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30

계백(선덕여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배역의 실존인물에 대한 내용은 계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color=#fff><colbgcolor=#D89E6E> 계백
階伯
파일:/image/109/2009/11/25/200911250954582100_1.jpg
본명 계백 (階伯)
배우 최원영


1. 개요2. 작중 행적

[clearfix]

1. 개요

드라마 《선덕여왕》의 등장인물.

2. 작중 행적

54회에서 자신의 상관인 윤충과 함께 대야성 공략을 노리고 있는 중으로 첫 출연했다. 병법, 무예, 진법에 모두 능통한 먼치킨으로 나온다. 작중설정에 따르면 과거 신라와의 전쟁당시 신라의 어느 성을 대상으로 공성전을 펼치던 중 후방에서 나타난 김유신의 구원군에 앞두로 포위되었으나 발빠른 대처와 병법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도리어 역공을 가하며 빠져나간 전적이 있다고 한다. 대야성 함락후 윤충의 깃발을 내걸어 윤충군인척 속이고 자신의 스타일로 진두지휘하여 신라의 방어선을 연이어 격파하며 서라벌로 향한다. 결국 신라를 여러번 전쟁에서 구했다는 설원까지 나서지만 설원이 진형을 차리기도전에 격파하며 김유신과의 대결구도를 세워간다. 작중에선 설원을 따라 출정한 용화향도 출신의 후관들의 말에 따르면 '귀신'이란다. 설원 역시 그가 이끄는 유군을 조심하라고 하였다.[1] 천하의 미실도 속함성 서쪽에 있는 윤충의 정예군대를 경계하고 여길찬에게 회군하라 명하여 덕만에게 항복한 걸 보면 엄청난 실력자인듯 하다.[2]

붉은 가면을 쓰고 일거 80리, 90리, 100리[3] 타령을 하면서 가공할 기병의 기동력을 자랑했다. 실체는 똑같은 붉은 가면을 쓴 장군을 하나 더 두고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식으로 움직였던 것으로 기병의 기동력과 타격력을 완벽히 활용한 기만전술 겸 기동전.[4] 지략 뿐 아니라 무인으로서 기량도 당대에 적수가 드물 정도라 작내에서 문노무쌍과 칠숙무쌍 빼고 가장 난감한 무쌍이다. 아니, 1~2회만 더 나왔어도 문노 & 칠숙을 발라버릴 수 있을 정도가 되었을지도 모를 정도로 적은 분량에서 보여준 임팩트가 강했다. 고도를 힘으로 이겨버리며 그가 등장하면 근처의 신라군이 마치 추풍낙엽처럼 손도 못쓰고 도륙당한다.

이런 압도적인 무력과 지략으로 서라벌 목전까지 진격해 들어갔으나 일거 90리 유군의 기만전술을 간파한 김유신의 역공에 걸려 패배한다. 계백과 부장들도 매복의 가능성을 인지하고 노병 사거리 밖에서 움직였으나 신라군에 일반 노병 사거리를 아득히 넘어선 궐장노 부대가 있다는 것 까진 알 수가 없었기에 그대로 허를 찔렸다. 패퇴하는 와중에도 신라군을 도륙내며 김유신과 일기토까지 벌인다. 검까지 서로 부러지고 계백은 쌍검을, 김유신은 창을 들고 분전하지만 끝끝내 승부를 가리지는 못했다. 이때 퇴각하는 계백과 그걸 지켜보는 김유신의 눈빛교환이 매우 인상적이다.

대야성 전투 이후로는 신라 내부 이야기로 극이 마무리되면서 출연은 이걸로 끝. 여왕 사후 선덕여왕릉 앞에서 알천김유신에게 황산벌의 격전을 언급하는 것을 보니 결국 역사의 순리대로 김유신 손에 장렬하게 전사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참고로 그 문노조차도 대역을 일반 엑스트라가 했는데 계백 대역은 오로지 무술재현팀만 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가장 무술실력이 출중한 무술팀원만 계백 대역이 가능했다.[2] 실제 역사에서도 계백이나 윤충이나 대단한 실력자였던것은 사실이니 이상할 것도 없다. 윤충은 신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고간 명장이다.[3] 사실 이정도 속도는 기병치고는 오히려 느린편이다.[4] 뻔해보이는 얕은수지만 문제는 신라군이 여기에 제대로 휘둘렸다는거(...). 우직한 유신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왕년에 자칭 윤충을 상대로도 우위를 점하고 작중 초반에 백제군을 제대로 농락한 전적이 있는 최강급 지장 설원마저 이걸 간파하지 못하고 전사했다. 설정 상 매우 대단한 술책으로 보는게 맞지만 시청자 입장에서는 고작 저런거에 당하는 캐붕으로 보일수밖에 없다. 애시당초 굳이 왜 계백이 얼굴을 다 가리는 붉은 투구를 쓰고 유군을 이끄는지에 대한 생각을 못한걸까. 사실 선덕여왕 후반부는 이것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로 개연성이 빠진 연출로 욕을 많이 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