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31 21:27:26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

1. 개요2. 슈루띠 문학
2.1. 베다 모음집
2.1.1. 리그베다 모음집2.1.2. 야주르베다 모음집2.1.3. 사마베다 모음집2.1.4. 아타르와베다 모음집
2.2. 브라흐마나2.3. 아란야까2.4. 우파니샤드
3. 베당가4. 수뜨라/깔빠쑤뜨라5. 뿌라나
5.1. 서사 문학
6. 시7. 희곡8. 산문9. 설화 문학10. 기타11. 같이 보기

1. 개요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고대 인도 문학.

고전 산스크리트 문학은 경전을 제외하면 보통 시, 희곡, 산문, 설화 문학으로 나누어진다.

2. 슈루띠 문학

2.1. 베다 모음집

일반적으로 베다라고 불리는 문학은 베다 상휘따, 즉 베다 모음집을 말한다. 베다 상휘따의 성립 시기는 전기 베다 시대인 기원전 1500년~1200년으로 본다.

이 시기 문학은 종교적인 것으로 신에 대한 찬가와 기도, 주문, 축원 따위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베다는 신에 대한 무조건적인 헌신이나 찬미가 아니라 신과 인간의 거래를 담고 있는 찬가집이라고 볼 수 있다. 베다의 신들은 태양, 불, 바람, 새벽, 비, 천둥 번개 등 자연이 주로 형성화된 것들이며 후기 베다 시대에 이르러서야 브자라빠띠 등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신들이 등장한다.

베다의 시는 더러 시적인 아름다움이나 풍자 또는 철학을 갖추기도 하지만 대부분 단조롭고 반복적이며 전형적이다. "당신만이 위대하고"나 "당신만이 세상에서 가장 뛰어나다"라는 찬미를 여러 신들에게 똑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1.1. 리그베다 모음집

상휘따 문학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리그베다 상휘따이며 이는 불에서 나왔다고 전해진다. 백팔개의 시가 만달라라고 불리는 장 10개에 나누어져 있다. 이 중 1장과 10장은 별다른 순서 없이 잡다한 찬가를 모은 것이며 9장은 소마(영생주) 또는 소마 대왕에 대한 찬가이고 2장에서 8장은 한 가문의 시인(성자)들이 쓴 것을 모아둔 가문의 장이다.

2.1.2. 야주르베다 모음집

희생제에 관한 시를 모은 모음집이다.

유익하고 바람직한 만트라들을 모은 후 白 야주르베다 상휘따와 그렇지 못한 黑 야주르베다 상휘따로 나누어진다.

2.1.3. 사마베다 모음집

일정한 운율에 따라 베다의 시를 편집한 운율이 주가 되는 모음집이다.

2.1.4. 아타르와베다 모음집

병마를 이기는 진언, 적을 파멸시키거나 시앗을 몰아내는 마법, 태아가 무사해지는 주문, 건강과 안녕을 비는 주술 등 신에 대한 찬가와는 거리가 먼 것들을 주로 다룬다. 일상에서 주로 필요한 것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사용 용도는 더 많았으면 많았지 적지는 않았겠지만.

잡스럽고 삿된 세속적 진언이 많다고 하여 전통적으로 권위 있는 세 베다, 즉 리그,야주르, 사마베다에 속하지 못하다가 후대에 와서 정통 베다로 취급되었다. 그리하여 오늘날에는 네 베다를 상휘따로 인정하고 있다.

2.2. 브라흐마나

베다 모음집에 딸린 방대한 산문집으로 제사의 중요성과 신화적 유래 등을 설명한 책이다. 일찍 형성된 브라흐마나는 후기 베다 모음집과 거의 동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네 베다에 각각 브라흐마나가 부속되어 있다.

2.3. 아란야까

숲 속의 암송집으로 숲속 명상이나 수행 또는 수행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아란야까와 우파니샤드는 브라흐마나에 속하는 것도 있고 독립적인 것도 있다. 이것들은 브라흐마나와와 다른 형태, 다른 시각으로 각각의 베다를 해석하고 있다.

