,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등을 통해 확장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하며, 사용자가 복잡한 온체인 과정을 이해하지 않고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그래비티는 Galxe Quest, Galxe Passport, Alva AI 등 다양한 Web3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시 이후 매월 6천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Galxe DAO 커뮤니티의 승인을 받아 네이티브 토큰 G(기존 GAL 토큰의 새로운 버전)을 통해 거버넌스, 거래 수수료, 보상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비티의 공식 메인넷은 2025년 출시될 예정이며, 웹3의 미래를 위한 핵심 레이어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2. 배경

파일:gravity_co_founders.png
그래비티 체인 공동창업자 해리 장, 찰스 웨인

공동창업자 해리 장(Harry Zhang)와 찰스 웨인(Charles Wayn)은 2021년 3월 NFT SaaS 형태의 프로젝트 갤럭시(Project Galaxy)로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솔라나 등 유명 VC에게 한화 140억 투자를 받으며 웹3의 대중화를 위한 사용성 높은 킬러앱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대표케이스로 현재 웹3 퀘스트 플랫폼 갤럭시(Galxe)가 있다. 갤럭시는 2024년 기준, 전세계 3천만명의 유저와 약 1억건의 월간 트랜잭션(거래)을 기록 중이다. 이러한 대규모 사용자 활동을 온체인으로 이전하고 더욱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그래비티가 설계되었다. 특히, 갤럭시 생태계 내에서 온체인 신원 인증, 로열티 포인트 시스템, 크로스체인 트랜잭션 처리 등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2024년 6월, 그래비티는 이더리움 롤업(Ethereum Rollup) 기반의 Gravity Alpha Mainnet을 출시하며 첫 번째 단계를 시작했다.
2024년 8월, 갤럭시의 그래비티로의 리브랜딩 및 레이어 1 블록체인 출시를 업비트 D 컨퍼런스 2024[1]에서 소개하며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연설영상

2025년 4분기에 독립적인 레이어 1 블록체인으로 Gravity Mainnet을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3. 특징

2024년 8월 알파메인넷이 출시[2]되며, 현재 정식 메인넷 출시 하지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백만명의 계정과 0.5초정도의 평균 블록 타임을 보여주며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자세한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다.

1. 옴니체인 결제 및 상호운용성
그래비티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원활한 거래를 지원하는 옴니체인 결제 레이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체인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자산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2.의도 기반 트랜잭션 (Intent-based Transactions)
사용자가 직접 복잡한 거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의도’만 입력하면 최적화된 트랜잭션 자동 실행되며, 유저는 DeFi 및 크로스체인 활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3. 풀체인 추상화 (Full-chain Abstraction)
블록체인, 지갑, 디앱 간의 기술적 복잡성을 제거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제공하며, 체인 간 이동을 모바일 통신처럼 간편하게 구현한다.

4. 고성능 실행 환경
병렬 EVM 실행 엔진(Grevm)과 AptosBFT 기반 합의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빠른 거래 확정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거래 경험을 향상시킨다.

5. 영 지식 증명(ZKP) 기반 검증
그래비티는 비용 효율적인 ZKP 검증 기술을 활용하여 거래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온체인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한다.

6. 스테이킹 및 리스테이킹 보안 모델
이더리움(EigenLayer) 및 비트코인(Babylon) 네트워크의 리스테이킹(restaking) 기능을 활용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인다.


4. G

G 토큰은 그래비티(Gravity) 및 갤럭시(Galxe) 생태계의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웹3 경제를 지원한다. GAL 토큰에서 G 토큰으로의 전환
[3]을 통해 단일 토큰 모델로 통합되었다.

토큰명: Gravity (G)
심볼: G
초기 총 공급량: 12,000,000,000 G
소수점: 18
네트워크: Ethereum, BNB Chain, Base, Gravity Alpha Mainnet
컨트랙트 주소: 0x9C7BEBa8F6eF6643aBd725e45a4E8387eF260649

4.1. G 토큰의 기능 및 활용 사례

G 토큰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다양한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1. 네트워크 가스(Gas) 토큰
- 그래비티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가스 토큰으로 활용됨
- 트랜잭션 수수료 및 온체인 활동 비용 결제

2. 스테이킹(Staking)
- G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 보안 강화 및 블록 검증에 참여 가능
- 검증 노드(Validator) 운영에 사용될 예정
- 스테이킹 보상을 통해 추가적인 G 토큰 획득 가능

3. 거버넌스(Governance)
- G 홀더들은 G DAO에 참여하여 주요 의사결정을 투표할 수 있음
- Galxe 및 Gravity의 핵심 정책 결정에 참여 가능

4. 결제 및 온체인 서비스
- Galxe 생태계 내 서비스 수수료 결제 (Galxe Quest, Galxe Passport, Galxe Score 등)
웹3 프로젝트 및 파트너 서비스에서 결제 수단으로 활용
- Galxe Shop에서 온라인 쇼핑 시 G 캐시백 혜택 제공

5. Galxe Earn 프로그램
- G 스테이커들은 Galxe 파트너의 독점적 에어드롭을 받을 수 있음
Galxe Quest를 통해 더 많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계됨

