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5:13:23

관자


1. 貫子2. 管子3. 조갯살(貫子)

1. 貫子

망건에 달아 당줄을 걸어 넘기는 구실을 하는 작은 고리. 그 재료에 따라 금관자, 옥관자 등으로 불리며 신분에 따라 재질의 제한이 있어서 신분을 상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머리 양 옆면에 눈과 귀 사이 부분을 관자놀이라고 하는게 바로 망건을 착용하면 관자가 놓이는 부분이라 관자놓이라고 하던게 발음이 변해 관자놀이가 되었다.

2. 管子

춘추시대 제나라의 명재상 관이오(기원전 7세기)의 존칭이자 그가 지었다고 알려진 책. 내용적으로 관이오가 죽은 이후의 내용이 나오는 것 때문에 현대에는 대부분 위서로 평가 받는다. 실제로 완성된 것은 전국시대부터 전한 시대까지 잡기도 한다. 하지만 워낙 역사가 오래 되었으며 편찬 과정에서 다양한 사상과 내용이 들어 있어서 그 자체로 사료적 가치가 있다는 평을 받는다. 단적으로, 이 책은 고조선의 이름(발조선)이 언급된 가장 오래된 기록이기도 하므로 한국사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역사적 가치가 있다.

3. 조갯살(貫子)

파일:참가리비 관자.jpg
사진은 참가리비(큰가리비)의 관자.

조개가 제 껍데기를 열고 닫을 때 쓰는 근육으로, 학술적 명칭은 폐각근(閉殼筋)이다. 패주[1]라고도 하며 서남 방언으로는 '개지'라고 한다. 찌그러진 원기둥 모양에 말랑말랑한 촉감을 가지고 있다. 조개류를 먹다보면 껍데기에 원기둥 모양으로 살이 붙어서 잘 안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관자이다. 신기하게도 인간의 근육과는 구조가 달라서 장시간 수축된 상태여도 손상되거나 크게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웬만한 조개의 관자는 워낙 작아서 따로 따서 먹지는 않고, 가리비, 키조개, 개조개 등 큰 조개류의 관자를 주로 떼먹는다.[2] 강한 근육이기 때문에 쫄깃한 식감을 자랑한다. 물론 작은 조개들의 것도 잘 익혀서 떼어내면 먹을 수 있고,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양이긴 하지만 큰 조개들과 마찬가지로 맛있다. 가장 간단한 요리법은 기름이나 버터에 굽는 것. 조개가 원래 맛이 풍부한 식재료라서 다른 양념없이 소금에 후추만 좀 뿌려도 충분히 맛있다. 다만 관자를 그냥 냅다 구워버리면 신선도가 떨어질 경우 비린내가 날 수도 있기 때문에 버터와 향신료를 곁들이는 게 좋다. 더 고급스럽게 만들려면 칼집 좀 넣어주고 마늘이나 파슬리를 뿌리면 손님접대용으로도 충분하다. 헬스 키친을 보면 고든 램지가 관자 좀 빨리 내오라고 윽박지르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일명 헬스키친 삼대장 그 두번째

다만 유의할 점은 국내에 유통되는 관자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식용에 적합치 않은 저품질의 관자가 많이 유통된다는 점이다. 이런 불량 관자는 국물내기 용도 말고는 다른 조리법으로는 식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질기다. 고든 램지가 출현하는 TV쇼를 보고 관자 요리에 도전했다고 이런 불량 관자를 접하고 돈만 날리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게다가 구분 방법이라는 게 딱히 없다. 이게 관자살을 주물거린다고 알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수산시장 가게 주인들이 관자 주물거리는 꼴을 두고만 볼 사람들도 아니다. 물론 직접 주무를 사람은 얼마 없는고로 업자 입장의 헛소리이긴 하지만.[3] 우선 신선도를 따지는 것이 그나마 보험. 수입산 관자가 질겨서 못 먹는다고도 하지만 국내산도 똑같이 질겨서 못 먹는 관자가 얼마든지 유통되므로 한꺼번에 왕창 사지 말고 믿을만한 구매처에서 조금 사보고 품질이 좋으면 더 구매하는 게 제일 안전하다.

키조개가리비의 관자는 회, 샤브샤브, 구이 등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말린 관자는 간패라고 한다.
[1] 일본어인 '카이바시라(貝柱)'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2] 개조개는 특이하게 백합이나 피조개같이 크기가 비슷한 여러 주먹만한 조개 중에서도 관자가 큰 편이다. 그러나 그 때문인지 또 유독 이상하리만큼 질긴데, 세로로 난 관자의 결대로 씹지 않으면 정말 더럽게 안 씹힌다.(...) 그래서 개조개 관자는 웬만하면 키조개처럼 얇게 썰어서 요리할 것을 추천한다.[3] 오히려 상인들이 갓 손질해서 꿰어놓은 키조갯살의 신선도를 자랑하려고 한번씩 툭 건드려 주는 경우는 가끔 있다. 싱싱한 조갯살은 신경이 살아있어 자극을 받으면 수축하기 때문에 바로 알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