2.4. 우파니샤드

우파니샤드는 베다의 끝(베단따) 무렵에 나타나는데 베다에 대한 신비하고 영적인 해석을 담고 있으며 스승의 비밀스러운 가르침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주로 명상, 철학, 신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께나, 이샤 등 11개의 주요 우파니샤드 이외에도 육십여 개의 소소한 우파니샤드가 있다. 그리고 각가의 베다에 각각의 아란야까와 우파니샤드가 속해 있다.

아란야까와 우파니샤드는 브라흐마나에 속하는 것도 있고 독립적인 것도 있다. 이것들은 브라흐마나와와 다른 형태, 다른 시각으로 각각의 베다를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각가의 베다에 각각의 아란야까와 우파니샤드가 속해 있다.

3. 베당가

슈루띠 문학에는 속하지 않으나 베다의 권위를 지지하고 설명하는 베다의 가지 문학이다. 베당가는 모두 여섯으로 이루어져 있다.

4. 수뜨라/깔빠쑤뜨라

짧고 간결한 산문 형식으로 쓰여진 의례집.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우파니샤드 문학과 마찬가지로 각 베다마다 각각의 수뜨라가 있다.

5. 뿌라나

옛이야기라는 뜻으로 세상의 창조와 멸망, 세상의 재창조, 신과 성자의 계보, 영웅, 태음족과 태양족 왕들의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도 신화와 설화를 총동원한 18개의 주 뿌라나와 18개의 소 뿌라나가 있다. 마하바라타의 편집자인 비야사가 뿌라나를 엮었다고 전해진다. 이때 비야사는 마하바라타와 마찬가지로 편집자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뿌라나는 하나하나마다 주로 비슈누, 아그니, 맛쓰야, 마르깐데야 등 한 명의 신 도는 신의 화신이나 성자를 중심으로 쓰여져 있으며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뿌라나는 본래 종교 문학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서사시적인 요소도 강하기 때문에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도 크게는 뿌라나에 속한다.

뿌라나의 뿌리는 베다지만 베다 이외의 것들이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 문학의 성립 시기는 굽타 왕조 시대인 서기 4세기부터 13세기까지 9세기에 걸쳐 성립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계속 형성되고 있다.

5.1. 서사 문학

이띠하사라고 불리며, 대표적인 게 유명한 마하바라타라마야나다.

시적인 가치와 틀 잡힌 줄거리, 작품 전체의 완성도로는 중구난방한 마하바라타보다 높다고 볼 수 있다. 기원이 되는 사건은 라마야나보다 마하바라타가 훨씬 더 오래 전이며 역사적 가치와 다양성, 문학적인 풍부함과 분량에서는 마하바라타가 라마야나를 압도한다.

라마야나의 첫 서술은 기원전 3세기지만(배경 시대는 기원전 6세기~4세기로 추정) 작품의 완성 시기는 기원후 1세기로 본다. 지리적 무대는 북인도의 서쪽 야요드야로 자연히 주인공은 야요드야의 왕자 라마다. 라마야나는 산스크리트 문학 최초의 시다운 시, 즉 일정한 수사법이 사용된 시로 영웅의 모험을 그린 서사시면서 서정적이며, 마하바라타보다 간결해 읽기가 수월하다. 저자는 왈미끼로 알려져 있다.

산스크리트 문학 형식 외적인 면에서 마하바라타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다섯 번째 베다 또는 크리슈나베다라고 불리며 경전으로도 취급된다. 인도인들은 베다가 신들이 한 말을 성자들이 보고 그대로 베낀 것으로 믿는다. 그런 그들에게 마하바라타는 베다의 권위를 지닌 신들의 선물인 것이다.

이 두 서사시는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 또는 전설적인 영웅담을 다루는 이띠하사라는 문학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모든 인도 문학의 뿌리이자 산스크리트 고전 문학의 바탕이 되고 있다. 서사시의 주요 인물들이 신들의 화신이기에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다.

6.

