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가브리엘(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브리엘(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브리엘(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가브리엘(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브리엘(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브리엘(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천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7대 천사 | 4대 천사 | 미카엘 · 가브리엘 · 라파엘 · 우리엘 |
| 에녹서 | 사리엘 · 라구엘 · 라미엘 | ||
| 정교회 | 셀라피엘 · 예후디엘 · 바라키엘 | ||
| 콥트 정교회 | 자드키엘 · 살라티엘 · 아나니엘 | ||
| 기타 | 카마엘 · 하니엘 · 산달폰 · 메타트론 · 요피엘 | ||
| 4대 천사 중에서 가톨릭은 우리엘을 제외한 3대 천사만을,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는 라파엘과 우리엘을 제외한 두 천사만을 인정한다. | |||
| 대천사(大天使) 가브리엘 | Gabriel | ||||
| | ||||
| 수태고지 | 가우덴시오 페라리 작(作)[1] | ||||
| 종교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 |||
| 축일 | 9월 29일 (가톨릭)[2] 3월 24일 (성공회)[3] 3월 26일, 7월 13일 (정교회) | |||
| 상징 | 백합, 나팔, 빛나는 등불, 천국의 나뭇가지, 두루마리, 홀 | |||
| 수호성인 | 통신 종사자, 라디오 방송업자, 전령, 우편업자, 성직자, 외교관, 우표 수집가, 포르투갈, 산탄데르[4], 세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0f0f0> 언어별 명칭 | |||
| 히브리어 | גַּבְרִיאֵל (가브리엘) | |||
| 아람어 | ܓ݁ܰܒ݂ܪܺܝܐܝܶܠ (가브리엘) | |||
| 아랍어 | جِبْرَائِيل (지브라일)[5] جِبرِيل (지브릴) | |||
| 그리스어 | Γαβριήλ (가브리일) | |||
| 라틴어 | Gabriel (가브리엘) | |||
| 영어 | Gabriel (게이브리얼) | |||
| 이탈리아어 | Gabriele (가브리엘레) | |||
| 일본어 | ガブリエル (가부리에루) | }}}}}}}}} | ||
1. 개요
καὶ ἀποκριθεὶς ὁ ἄγγελος εἶπεν αὐτῷ ἐγώ εἰμι Γαβριὴλ ὁ παρεστηκὼς ἐνώπιον τοῦ θεοῦ καὶ ἀπεστάλην λαλῆσαι πρὸς σὲ καὶ εὐαγγελίσασθαί σοι ταῦτα
천사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나는 하느님을 모시는 시종 가브리엘이다. 이 기쁜 소식을 전하라는 분부를 받들고 너에게 와 일러주었다."
루가의 복음서 1장 19절
미카엘, 라파엘과 함께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3대 천사 중 한 위로, "가브리엘"은 히브리어로 '강한 사람', '영웅'을 뜻하는 게베르(גבר)와 하느님을 뜻하는 엘(אל)이 합쳐진 이름으로 '하느님의 영웅' 혹은 '하느님은 강하다', '하느님은 나의 강하신 분'[6]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성형은 표기는 가브리엘라.천사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나는 하느님을 모시는 시종 가브리엘이다. 이 기쁜 소식을 전하라는 분부를 받들고 너에게 와 일러주었다."
루가의 복음서 1장 19절
공통적으로 주된 임무는 '예언'과 '계시'이며 기독교 쪽에서는 신약성경에서 예수의 탄생(루가의 복음서 1:26-38)을 예고했고 이슬람교 쪽에서는 무함마드에게 알라의 계시를 전한 것으로 알려진다. 상징물은 백합이며, 가톨릭 교회에서는 가브리엘을 미카엘, 라파엘과 함께 9월 29일에 기념한다.[7] 이 이름을 세례명으로 쓸 때 중국에서는 가비액이(嘉俾阨爾, Jiābǐèěr), 가피액이(嘉彼阨爾, jiābǐèěr)라고 음역했다. 과거 한국에서 가톨릭 성인명 표기법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았던 때에는 '가별', '갑열'이라고 썼다.
2. 기독교에서
| 안톤 라파엘 멩스 (Anton Raphael Mengs) 作 (1744년) |
구약 성경과 유대교에서는 '천사 A' 정도의 위상이지만, 신약 성경과 기독교에서는 주님 잉태 예고라는 빅 이벤트 덕에 중요성이 매우 상승했다. 특히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성모 마리아-가브리엘은 구약에서 아담-하와-에덴의 뱀의 완전한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가장 유명한 역할은 수태고지이다. 처녀인 마리아가 예수를 잉태하였을 때, 그것을 마리아에게 알린 이가 바로 가브리엘이다. 또한 성모 마리아에게 예수님의 잉태 소식을 알리기 6달 전에, 즈카르야에게 세례자 요한의 탄생을 예고하기도 하였다.[8] 이런 이유로 교황 비오 12세는 1951년 1월 12일 성 가브리엘 대천사를 텔레커뮤니케이션[9]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수호자로 선포했다.
