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9 15:16:54

국표마작/역/1점역

국표마작의 역
1점 2점 4점 6점 8점 12점
16점 24점 32점 48점 64점 88점
※ 이 문서는 국표마작의 역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역의 이름은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중국식 표현 (한자; 한국어 독음; 영문표기)'의 형태로 표기.

1. 슌쯔 관련 역
1.1. 이반가오(一般高; 일반고; Pure Double Chow)1.2. 시샹펑(喜相逢; 희상봉; Mixed Double Chow)1.3. 롄류(连六; 연륙; Short Straight)1.4. 라오사오푸(老少副; 노소부; Two Terminal Chows)
2. 요구패 관련 역
2.1. 야오주커(幺九刻; 요구각; Pung of Terminals or Honors)
3. 일색 및 특정 요소 관련 역
3.1. 췌이먼(缺一门; 결일문; One Voided Suit)3.2. 우쯔(无字; 무자; No honor)
4. 대기 형태에 따른 역
4.1. 볜장(边张; 변장; Edge Wait)4.2. 칸장(坎张; 감장; Closed Wait)4.3. 단댜오장(单钓将; 단조장; Single Wait)
4.3.1. 다중대기 관련
5. 깡쯔 관련 역
5.1. 밍강(明杠; 명공; Melded Kong) <비멘젠 한정>
6. 쯔모 / 타패 관련 역
6.1. 쯔모(自摸; 자모; Self-drawn) <비멘젠 한정>
7. 보조 역
7.1. 화파이(花牌; 화패; Flower Tiles)

1. 슌쯔 관련 역

1.1. 이반가오(一般高; 일반고; Pure Double Chow)

같은 종류의 똑같은 순쯔 2개. 일본 마작의 '일배구'(이페코)에 해당하나, 일본 마작과는 달리 문전 여부를 따지지는 않는다.
파일:1m.svg 파일:2m.svg 파일:3m.svg 파일:1m.svg 파일:2m.svg 파일:3m.svg

1.2. 시샹펑(喜相逢; 희상봉; Mixed Double Chow)

다른 종류의 똑같은 순쯔 2개.
파일:1m.svg 파일:2m.svg 파일:3m.svg 파일:1s.svg 파일:2s.svg 파일:3s.svg

1.3. 롄류(连六; 연륙; Short Straight)

같은 종류의 숫자가 연속된 순쯔 2개.
파일:1m.svg 파일:2m.svg 파일:3m.svg 파일:4m.svg 파일:5m.svg 파일:6m.svg

1.4. 라오사오푸(老少副; 노소부; Two Terminal Chows)

같은 종류의 숫자가 각각 123, 789인 순쯔 2개.
파일:1m.svg 파일:2m.svg 파일:3m.svg 파일:7m.svg 파일:8m.svg 파일:9m.svg
순쯔 2개를 요구하는 역이 라오사오푸를 포함하여 4가지가 존재하는데, 상위역이 없는 경우 최대 3개까지 복합할 수 있다. 순쯔 3개를 요구하는 역이 성립하고 그 밖에 있는 먼쯔와 순쯔 2개짜리 역을 만들 수 있는 경우 최대 1개를 추가로 복합할 수 있다. 산서산통순의 예제 참고.

2. 요구패 관련 역

2.1. 야오주커(幺九刻; 요구각; Pung of Terminals or Honors)

야오주패(1,9의 수패와 자패를 합쳐 이르는 말)의 커쯔.
젠커, 취안펑커, 그리고 먼펑커와 겹칠 수는 없기 때문에, 삼원패와 장풍패, 자풍패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파일:9m.svg 파일:9m.svg 파일:9m.svg
이 경우 무조건 야오주커가 성립되나
파일:3z.svg 파일:3z.svg 파일:3z.svg
이 때가 서장(西場)이거나 자신이 서가(西家)인 경우 이 커쯔는 야오주커로 인정되지 않고, 취안펑커나 먼펑커로 취급된다. 어느 쪽에도 해당되지 않을 경우 야오주커 성립.

3. 일색 및 특정 요소 관련 역

3.1. 췌이먼(缺一门; 결일문; One Voided Suit)

한 종류만의 수패가 없는 역. 다시 말해 두 종류의 수패로 이루어진 역으로, 당연히 자패가 있어도 상관없다.
파일:2p.svg 파일:2p.svg 파일:2p.svg 파일:3p.svg 파일:3p.svg 파일:3p.svg 파일:7p.svg 파일:8p.svg 파일:9p.svg 파일:5s.svg 파일:6s.svg 파일:7s.svg 파일:1z.svg 파일:1z.svg
(보다시피 만수패가 없다.)

