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23:27:41

거칠 추에서 넘어옴
거칠 추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鹿, 2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3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ら-い, おお-きい, くろごめ, ほぼ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clearfix]

1. 개요

麤는 ‘거칠 추’라는 한자로, '거칠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능력검정시험에서 특급에 배정되어 있는, 매우 수준이 높은 한자이다. 鹿(사슴 록)이라는 한자가 위에 하나, 아래에 2개로 총 3개가 들어가는 한자로, 획수는 33획이다. 특급까지의 한자들을 모두 포함해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이다. 여담이지만 일본어에서는 이 복잡한 한자를 줄이지 않고 麤 그대로 쓴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이 한자가 일본어에서는 거의 용례가 없기에 안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사전을 찾아보면 용례가 나오기는 하지만, '거칠다'는 의미를 가진 더 쉬운 한자를 쓰면 되기 때문이다.

'거칠 추'라는 한자는 이것 외에도 麁, 麄, 觕도 있어봤자 어차피 안 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창작물

3.5. 일본어

3.5.1. 훈독

麤(あら)い: 거칠다

획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굳이 이 한자를 쓰는 일은 없다고 봐야 한다. '거칠다'라는 뜻의 あらい는 (거칠 조) 또는 (거칠 황)을 써서 粗い, 荒い로 표기하는 경우가 사실상 100%.

4. 유의자


[1] 사실 이것보다는 '醜惡(추악)'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2] 이것도 마찬가지로, '醜雜(추잡)'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3] 발이 굵고 거칠게 짜서 품질이 낮은 베. 전근대 한국에서 동전이 보급되기 이전에 화폐의 역할을 하였다.[4] 거친 가지와 커다란 잎이라는 뜻으로, 느긋하고 대범하게 글을 쓴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