4.2. G 토큰의 경제 모델 및 전망

그래비티 및 갤럭시 생태계 내에서 G 토큰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웹3 경제 전반을 지원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네트워크 사용 증가: 그래비티 메인넷과 Galxe 생태계가 확장됨에 따라 G 토큰의 사용량 증가 전망
온체인 거버넌스 강화: G 홀더들의 의사결정 참여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
스테이킹 수요 증가: 네트워크 보안 및 리퀴드 리스테이킹 도입으로 G 스테이킹의 수익 모델 강화
다양한 웹3 파트너십 확장: DeFi, NFT, GameFi, AI 프로젝트와의 협업 증가로 G의 활용도 확대

5. 그래비티 생태계

생태계 확장을 700억규모 투자조직을 조직하여 [4] 타 레이어 1 제단들과의 경쟁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각종 블록체인 인프라 파트너들을 협업하여 도입하고 있으며, 최근에 체인링크의 CCIP [5]를 도입하였다

6. 갤럭시 주요 서비스

전반적으로 갤럭시 퀘스트를 기반으로 웹3 활동을 쉽고 편리하게 해주는 AI 서비스들을 제공하고있다.

6.1. 갤럭시 퀘스트(Galxe Quest)

갤럭시의 플래그쉽 서비스인 퀘스트 기반의 온체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프로젝트와 사용자를 연결하고 온체인 활동을 촉진한다. 코인 에어드랍 및 NFT 및 OAT(On-chain Achievement Token)를 활용하여 사용자 보상을 제공한다. 2025년 기준 리플, 솔라나, 베라체인 등 6000개가 넘는 웹3 프로젝트들과 함께하고있다.

6.2. 갤럭시 컴퍼스(Galxe Compass)

AI 기반 프로젝트 추천 및 탐색 도구로, 사용자가 유망한 웹3 프로젝트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투자사 정보, 펀딩 규모 등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기능 포함.

6.3. 갤럭시 패스포트(Galxe Passport)

신원 증명을 위한 탈중앙화 인증 서비스. 영지식 증명(ZKP) 기술을 활용한 웹3 KYC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신원 보호와 인증 기능을 제공한다.

6.4. 알바 AI(Alva AI)

Alva는 AI 기반의 암호화폐 분석 어시스턴스로, 트레이더와 투자자들이 복잡한 데이터를 쉽게 분석하고 빠르게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GPT-4o 모델을 활용하여 실시간 시장 분석, 뉴스 및 감정 분석, 온체인 데이터 모니터링, 그리고 트레이딩 지표를 제공한다. 특히 해당 코인에 대한 영문으로 된 트위터 유명 가상화폐 트레이더/인플루언서들의 여러 관련 트윗을 모아서 전체적인 센티먼트를 알려주는 점이 장점이다.

Alva의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AI 기반 데이터 분석: 공식 웹사이트, 뉴스, 소셜미디어, 백서 등을 빠르게 분석하여 트레이더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2. 고급 자연어 처리(NLP) 및 RAG: 사용자의 질문을 암호화폐 전문 지식과 연결해 정확한 답변을 제공한다.
3. 독점 트레이딩 지표: TVL, 거래량, 수수료 수익, CEX 데이터, 스마트머니 움직임 등을 분석하여 상승 및 하락 신호를 감지한다.
4. 감정 및 소셜 분석: 커뮤니티와 KOL(주요 인플루언서)의 의견을 분석하여 시장 심리를 평가한다.
5. 온체인 데이터 추적: 스마트 계약 및 토큰 보유 분포 등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안정성을 판단한다.
Alva는 웹3 생태계의 연구 및 트레이딩 보조 도구로써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지갑 연동, 퀘스트 지원, 거래 실행 기능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6.5. 갤럭시 스코어(Galxe Score)

온체인 평판 시스템. 사용자의 온체인 및 오프체인 활동을 분석하여 점수화하고, 프로젝트가 유기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6.6. 갤럭시 스마트 저축 계좌(Galxe Smart Savings)

Galxe에 USDT 혹은 ETH를 예치하고, Vault를 통해 이자 및 보상을 받을 수 있음. 2025년 2월 기준 USDT는 15% 연이자율 제공.

7. 관련사이트

공식 홈페이지(그래비티): https://gravity.xyz
공식 홈페이지(갤럭시): https://www.galxe.com
문서 자료: https://docs.gravity.xyz/
그래비티 익스플로러(그래비티 블록체인 탐색기): https://explorer.gravity.xyz/stats
갤럭시 통계 대시보드: https://dune.com/galxe/ecosystem
라이트 페이퍼(초기 백서): https://docs.gravity.xyz/research/litepaper
타이거리서치 보고서(한글)[6]: https://reports.tiger-research.com/p/galxe-kor

8.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그레비티(암호화폐)/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갤럭시 CEO “사용자 데이터 소유권, 되찾아 줄 것”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786851[2] 갤럭시 레이어1 그래비티 알파 메인넷 출시 https://www.tokenpost.kr/article-193267[3] 갤럭시(GAL)→그래비티(G)로 리브랜딩… 업비트 토큰스왑 진행 https://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000[4] 레이어1 블록체인 그래비티, 5000만달러 규모 생태계 펀드 얼라이언스 출범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5001[5] 갤럭시, 체인링크 CCIP 도입… 그래비티 체인 크로스체인 기능 강화 https://economybloc.com/article/55028/[6] 타이거리서치, 웹3 온체인 배포 플랫폼 갤럭시와 협력 https://decenter.kr/NewsView/2DBYDNBC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