3.2. 우쯔(无字; 무자; No honor)

자패가 없는 역.
파일:5m.svg 파일:5m.svg 파일:5m.svg 파일:3p.svg 파일:3p.svg 파일:7p.svg 파일:8p.svg 파일:9p.svg 파일:5s.svg 파일:6s.svg 파일:6s.svg 파일:7s.svg 파일:7s.svg 파일:8s.svg

4. 대기 형태에 따른 역

4.1. 볜장(边张; 변장; Edge Wait)

미완성된 순쯔의 수패가 12나 89인 채로 팅, 3이나 7의 수패를 기다리는 대기를 '변장대기'라고 하는데, 국표마작에서는 변장대기로 날 경우 1점이 주어진다.

4.2. 칸장(坎张; 감장; Closed Wait)

미완성된 순쯔의 수패가 한 숫자 떨어져 있는 채로 팅, 그 사이의 숫자를 가진 수패를 기다리는 대기를 '감장대기'라고 하는데, 국표마작에서는 이 경우에도 1점이 주어진다.

4.3. 단댜오장(单钓将; 단조장; Single Wait)

두이쯔가 미완성된 상태로 팅, 이 두이쯔를 완성시켜줄 패를 기다리는 대기를 '단기대기'라고 하는데, 국표마작에서는 이를 '단댜오장'이라 부르며 이 상태에서 나도 1점을 준다.

4.3.1. 다중대기 관련

볜장, 칸장, 단댜오장은 대기 패의 종류가 하나뿐일 경우에만 인정되며, 다중대기가 포함된 경우 어느 역도 적용되지 않는다.
파일:1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3m.svg 대기패: 파일:1m.svg파일:2m.svg
칸장과 단댜오장이 복합된 형태
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5m.svg파일:6m.svg파일:7m.svg 대기패: 파일:1m.svg파일:4m.svg파일:7m.svg
어느 패를 쯔모해도 두이쯔가 완성되는 형태
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파일:4m.svg파일:4m.svg파일:4m.svg 대기패: 파일:1m.svg
어느 패를 쯔모해도 두이쯔가 완성되지만 사실상의 대기패는 하나뿐인 형태
예를 들어 위의 세 경우는 모두 대기 형태에 따른 점수가 적용되지 않는다. 주의할 것은 3번째 예시와 같이 이미 4장 사용 중인 패가 있어서 사실상의 대기패가 하나뿐인 형태의 경우도 대기 형태에 따른 점수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파일:1m.svg파일:2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4m.svg 대기패: 파일:3m.svg
볜장 혹은 칸장으로 볼 수 있는 형태
파일:1m.svg파일:2m.svg파일:3m.svg파일:3m.svg 대기패: 파일:3m.svg
볜장 혹은 단댜오장으로 볼 수 있는 형태
파일:2m.svg파일:3m.svg파일:3m.svg파일:4m.svg 대기패: 파일:3m.svg
칸장 혹은 단댜오장으로 볼 수 있는 형태
그러나 위와 같이 대기패의 종류는 하나지만 보기에 따라 대기 형태만 달라지는 경우에는 대기에 따른 점수가 적용된다. 그러나 둘 중 하나의 점수만 계산되며, 어느 쪽으로 보든 점수는 1점으로 똑같다.

마지막으로 바이두 백과에 따르면 단댜오장의 경우 단댜오장 부분 이외의 다중대기가 있어도 단댜오장이 인정된다고 한다. (바이두 백과 단댜오장 문서)

5. 깡쯔 관련 역

5.1. 밍강(明杠; 명공; Melded Kong) <비멘젠 한정>

말 그대로 밍깡이 하나 있으면 된다.
파일:3s.svg 파일:3s.svg 파일:3s.svg 파일:t3s.svg

6. 쯔모 / 타패 관련 역

6.1. 쯔모(自摸; 자모; Self-drawn) <비멘젠 한정>

국표마작에선 쯔모로 날 경우에도 1점이 추가된다.
단, 이 역은 먼첸이 깨진 상태에서 쯔모로 날 경우에만 해당되며, 먼첸상태로 쯔모로 나면 이 역 대신 별도로 4점역 "부추런"이 추가된다.

7. 보조 역

7.1. 화파이(花牌; 화패; Flower Tiles)

국표마작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국 마작에서는
파일:attachment/chun.png 파일:attachment/ha.png 파일:attachment/chu.png 파일:attachment/tong.png 파일:attachment/mae.png 파일:attachment/nan.png 파일:attachment/kuk.png 파일:attachment/juk.png
이 8개의 '화패'를 사용하는데, 이 화패의 용도는 다음과 같다.

시작할 때 손패 안에 화패가 있거나 혹은 게임 도중 화패를 쯔모한 경우, '화(花)'를 선언하고 화패를 따로 분리시킨 뒤 다시 패산에서 쯔모를 한다. 한국 고스톱의 보너스패 같은 느낌.
이후 그 플레이어가 8점을 채워서 나는데 성공하면 그 국에서 손패에 들어왔던 화패의 개수만큼 점수를 올리게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