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6:20:02

국민의힘/제5차 전당대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민의힘/역대 전당대회
,
,
,
,
,

제1차(2021년)
초대 지도부 선출
제2차(2021년)
제20대 대선 경선
제3차(2023년)
제2대 지도부 선출
제4차(2024년)
제3대 지도부 선출
제5차(2025년)
제4대 지도부 선출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
[ 전당대회 생중계 보기 ]
{{{#!wiki style="margin: -7px -12px" 2024년 7월 23일
제4차 전당대회
2025년
제5차 전당대회
미정
제6차 전당대회
}}}
장소 미정
선출 대상 당대표 1명, 최고위원 4명, 청년최고위원 1명
방식 예비경선: 당원 여론조사(100%)
본선: 선거인단 투표(80%), 일반국민 여론조사[1](20%)
링크 파일:국민의힘 아이콘.svg
당선인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당대표
미정
<rowcolor=#fff> 수석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최고위원
미정
청년최고위원
미정


1. 개요2. 전망

[clearfix]

1. 개요

2025년 치러질 예정인 국민의힘의 제5차 전당대회. 이 대회에서 선출되는 당대표와 지도부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에 따른 대응방안을 생각해야되고 2026년 6월에 있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까지 지휘 해야하는 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다만 전당대회 일정보다 윤석열의 탄핵이 먼저 인용된다면 이 전당대회는 대선 경선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대선 전당대회와 지도부 전당대회를 거의 동시에 진행하는건 어렵기 때문.

2. 전망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가 가결되면서 여당인 국민의힘에서 각종 반발이 일어난 가운데 탄핵 찬성파들은 친윤 세력의 입김에 지도부에서 반강제적으로 물러나 이 전당대회가 개최되는 만큼 윤석열 정부에 대한 스탠스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선 여부를 가를것으로 보인다. 친윤의 대거 당선이냐 또는 비윤의 대거 당선이냐에 따라 다음 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예전처럼 몰락하느냐 기사회생하여 살아남느냐를 가를 중요한 선거로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중도층 당원들은 전부 비윤으로 돌아섰고 친윤 및 강성 극우들은 친윤에 대한 확고한 지지를 보이니 사실상의 내전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국민의힘은 과거 새누리당 황우여 전 대표를 마지막으로 이제까지 전당대회를 통해서 출범한 지도부가 모두 다 정해진 임기를 채우지 못했는데[2] 이번 4기 지도부는 과연 정해진 임기를 다 채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그리고 5차 전당대회가 지도부를 선출하는 선거로 진행되게 된다면, 5차 전대로 선출된 지도부가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까지 지휘하게 될 예정이다만, 문제는 비상 계엄의 여파로 추락한 지지율이 다시 민주당과 비등하게 올라오기는 했으나, 이 지지율이 전통적 지지층이 결집되어 나타난 지지율일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도부 선출 시, 해당 지도부는 전통적 지지층의[3] 반발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보수정당의 외연 확장도 이뤄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1] 국민의힘 지지층 및 무당층을 대상으로 한 역선택 방지 조항 포함.[2] 김무성(20대 총선 패배로 인한 사퇴), 이정현(박근혜 탄핵 가결로 인한 사퇴), 홍준표(7회 지선 참패로 인한 사퇴), 황교안(21대 총선 참패로 인한 사퇴), 이준석(당원권 정지 6개월 및 비대위 전환으로 인한 대표직 상실), 김기현(2023년 하반기 보궐선거 패배로 인한 사퇴), 한동훈(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찬성으로 인한 반강제적인 사퇴).[3] TK, PK 지역 및 60대 이상 고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