시는 라마야나가 최초의 수사를 갖춘 시 또는 맨 처음의 시로 여겨진다. 반대로 마하바라타가 더 전이라는 추측도 있다.

굽타 왕조 시대에 시는 전성기를 맞이하는데 이 시대 왕들은 문학을 사랑해 스스로 시를 짓거나 작가들을 궁정에 초청해 최고의 대접을 하여 왕의 일대기를 짓게 하는 등 작가들의 창작 활동에 관여했다. 대시인 깔리다사도 이 시기에 서사시 라구왕샤(라구 왕조)와 꾸마라 삼바와(꾸마라의 탄생), 서정시 메가두따(구름 사신), 르뚜-상하라(계절에 관한 시 모음) 등을 지으며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깔리다사 이후 6~8세기에는 바라위가 마하바라타에서 줄거리를 따온 끼라따-아르주니얌(사냥꾼과 아르주나 이야기)을, 바르뜨르하리가 좋은 말과 격언(수바쉬ㄸ)을 담은 세 권의 샤따까(백 가지 이야기)를 지으며 활동했다. 9~10세기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작가는 라자쉐카라가 있다.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깔리다사에 버금가는 서정시인인 아마루의 아마루 샤따까(아마루의 백 가지 이야기)도 뛰어난 고전 문학으로 여겨진다.

이 밖의 서정시로는 크리슈나와 연인 라다의 사랑 이야기를 종교적으로 읊은 자야데와의 기따 고윈다를 꼽을 수 있다.

7. 희곡

희곡으로는 바사가 쓴 스와쁘나 와사와닷따(꿈속에서 남편을 만나는 와사와다따), 파편으로 남아있는 브라만과 창녀의 사랑을 읊은 유일한 사회소설인 다리드라 짜루닷따(불쌍한 짜루닷따), 이 희곡을 확장해서 쓴 슈드라까의 므르차-까티깜(장난감 수레), 갈리다사의 샤쿤탈라와 말라위까-아그니미뜨라, 위끄라모르-와쉬야, 위샤카-닷타의 정치소설 무드라 락샤사(반지 흔적), 바와부띠의 웃따라 라마 짜리땀(라마의 후기 행적)[1], 라마야나 앞 6장에서 발췌한 마하위라 짜리땀(위대한 영웅의 일대기)이 있다.

8. 산문

바나바따의 까담바리, 단딘의의 다샤꾸마라 짜리땀(열 왕자의 모험담), 하르샤 짜리땀(하르샤 왕의 일대기)을 꼽을 수 있다.

9. 설화 문학

세상을 알아가는 지혜와 정치 문제를 다룬 것이 대부분이다. 위쉬누샤르마의 빤짜단뜨라(다섯 책 묶음)는 어리석은 세 왕자에게 지혜, 모략, 책략, 정치적 문제를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서 가르치고 있다. 우화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아이들보다 어른을 겨냥한 책이라서 비교훈적인 내용이 많다. 빤짜딴뜨라에서 교훈적인 부분을 추려서 엮은 책이 히또빠데샤(유익한 교훈)다.

소마데와의 까타사리뜨 사가라(이야기의 바다)는 구나드야가 지방 언어인 빠이샤찌로 썼던 브르하뜨=까타를 산스크리트로 옮긴 설화다. 이 까타사리뜨 사가라와 빤짜딴뜨라는 빠알리어로 쓰인 붓다의 전생담 자따까와도 흡사한 부분이 많다.

10. 기타

이외에도 산스크리트로 쓰인 대표적인 책으로 빠니니의 문법책인 아슈타댜이(보통 빠니니 수뜨라라고 불린다), 까우틸리야의 정치학 이론서 아르타 샤스트라, 빠딴잘리의 요가 이론서 요가 수뜨라, 바다라야나의 베단따 수뜨라, 까삘라의 싱키야 수뜨라, 가우따마의 니야야 수뜨라(논리학), 자이미니의 미망사 수뜨라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수많은 산스크리트 서적들이 있으나 분량 문제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1. 같이 보기



[1] 라마야나의 뒷부분에서 발췌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