교회 미술에서 가브리엘은 보통 손에 지팡이와 홀, 그리고 순결을 상징하는 백합을 든 모습으로 그려진다. 특히 예수 잉태 소식을 알리는 중에 들고 있는 3송이의 백합은 마리아가 출산 이전에도 동정이었고, 출산 중과 출산 후에도 동정이었다(Ante partum, In partu, Post partum)는 것을 의미한다. 때로는 손에 올리브 가지를 들고나오는데, 올리브는 말씀의 육화를 통해 하느님과 인간이 새롭게 맺은 평화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3. 이슬람에서
이슬람의 경전 쿠란에서는 지브릴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알라의 계시를 전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래서인지 여기서는 미카엘(아랍어: 미카일)을 제친 넘버 1 천사로 인정되기까지 한다. 실제로 무슬림들은 가브리엘이 모든 천사들을 주관하는 천사라고 믿으며, 삼위일체에서 말하는 성령이 사실은 가브리엘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4. 묘사
| 왼쪽이 가브리엘 |
가브리엘의 성모영보를 그림으로 묘사하는 과정에서 '정혼자가 있는 여인의 처소에 외간 남자가 들어간다'는 상황으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중성적으로 표현하거나, 아예 여자로 묘사하던 것이 나중에 현대에 들어와 대중매체에서 여자 천사로 묘사되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
하지만 구약성서에서는 대놓고 근육질의 남성으로 묘사되기도 하고,[10] 또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메이저급 예수 탄생 영화 '위대한 탄생'[11]에서는 날개도 없고 수염을 기른 중동 남자의 모습으로 나왔다.[12]
사실 애초에 천사는 순수한 영적인 존재라서 성별이 없기에 의미없다. 참고로 세례명으로 쓸 때 남자는 그냥 가브리엘로 정하면 되지만, 여자가 세례명으로 삼고 싶으면 가브리엘을 여성화한 '가브리엘라'로 정해야 한다.
5. 외부 링크
5.1. 영어
- 위키백과(영어) : 가브리엘
- 위키인용집 매인 페이지 : 가브리엘
- 위키미디어 공용 : 카테고리:아크엔젤 가브리엘
- 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 가브리엘
- TV Tropes | 아크엔젤 가브리엘
- 오스독스 위키 : 아크엔젤 가브리엘
- 뉴 어드밴트 : 세인트 가브리엘 더 아크엔젤
- 카톨릭 온라인 : 세인트 가브리엘, 더 아크엔젤
- FANDOM
5.2. 기타
[1] 현재 영국 런던의 내셔널 갤러리에서 소장 중.[2] 1969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른 3대 천사인 미카엘과 라파엘과 함께 기념축일.[3] 3대천사가 아닌 가브리엘 단독 축일이며, 가톨릭 전통전례력도 동일하다.[4] 스페인 북부의 항구도시.[5] 자브라일(جَبْرَائِيل / jabrāʾīl)로도 발음할 수 있다. 가브리엘을 가리키는 튀르키예어의 제브라일(Cebrâil), 아제르바이잔어의 재브라이을(Cəbrayıl)은 자브라일에서 유래한 표기이다.[6] 한국천주교주교회의 번역[7] 전통 전례력에서는 3월 24일에 가브리엘 대천사만을 단독 기념한다.[8] 그러나 즈카르야는 믿지 않았는데, 이는 당시 그와 그의 아내였던 엘리사벳이 나이가 많고 엘리사벳은 불임(혹은 난임)이였다. 결국 그는 아기가 태어나는 날까지 벙어리 신세가 된다.[9] 라디오, TV, 전화, 전신, 우편배달, 심부름 등[10] 나다니엘이 이 환상을 보면서 그 뜻을 몰라 애쓰고 있는데 내 앞에 문득 장사같이 보이는 이가 섰고 울래 강 너머에서 웬 사람이 말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가브리엘, 너는 저 사람에게 환상을 풀이하여 주어라.", 다니엘 8:15~16 공동번역 성서[11] 원제 <The Nativity Story>, 캐서린 하드윅 감독의 2006년 작품.[12] 연기자는 왕좌의 게임에서 도란 마르텔, 킹덤 오브 헤븐에서 살라딘의 심복 장군, 스타트렉: 딥 스페이스 나인에서 군의관인 바시어 박사(Dr. Bashir)역으로 나온 수단 공화국계 영국 배우 알렉산더 시디그.